LNG(액화천연가스) 테마 개요
LNG(액화천연가스)란 가스전(田)에서 채취한 천연가스를 정제하여 얻은 메탄을 냉각해 액화시킨 것으로, 주성분이 메탄이라는 점에서 LPG와 구별됨. 순수 메탄의 성분이 매우 높고 수분의 함량이 없는 청정연료로, 주로 도시가스로 사용됨. 정부의 신재생에너지 정책이 본격화되면서 부각되고 있음.
LNG(액화천연가스) 관련 종목
한국가스공사 036460
한국가스공사 네이버 증권보기 | 한국가스공사 FN GUIDE 종목분석 보기 |
천연가스 도입 및 도매시장에서 독점적 지위를 보유한 정부출자 공기업. 해외의 천연가스 생산지로부터 LNG를 도입하여 국내의 발전사 및 도시가스사에 공급.
천연가스 도입 및 판매 기업으로서 해외의 천연가스 생산지로부터 LNG를 도입하여 국내의 발전사 및 도시가스사에게 전국배관망과 탱크로리등을 통해 공급함. 쿠웨이트 알주르 LNG 터미널 보수매뉴얼 작성사업, 시운전 용역 사업, 모잠비크 마푸토 가스공급사업 참여 등 해외사업 진출 추진 중. 2020년 2월 대한해운과 해외 합작법인을 설립하였으며 해외 LNG벙커링사업을 수행할 예정.
2021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16% 증가, 영업이익은 29.4% 증가, 당기순이익 흑자전환. 매출 증가는 발전용 수요 급증에 기인하고 유가 상승에 따른 자회사 실적 개선이 영업이익 흑자 전환을 견인함. 국내 수소충전소 및 생산기지 구축과 함께 해외 수소생산 및 도입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맡고 있으며 신종자본증권 발행 이후 한국 수소 밸류체인 구축 관련한 에너지 디벨로퍼 역할 기반의 투자를 기대함.
동성화인텍 033500
동성화인텍 네이버 증권보기 | 동성화인텍 FN GUIDE 종목분석 보기 |
PU단열재(초저온보냉재, PU SYSTEM) 사업과 가스사업(냉매, 방재시스템) 영위업체. PU단열재 사업이 매출의 대부분을 차지. LNG 운반선 초저온보냉재 사업을 영위중이며, 초저온 보냉자재 일괄 생산시스템을 갖추고 있음. MARK Ⅲ 타입 LNG선의 초저온보냉재는 한국카본과 동사가 시장을 양분하고 있음.
동사의 사업 부문 중 PU단열재사업부문은 초저온보냉재, PU SYSTEM로 구분되며, 가스사업부문은 냉매, 방재시스템 사업으로 구분됨. 동사의 방재시스템 부문은 가격시장에서 품질시장 및 환경 친화적 시장으로 옮겨가고 있으나 경쟁업체가 증가하여 시장 경쟁 심화되고 있는 추세임. 동사는 환율과 원자재 변화에 따른 리스크 관리를 통해 안정적으로 사업을 영위하는 중.
2021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8.8% 감소, 영업이익은 22% 감소, 당기순이익은 20.4% 감소. 최근 아시아태평양 지역에서 폴리우레탄 수요가 급증하면서 고급소재의 개발과 수요처의 적극적인 영업활동 및 해외시장 수출을 위한 노력에 집중할 것임. IMO2020 발효로 선박 연료가 저유황유/LNG로 변화함에 따라 LNG 추진 선박용 LNG탱크의 수요상승으로 LNG추진선박 사업역량 확대계획.
한국카본 017960
한국카본 네이버 증권보기 | 한국카본 FN GUIDE 종목분석 보기 |
LNG운송용 선박의 저장효율을 극대화하기 위한 극저온 단열판넬(보냉재)을 생산.
