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D 프린터 테마 개요
3D 프린터란 3차원 설계도를 보고 입체적인 물건을 인쇄하는 프린터로, 산업의 패러다임을 바꿀 기술로 부각되고 있음. 미국과 유럽, 일본, 중국 등에서 정부 차원의 대규모 지원을 추진 중이며, 국내에서는 세계 최대 3D 프린터 제조업체 스트라타시스가 2013년 본격 진출하면서 관련 산업이 활성화 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음. 하지만, 3D프린터 시장이 성장 가능성은 있지만 아직은 틈새시장에 머물고 있으며, 관련 종목으로 언급되는 국내 업체들도 아직 실질적인 완제품 생산 기술을 갖추고 있지 못하고 있는 수준이므로 투자에는 유의가 필요함.
3D 프린터 관련 종목
휴림로봇 090710
휴림로봇 네이버 증권보기 | 휴림로봇 FN GUIDE 종목분석 보기 |
3D 프린터의 기본 원리인 X,Y,Z 축의 움직임과 그 움직임을 제어하는 모션컨트롤 기술을 보유. 3D 프린터의 제작 활성화에 따른 부품 적용 확대 기대.
동사는 1999년 11월 29일에 법인전환 형태로 설립되었으며, 2006년 12월 5일 로봇업체로는 최초로 코스닥시장에 상장되었음. 동사의 연결대상 종속회사는 2019년 1분기 신규 연결된 '(주)인웍스로봇'을 포함하여 4개사가 있음. 최근 IT기술과 융합하여 네트워크를 통한 기능분산, 가상공간 내의 동작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로봇, 소프트웨어의 로봇에까지 진화하여 유비쿼터스 시대의 핵심적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됨.
2021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20% 증가, 영업손실은 21.5% 감소, 당기순이익 적자전환(영업외수지 악화). 직각좌표 로봇등 제조업 로봇은 물론 스마트한 퍼스널 로봇 '테미' 등 서비스 로봇 내수 매출 증가로 외형 성장함. 동사의 로봇 '테미’는 안드로이드 기반의 커스터마이징이 용이하고 높은 완성도와 뛰어난 성능, 가격 경쟁력을 가진 오픈 플랫폼으로 실질적인 상용화가 가능한 서비스 로봇이 될 것으로 전망됨.
TPC 048770
TPC 네이버 증권보기 | TPC FN GUIDE 종목분석 보기 |
3D 프린팅 사업 영위중. 13년10월 3D 프린팅 사업본부를 신설, 국내외 3D프린터 업체와 사업 협약. 세계적인 3D 프린터 회사인 스트라타시스社와 업무제휴를 맺어 해외 유수 제품을 국내에 도입하여 시장 확대를 추진중.
동사는 1979년 1월 22일에 단해공압공업 주식회사 로 설립. 1999년 12월 상호를 주식회사 TPC메카트로닉스로 변경함. 동사는 공장 자동화부품을 생산하는 공압사업부, 전동 모터 및 리니어모터를 활용한 릭교로봇을 생산하는 모션사업부를 운영 중. 신규사업으로서 3D프린터 전략팀과 협동로봇 전략팀을 운영. 로봇솔루션파트는 미국 Rethink Robotics사와 대만 Quanta Storage사의 제품을 국내 시장에 판매.
2021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6% 감소, 영업이익은 29.1% 감소, 당기순이익은 181.4% 증가. 매출액 감소에도 불구하고 원가율 개선, 그리고 판관비 인건비 등 비용 절감 노력에 힘입어 영업이익은 소폭 증가함. 동사는 개인 및 SOHO등을 타겟으로 최우수 국산기술을 보유한 애니웍스와 사업제휴를 체결하여 자체 3D프린터를 개발하여 기존 전국적 사업 인프라를 활용한 시장 조기선점에 집중하고 있음.