1984년 9월 17일 탄소섬유 및 합성수지 제조를 주사업목적으로 설립. 낚시대 재료인 Carbon Sheet를 생산하며 1984년 설립, 출범하였으며, 이 후 LNG의 수요 증대와 더불어 LNG 운반선 화물창의 핵심 부품인 INSULATION PANEL 생산하고 있음. 한국의 고유 문화인 온돌 문화에 영향을 끼치는 바닥장식재의 필수 재료인 Glass Paper를 생산, 납품하고 있음.
2021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15.4% 감소, 영업이익은 53.2% 감소, 당기순이익은 51.9% 감소. 기존 소재사업의 역량을 바탕으로, 경량화 부품·소재를 항공 및 차량경량화용으로 집중하여, 세계 유수의 기업들과 함께 기술력을 확보해나가고 있음. 전 세계적으로 부품·소재의 경량화가 중시되고 있으며, 탄소섬유 등의 복합소재를 이용한 경량화 소재시장의 성장이 가속화 될 전망임.
삼성중공업 010140
삼성중공업 네이버 증권보기 | 삼성중공업 FN GUIDE 종목분석 보기 |
삼성그룹 계열의 대형 조선업체. LNG-FSRU선, 해양에서 가스를 LNG로 생산하는 신개념 고부가가치선인 LNG FPSO을 제조.
동사의 사업부문은 선박, 해양플랫폼 등의 판매업을 영위하는 조선해양 부문과 건축 및 토목공사를 영위하는 E&I 사업부문으로 구분됨. 코로나19의 영향으로 전 선종에 걸쳐 발주가 약세를 보이고 있으며 수주잔량은 전년대비 감소흐름. 매출은 조선해양(LNH선, 초대형컨테이너선, FLNG 등) 부문이 102.76%의 절대비중을 차지하며 토목, 건축 부문이 0.19%를 차지하고 있음.
2021년 6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6.5% 감소, 영업손실은 25% 증가, 당기순손실은 5.9% 증가. 영업손익은 강재가 급등에 따른 원가 인상분 선 반영. 영업단에 일회성 손실로 강재가 인상 가능성을 보수적으로 적용해 공사손실 충당금과 경상손실 등이 반영되어 큰 폭의 적자. 일감 확보를 위한 수주가 실적으로 인식되면서 매출 증대가 시작. 강재가 인상을 선가에 반영한 수주는 시차를 두고 수익성 개선을 이끌 전망.
한국전력 015760
한국전력 네이버 증권보기 | 한국전력 FN GUIDE 종목분석 보기 |
국내 발전 및 송전사업을 책임지고 있는 공기업. 화력발전부문에서 종속회사 한국남동/중부/서부/남부/동서발전이 LNG 등을 원료로 전력 생산중.
동사는 1982년 1월 1일 설립되어 1989년 8월 10일에 유가증권시장에 상장함. 지배회사인 한국전력공사가 영위하는 사업으로는 전력자원의 개발, 발전, 송전, 변전, 배전 및 이와 관련되는 영업, 연구 및 기술개발, 투자 또는 출연, 보유부동산 활용사업 등이 있음. 연결대상 종속회사들이 영위하는 사업에는, 원자력발전사업, 화력발전사업 그리고 기타사업으로 발전소설계 등이 있음.
2021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2.7% 증가, 영업이익 적자전환, 당기순이익 적자전환. 외형은 소폭 성장하였으나 원가 부담이 커지며 영업이익은 적자로 전환되었음. 특히 전기판매부문의 손실이 크게 발생함. 2021년 5월 한미정상회담에서 양국이 해외 원전사업 협력을 발전시켜 나가기로 합의함에 따라 해외 원전사업 진출 여건이 개선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음.
현대두산인프라코어 042670
현대두산인프라코어 네이버 증권보기 | 현대두산인프라코어 FN GUIDE 종목분석 보기 |
17년3월 한국가스공사, 삼진야드와 LNG(액화천연가스) 추진 선박 보급을 위한 소형 선박용 LNG 개발 협력 MOU 체결.
동사는 2005년 4월 사명을 두산인프라코어로 변경하였고 건설중장비, 엔진 등을 생산 판매하는 사업을 영위함. 건설기계와 관련하여 북미와 유럽 등 선진 시장에서는 채널 역량과 제품 경쟁력 강화 및 관리체계 효율화를 통해 지속적인 사업 성장을 추진하고 있음. 현대두산인프라코어는 2021년 7월 1일을 분할기일로 하여 두산밥캣 지분을 포함한 투자사업부문을 분할하여 두산중공업 주식회사에 흡수합병하는 흡수인적분할합병방식으로 분할하였음.
2021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16.2% 증가, 영업이익은 0.4% 감소, 당기순이익은 92.5% 증가. 매출 증가에도 불구하고 매출원가, 판관비등 주요비용의 증가로 영업이익 소폭 감소함. 동사는 자체 개발한 배터리팩 시제품 1호기를 제작 완료하였으며 이후 실제 장비 탑재 테스트를 거쳐 내년 초 1.7톤급 전기 굴착기 초도품을 제작할 예정임.
엔케이 085310
엔케이 네이버 증권보기 | 엔케이 FN GUIDE 종목분석 보기 |
LNG, CNG 저장용기 제조업체. 해양플랜트 기자재로 헬리데크, LNG탱크, 벌크탱크 등을 납품.
1984년 설립되었으며 주요 사업은 고정식 소화장치 부문, 밸러스트 수처리장치 부문, 해양플랜트 기자재 부문, 고압가스 용기부문이 있음. 동사의 주요제품은 고정식 소화장치이며 이는 선박건조에 소요되는 선체의장부의 부품 중 화재의 진압을 위하여 필요한 장치임. 전방산업인 조선업의 경기에 큰 영향을 받음. 환경 규제 및 안전 규정 강화에 따라 친환경 고효율 선박으로의 선박 교체 수요도 지속적인 창출이 예상됨.
2021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27.3% 감소, 영업이익 적자전환, 당기순이익은 7.5% 증가. 매출 감소와 고정비 등의 영향으로 영업이익은 큰 폭으로 감소함. 그러나 금융손익 및 지분법손익이 상승하여 당기순이익은 증가함. 당사는 소화장치의 용기용 파이프를 수입에 의존했으나 현재는 품질 및 경제적 경쟁력이 높은 공급처에 대한구입선 다변화가 이루어짐.
현대미포조선 010620
현대미포조선 네이버 증권보기 | 현대미포조선 FN GUIDE 종목분석 보기 |
현대중공업 계열의 중형선박전문 조선업체. LNG 추진선, LNG 벙커링선 제조.
동사는 중형선박 건조부문에서 세계수준의 업체로 성장했으며, 지주회사인 한국조선해양(주)의 R&D 인프라를 통해 시장변화에 지속 대응하고 있음. 석유화학제품 운반선과 중형 컨테이너운반선 등을 중심으로 시장 지배력을 확대하였으며, LPG/에틸렌 운반선 등 고부가 특수 선박시장에도 성공적으로 진출함. 환경 규제 강화에 대비해 친환경/에너지 고효율 디자인 개발을 통한 신규 및 노후선 대체 수요 창출을 판매전략으로 하고 있음.
2021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5% 감소, 영업이익 적자전환, 당기순이익 적자전환. 전분기대비 매출액 감소의 원인은 휴가와 명절로 인한 조업일수 감소,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베트남 조선소 가동 중단. 9월 중순 이후 현대베트남조선소의 야드 운영은 재개. 21년 연초 다소 부족했던 수주잔고가 올해 신규 수주 급증으로 채워지면서 다시금 조선산업 내 매출 성장의 선봉장이 될 전망.
대한해운 005880
대한해운 네이버 증권보기 | 대한해운 FN GUIDE 종목분석 보기 |
철광석, 석탄, 천연가스, 원유 등의 에너지 및 자원을 전문적으로 수송하는 대표적인 벌크선사로 LNG선, 탱커선, 컨테이너선 등의 해운업 영위. 17년4월 한국가스공사와 LNG 전용선 장기수송계약 체결(계약기간 20년).