에스티아이 039440
에스티아이 네이버 증권보기 | 에스티아이 FN GUIDE 종목분석 보기 |
14년2월 "세미콘코리아 2014"에서 3D 프린터 시제품을 출시하는 등 3D 프린터 사업 진출 본격화. 2005년부터 개발에 착수해 확보한 잉크젯 프린터 기술을 응용한 산업용 잉크젯 프린터, 3D프린터 등을 개발 완료.
1997년 7월에 설립됨. 지배기업의 주요제품으로는 Chemical 중앙공급 System, 세정 및 Etching 장비, 검사장비 등이 있음. 동사가 개발한 반도체 패키징 공정장비 '무연납 진공 리플로우장비'는 현재 미국업체가 독점하고 있는 시장임. 고도의 기술력이 집약된 장비로서 지속적인 연구개발을 통해 장비 개발에 성공하였고, 매출처 확보를 위해 끊임없이 노력해왔으며 그 결과 최근 중국 진출에 성공하였음.
2021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16.8% 감소, 영업이익은 9.8% 감소, 당기순이익은 13.5% 증가. 매출원가 감소에도 불구하고 매출 하락이 영업이익 감소로 이어짐. 2021년 세계 반도체 시장은 5,272억 23백만달러로 2020년 대비 12% 상향할 것으로 예상됨. 또한 2022년에는 5,734억 40백만달러 성장에 이를 것으로 전망됨.
하이비젼시스템 126700
하이비젼시스템 네이버 증권보기 | 하이비젼시스템 FN GUIDE 종목분석 보기 |
신규사업으로 3D프린터 및 3D스캐너 개발 사업을 영위. 시장성이 높은 FDM(Fused Deposition Modeling) 3D프린터를 개발하여 14년 말부터 시장판매를 개시. 제품으로 CUBICON 시리즈 등이 있음.
2010년 4월 8일 설립돼 2012년 1월 26일을 합병기일로 해 ㈜하이비젼시스템과 합병함. 상호를 ㈜하이비젼시스템으로 변경함. 지배회사인 ㈜하이비젼시스템은 5개의 종속회사와 4개의 관계회사가 있음. 모두 비상장회사임. 피합병회사인 ㈜하이비젼시스템은 2002년 5월 14일 설립됨. 동사는 계속기업으로 존속기간이 정해져 있지 않음. 카메라 모듈 자동화 검사장비 시장은 최근 3년 간 급속히 성장하였음.
2021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81.7% 증가, 영업이익은 352.6% 증가, 당기순이익은 358% 증가. 2021년 반기 연결기준 매출액은 1,040억원, 영업이익은 200억원이며, 이는 전년 동기대비 매출액은 66.0% 증가하고, 영업이익는 1,729.8% 확대된 수치임. 매년 매출액의 약 10%를 연구개발비에 투자하고 있음. 제품의 선행 개발 등을 통해 회사의 지속적 성장 기반을 구축해 나가고 있음.
모아텍 033200
모아텍 네이버 증권보기 | 모아텍 FN GUIDE 종목분석 보기 |
스테핑 모터(STEPPING MOTOR) 전문 생산업체로 3D 프린터용 모터 공급 가능업체로 시장에서 주목 받음. 동사의 최대주주인 일본의 미네베아(MINEBEA)사는 이미 일본에서 3D프린터용 스테핑모터와 기어박스를 생산중.
전자기기, 가전, 자동차 등에 들어가는 소형정밀모터인 STEPPING MOTOR의 생산과 판매를 주요 사업으로 영위하는 기업임. STEPPING MOTOR 및 응용제품 매출이 전체의 90% 이상을 차지함. 부동산 임대업체 MOATECH REALTY, INC와 MOATECH MANUFACTURING PHILIPPINES.,INC를 연결대상 종속회사로 보유하고 있음.