1968년에 설립된 동사는 에너지, 자원 전문 수송선사로서, 주요사업으로 철광석, 천연가스, 원유 등의 원재료를 선박으로 운송하는 해상화물운송 및 해운대리점업을 영위하고 있음. 동사의 주된 사업인 해운업은 선박을 이용하여대량의 화물을 장벽에 구애 받지 않고 원하는 시간에 필요한 장소로 수송하는 대표적인 서비스 산업임. 주요 거래처인 (주)포스코, 한국가스공사, 한국전력공사 등과 장기운송계약을 체결하고 있음.
2021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21.4% 증가, 영업이익은 29.2% 증가, 당기순이익은 6890% 증가. 동사는 해운업에서 국내외 대형 선주와의 장기용선계약에 따른 원가경쟁력, 우량 화주와의 장기해상운송계약으로 안정적인수익원 확보중임. 안정적인 전용선 영업 위주의 사업을 지속하며 화물운송계약 위주의 부정기선 사업을 추진함으로써 용선시장의 불확실성과 관련된 위험을 최소화하고 있음.
삼천리 004690
삼천리 네이버 증권보기 | 삼천리 FN GUIDE 종목분석 보기 |
주요종속회사인 ㈜에스파워가 경기도 안산시 소재 MTV(멀티테크노밸리)에 834MW급 LNG복합화력발전소를 착공하여 2014년11월부터 상업운전을 개시.
동사는 1955년 삼천리연탄기업사로 창립되어, 1966년 삼천리연탄주식회사로 설립되었으며, 1976년 유가증권시장에 상장함. 도시가스공급업을 주요 사업으로 영위하며, 이 외에 지배회사를 통하여 집단에너지사업, 발전사업, 플랜트사업, 신/재생에너지사업, 자산운용업 등 다양한 사업을 영위함. 2021년 상반기 기준 매출은 도시가스 70.09%, 집단에너지 2.14%, 플랜트 2.46%, 발전 14.35%, 기타 10.96%로 구성됨.
2021년 6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2% 증가, 영업이익은 19.6% 증가, 당기순이익은 79.8% 증가. 고효율 가스기기 연구, 업무프로세스 개선을 통한 내부효율화로 핵심 역량을 지속적으로 제고하며 수익성 개선. 실적 개선을 위해 설비 보강, 공급 설비 증설 등에 투자를 적극적으로 집행하고 있음. 2021년 857억원을 투입할 계획이며 2021년 상반기까지 218억원을 집행함.
한국조선해양 009540
한국조선해양 네이버 증권보기 | 한국조선해양 FN GUIDE 종목분석 보기 |
현대중공업, 현대삼호중공업, 현대미포조선 등을 종속회사로 보유한 현대중공업그룹 중간 지주회사. 현대중공업은 세계 최고 수준의 경쟁력을 보유한 대형 조선업체로 LNG운반선, 해양플랜트를 제조하고 있으며, 14년 세계 최초 LNG-FSRU(부유식 액화천연가스 저장·재기화 설비) 건조 성공.
지주회사로 다른 회사를 지배함과 동시에 미래기술사업 등을 영위하고 있으며, 주요 종속회사로는 현대중공업, 현대삼호중공업, 현대미포조선 등이 있음. 현대미포조선, 현대삼호중공업, Hyundai-Vinashin Shipyard 등 종속기업을 포함하여 조선부문에서 선도적인 지위를 유지하고 있음. 매출은 조선 85.45%, 엔진기계 4.66%, 해양플랜트 4.30% 등으로 이루어져 있음.
2021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2.6% 감소, 영업이익 적자전환, 당기순이익 적자전환. 3분기 실적은 환율의 우호적인 흐름과 엔진 사업부문의 호실적으로 긍정적인 실적을 나타냄. 하지만 2분기 수천억원의 공사손실충당금으로 인한 큰 폭의 적자가 지속적인 영향을 끼쳐 누적 기준으로 적자 기록. 향후 환율, 후판가격 변화 그리고 원가 절감 강도에 따라서 추가 환입 가능성 있음.
HSD엔진 082740
HSD엔진 네이버 증권보기 | HSD엔진 FN GUIDE 종목분석 보기 |
선박용 엔진 위주의 엔진전문업체. LNG와 중유를 모두 사용할 수 있는 선박용 전자제어식 이중연료 저속엔진을 세계 최초로 상용화하여 생산.
종합엔진 생산전문업체로 선박엔진사업 및 디젤발전사업, 부품판매사업, 환경오염방지시설업을 주요사업으로 영위 중임. 세계 2위의 저속엔진 시장점유율(평균 20%)을 유지하고 있으며, 한국 3개 엔진업체가 전세계 엔진의 평균 50% 이상을 생산함. 국제해사기구(IMO) 유해가스 기준에 대응할 수 있는 차세대 친환경 디젤엔진의 개발 및 고효율 선박 기자재 개발 추진 등 미래 신성장 동력의 발굴을 적극 추진하고 있음.
2021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37.6% 감소, 영업이익 적자전환, 당기순이익 적자전환. 환경 규제 강화 및 Eco-ship 니즈 증가에 따라 이중연료 엔진 등의 친환경ㆍ고효율 기자재 수요는 더욱 증가될 것으로 예상됨. 부품판매시장은 원천기술사와 경쟁 및 유사품 시장의 존재로 선박엔진 점유율보다는 낮지만 수주 활성화 영업전략 추진을 통해 매출 증가 및 점유율 개선이 진행되고 있음.
POSCO 005490
POSCO 네이버 증권보기 | POSCO FN GUIDE 종목분석 보기 |
주요종속회사인 포스코에너지가 국내 민간 발전사 중 LNG발전 설비용량이 가장 큰 3,412MW급 인천LNG복합발전소를 보유하여 운영중.
동사는 열연, 냉연, 스테인리스 등 철강재를 단일 사업장 규모로 세계 최대 규모인 포항제철소와 광양제철소에서 생산하고 있음. 철강산업은 자동차, 조선, 가전, 건설 등 철강 수요 산업에 기초 원자재를 공급하는 산업으로서, 70년대 이후 경제발전에 중추적인 역할을 수행해 온 국가 기간산업임. 매출은 철강부문 53%, 무역부문 33%, E&C부문 8%, 기타부문 5% 등으로 이루어져 있음.
2021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29.3% 증가, 영업이익은 346.2% 증가, 당기순이익은 468% 증가. 동사는 수익성 향상으로 영업이익이 증가하여, 차입금 대비 EBITDA는 연결과 별도 기준 모두 전분기 수준을 유지함. 동사는 3분기에 글로벌 철강 시황 호조 지속과 내수 비중 확대, 조강 및 제품 생산량 증가,원료비 증가에 따른 판매가격 상승으로 분기 최대 실적을 기록했음.
팬오션 028670
팬오션 네이버 증권보기 | 팬오션 FN GUIDE 종목분석 보기 |
하림그룹 계열의 국내 대표적인 벌크선사. LNG운송 서비스 등 다양한 해상운송 서비스를 제공.
동사는 해운업/곡물사업, 운항지원, 해운시장 정보제공, 화물 Claim 처리 등을 하는 해운업 사업부문과 선박관리업을 수행하는 기타 사업부문을 영위함. 50년이 넘는 벌크화물 운송사업 경험을 바탕으로 전 세계 주요 화주와 신뢰를 구축하는 등 경쟁력있는 선박 운항 및 화물 운송 서비스를 제공함. 주요 매출처는 VALE, 포스코, SUZANO PAPEL E CELULOSE, 한국중부발전, 한국남부발전, 한국남동발전, 현대제철 등임.
2021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67.2% 증가, 영업이익은 113.4% 증가, 당기순이익은 205.8% 증가. 동사는 선박 운항 및 시황 변동에 따른 사업 리스크 관리 능력을 갖춰 Dry Bulk선 부문에 있어서는 세계 최고의 경쟁력을 확보하고 있음. 국내외 주요 화주들과의 장기화물계약을 확대하고 있으며, 선박의 용대선 능력을 바탕으로 시장의 변화에 대해 신속 정확하게 대응하고 있음.
비에이치아이 083650
비에이치아이 네이버 증권보기 | 비에이치아이 FN GUIDE 종목분석 보기 |
발전용, 제철용 산업설비 설계/생산 전문업체. 정부의 LNG 비중 확대 정책에 따라 LNG 복합화력의 핵심설비 HRSG(Heat Recovery Steam Generator, 폐열회수장치) 생산 업체인 동사의 수혜가 기대되고 있음.
2005년 12월 발행주식을 한국거래소가 개설하는 코스닥시장에 상장한 주권상장 법인임 동사의 주된 고객으로는 한전을 비롯한 전력회사 및 발전사업자, 대형건설사, 포스코를 포함한 제철회사 등이 있음. 설비의 경제성 및 효율, 납기준수 등 다양한 고객의 요구를 충족시키는 것이 사업의 중요한 요소이며, 이를 위해 우수한 설계인력 및 엄격한 생산관리, 축적된 사업수행실적 및 경험이 중요한 사업임.
2021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2.4% 감소, 영업이익 적자전환, 당기순이익 적자전환. 매출 감소와 원가율 상승, 각종 비용 상승으로 수익성이 악화되었음. 따라서 영업이익과 당기순이익 모두 감소함. 당사의 주요제품은 각각의 제품을 생산함에 있어서 제품에 따른 기술 정도나 노력 정도가 다르므로 기간 단위로 한 기준을 정하여 가격 변동 추이를 분석하는 것은 의미가 약하다고 할 수 있음.
지역난방공사 071320
지역난방공사 네이버 증권보기 | 지역난방공사 FN GUIDE 종목분석 보기 |
LNG(액화천연가스)를 주원료로 사용하는 열병합발전소를 운영. 2018년 동탄2 열병합발전소 가동중.
지역난방사업, 지역냉방사업, 전력사업, 신·재생에너지사업 및 구역형집단에너지사업등을 영위하고 있으며, 세종신도시, 평택국제화계획지구, 양산물금지구 등에 신규사업을 추진하고 있음. 파주시에서부터 화성시까지 국내 최대 수도권 열수송관 네트워크가 구성되어 있어 효율적 열생산이 가능하므로, 향후 타 에너지 기업대비 강점 보유. 시장경쟁력 확보를 위해 설치보조금 지원, 냉방요금 조정 및 기술의 고도화 등의 제도 개선을 수행하고 있음.
2021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9.3% 증가, 영업이익은 3.3% 감소, 당기순이익은 136.1% 증가. 원가 상승이 판가로 전가되지 않아 전년대비 실적이 부진하였으나 열수요 성수기로 발전소 이용률이 개선 될 것으로 예상됨. 동사는 집단에너지 확대보급을 위하여 세종신도시, 양산, 평택고덕에 건설 중에 있으며 청주, 대구 열병합발전설비 개체 사업을 건설 중에 있음.
GS 078930
GS 네이버 증권보기 | GS FN GUIDE 종목분석 보기 |
GS그룹의 지주회사. 자회사 GS에너지를 통해 14년 신평택발전과 동두천드림파워의 지분을 인수하여 LNG복합화력발전사업에 진출.
동사는 2004년 7월 LG를 인적 분할하여 설립된 지주회사로서, 자회사로는 GS에너지, GS리테일, GS스포츠, GS이피에스, GS글로벌, GS이앤알이 있음. 사업부문은 유통, 무역, 가스전력사업, 투자 및 기타(호텔업, 프로축구 등)으로 구분됨. 주요 자회사인 GS리테일은 GS25, GS수퍼마켓 등의 유통사업을 영위하고 있으며 2015년 파르나스호텔 지분 67.56% 취득하여 관광호텔업도 영위하게 됨.
2021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20.8% 증가, 영업이익은 185.4% 증가, 당기순이익 흑자전환. 산업부문 나프타 수요는 LPG, Ethane 등 경쟁원료의 가격 변동에 영향을 받으며, 코로나19로 인해 대폭 감소한 항공유 수요는 점진적인 회복이 예상됨. 수요는 세계 교역 회복세와 비대면 경제 활성화로 견조한 흐름이 지속될 것으로 예상되나, 코로나19의 불확실성과 기저효과 둔화 등은 수요회복의 마이너스 요인임.
삼강엠앤티 100090
삼강엠앤티 네이버 증권보기 | 삼강엠앤티 FN GUIDE 종목분석 보기 |
유전개발에 필요한 해양구조용 강관과 송유관용 강관, 건축토목용 강관 등을 판매하는 후육강관 사업 영위. 정부의 LNG 비중 확대정책으로 인한 수혜가 기대되고 있음.
동사는 1999년 8월 삼강특수공업으로 설립되었으며 2008년 8월 1일 코스닥 상장, 2017년 방산업체(함정분야)로 지정됨. 동사의 고성공장은 약 13만평 면적으로 국내 최대 규모의 선박용 블록 제작 공장임. 메가블록을 생산할 수 있는 최적의 여건을 갖추고 있음. 동사의 플랜트사업부문은 플랜트 구조용 후육강관을 자체 제작하는 일관생산체계로 경쟁사 대비 원가 및 생산 경쟁력을 확보하고 있음.
2021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8.4% 증가, 영업이익은 26.1% 감소, 당기순이익은 0.9% 감소. 동사는 2020년 국내 최초로 해상풍력발전설비 하부 구조물(Jacket, 대만向)을 성공적으로 제작/인도함으로써 세계적으로 기술력을 인정 받음. 2020년 발효된 IMO2020은 물론 향후 강화되는 환경규제에 따라 선박 수리개조 시장 또한 지속적으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됨.
이더블유케이 258610
이더블유케이 네이버 증권보기 | 이더블유케이 FN GUIDE 종목분석 보기 |
지열발전설비 및 화공/LNG설비 제조, 판매업체. 지열발전과 관련된 열수기화기, 응축기, 배관 등의 지열발전설비와 화공/LNG플랜트와 관련된 열교환기, 타워 등의 화공/LNG설비를 제조하고 있음.
동사는 지열발전과 관련된 열수기화기, 응축기, 배관 등의 지열발전설비와 화공/LNG플랜트와 관련된 열교환기, 타워 등의 화공/LNG설비를 제조함. 사업부문은 지열발전 부문과 화공/LNG플랜트 부문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신재생에너지 중 하나인 지열발전 부문이 매출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음. 동사는 발전설비 공급 외에도 지열발전소 개발단계부터 프로젝트에 참여하여 컨설팅 업무도 수행하고 있음.
2021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470.2% 증가, 영업손실은 995.1% 증가, 당기순손실은 3181.7% 증가. LNG선 및 LNG육상기지에 사용되는 Suction Vessel, Head Plate 등을 납품중이며, Pump Pre-Assembly시스템 구축 준비중. 백신개발 및 접종으로 수주액은 2020년도 4분기말부터 조금씩 회복되는 추세를 보이고 있어 2021년도에는 매출액 회복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됨.
한진중공업 097230
한진중공업 네이버 증권보기 | 한진중공업 FN GUIDE 종목분석 보기 |
조선(신조선, 특수선, 수리선, 조선플랜트 등) 및 건설사업(토목공사, 건축공사, 플랜트공사, 분양 등) 등을 주요사업으로 영위. 세계 최초로 5,000t급 LNG 벙커링선(LNG Bunkering Vessel)을 건조.
동사는 조선업과 건설업을 주요사업으로 영위하는 기업으로, 2007년 8월 한진중공업홀딩스로부터 인적분할되어 증권시장에 상장됨. 해군 고속상륙정 단독 방산업체 지정으로 안정적 물량확보가 가능함. 동사는 2021년 2분기 기준 국내 건설업체들 가운데 시공능력평가액이 43위를 기록하고 있음. 전년 대비 3계단 상승. 동사가 강점을 가지고 있는 공항시설, 철도, 도로 및 발전시설, 발전보조설비공사에 역량을 집중하여 추진할 예정임.
2021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8% 감소, 영업이익 적자전환, 당기순이익 적자전환. 업황악화로 매출액의 감소와 더불어 영업이익과 순이익은 대규모 적자로 전환됨. 2021년 국방예산으로 작년 대비 5.4% 증가한 52.8조원을 편성과 더불어 국내 방산 조선소의 합병 등으로 방산 시장이 개편될 경우 보다 안정적인 방산 건조 물량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됨.
SK 034730
SK 네이버 증권보기 | SK FN GUIDE 종목분석 보기 |
SK그룹의 사업지주회사. 자회사 SK E&S가 LNG복합화력발전소인 광양천연가스발전소를 운영. SK E&S의 종속회사 파주에너지서비스가 파주문산천연가스발전소를 건설, 관리 및 운영.
1991년 설립, 2009년 유가증권 상장. 2015년 8월 (구)SK주식회사를 흡수합병하고 사명을 SK C&C에서 SK주식회사로 변경하였으며, SK그룹의 지주사임. 주요 사업은 별도 재무제표 기준으로 자회사의 제반사업 내용을 관리하는 지주사업 및 IT서비스 등을 영위하는 사업부문으로 구분됨. 연결대상 종속회사는 SK이노베이션, SK텔레콤, SK네트웍스, SKC, SK머티리얼즈, SK바이오팜, SK E&S 등 총 349개사임.
SK E&S, SK실트론, SK팜테코 등 비상장 자회사들의 실적 개선으로 상반기 매출액은 전년동기 대비 8.9% 증가했으며, 영업이익은 대규모 흑자로 전환됨. SK이노베이션은 10월 1일을 기일로 배터리 사업 부문과 E&P 사업 부문을 물적 분할하기로 결정함. 동사가 신주를 발행해 SK머티리얼즈 주식과 교환하는 형태로 흡수합병할 계획임. SK머티리얼즈가 특수가스 등 사업 부문을 물적 분할한 후 존속 지주 부문이 동사와 합병함.
대창솔루션 096350
대창솔루션 네이버 증권보기 | 대창솔루션 FN GUIDE 종목분석 보기 |
LNG저장 시설 및 TANK 제조를 주요사업으로 하는 (주)크리오스를 주요종속회사로 보유. (주)크리오스는 초저온시스템 및 솔루션을 제공하는 사업을 영위하며, 아시아 최초의 LNG 연료추진선인 에코누리호에 LNG 엔진 연료 공급 장치를 공급.
동사는 1953년에 회사 설립되었으며, 2007년 05월 17일 대창메탈로 상호를 변경 후 2007년 12월 17일 코스닥시장 상장함. 동사는 생활안전구조재, 자원채굴설비품, 에너지변환장치품, 수송 및 산업기기부품소재, 초저온산업에 사용 되는 주강품 및 관련 제품을 생산하고 있음. 동사가 개발하여 판매중인 원전폐기물 저장용기가 국내수요 발생할 경우를 대비하여 KHNP에 협력사 등록을 진행하고 있음.
2021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4.7% 증가, 영업손실은 56.9% 감소, 당기순손실은 57.9% 감소. 매출증가와 더불어 원가율 개선에 힘입어 영업적자는 전년 동기 대비 대폭 감소함. 동사는 사업분야 확대를 위해 기존 소재 사업에 정련로를 활용한 특수강 및 잉곳 사업 및 제관, 이종 용접 등의 부가가치를 높일 수 있는 사업으로 다각화를 꾀하며 중장기 계획을 진행 중임.
'테마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게임 테마 관련 수혜주 대장주 관련 종목 정리 (0) | 2021.12.23 |
---|---|
LPG 액화석유가스 테마 관련 수혜주 대장주 주식 종목 정리 (0) | 2021.12.23 |
NFT(대체불가토큰) 테마 관련 수혜주 대장주 주식종목 정리 (0) | 2021.12.23 |
3D 프린터 테마 관련 수혜주 대장주 관련 종목 정리 (0) | 2021.12.22 |
3D 낸드(NAND) 테마 관련 수혜주 대장주 주식 종목 정리 (0) | 2021.12.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