2021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14.4% 증가, 영업손실은 30.4% 감소, 당기순손실은 29.3% 감소. 매출원가가 큰 폭으로 상승했지만 매출 증가폭이 커 영업손실폭은 축소됐음. 신성장동력으로 자동차 관련 제품을 개발해 출시하고 온수조절용 밸브, FCU등 난방, 공조관련 ACTUATOR의 개발을 완료하여 2021년 상반기 판매를 시작하는 등 실적 개선을 위해 꾸준히 노력 중임.
로보스타 090360
로보스타 네이버 증권보기 | 로보스타 FN GUIDE 종목분석 보기 |
3D 프린터의 기본 원리인 X,Y,Z 축의 움직임과 그 움직임을 제어하는 모션컨트롤 기술을 보유. 3D 프린터의 제작 활성화에 따른 부품 적용 확대 기대.
동사는 1999년 2월에 산업용 로봇 제조업 등을 주 목적으로 설립되었으며, 2011년 10월 17일에 코스닥시장에 상장. 동사는 디스플레이, 자동차 등 다양한 제조현장에서 공정 내 자동화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활용되는 산업용 로봇, FPD장비, IT부품제조장비 등 제조 및 판매를 주요 사업으로 영위함. 동사의 제조용로봇의 주요제품은 이적재용 로봇으로, 시장점유율은 2019년 기준 10.6%를 차지함.
2021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10% 증가, 영업손실은 89.1% 감소, 당기순이익 흑자전환. 매출액 대폭 개선과 판관비 절감을 바탕으로 체질 개선에 성공하며 수익성 개선. 영업손실 대폭 감소하며 당기순이익 흑자전환에 성공함. 주52시간제 도입, 최저입금의 급격한 상승 등 노동환경 변화에 로봇시장이 부각됨에 따라 제조 산업 전반으로 스마트 팩토리, 로봇 적용 확대될 전망으로, 향후 수익성이 기대됨.
프로텍 053610
프로텍 네이버 증권보기 | 프로텍 FN GUIDE 종목분석 보기 |
3D 프린팅의 핵심부품인 압출기를 정밀 제작할 수 있는 기술 보유.
동사는 2017년 1월 위티에서 프로텍엘앤에이치로 상호가 변경됨. 2019년12월 프로텍에이엔이에서 피앤엠으로 상호가 변경됨. 창업초기의 많은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지속적인 기술개발에 투자하여 이제는 당사의 고유장비 및 제품에 대한 국내 및 해외에서 품질에대한 신뢰성을 확보하고 있음. 1997년 설립이후 반도체(후공정) 생산용장비 제조전문업체로서의 기술적인 기반을 다져왔음.
2021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149.3% 증가, 영업이익은 450.4% 증가, 당기순이익은 501.8% 증가. 매출 증가 및 비용 판관비 절감으로 영업이익과 당기순이익 모두 증가함. 동사는 삼성전자, LG전자, 하이닉스반도체 등에 제품을 공급하고 있음. 동사는 기존 제품으로는 적용이 불가능한 소형 부품의 개발 및 다양한 장비와의 호환 가능토록 독창적인 제품의 개발에도 적극투자하고 있음.
디오 039840
디오 네이버 증권보기 | 디오 FN GUIDE 종목분석 보기 |
3D프린터/소재와 밀링장비를 출시하여 디지털 보철 솔루션을 구축.
동사는 1988년 설립되어 의료기기와 인공치아용 임플란트 제품을 생산 및 판매하는 사업을 영위함. 동사가 공급하는 주력 제품군은 임플란트, DIONavi., Digtal 교정장치, 디지털 보철솔루션 등 총 4개 부문임. 임플란트 및 의료기기 사업은 제34기 3분기말 연결기준 매출액 1,107억원을 달성하였으며, 영업이익은 314억원을 거두었으며 3,769백만원의 연구개발비용을 지출함.
2021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30.6% 증가, 영업이익은 58.1% 증가, 당기순이익은 124.9% 증가. 원가율 상승과 주요 비용의 증가에도 불구하고 매출 확대에 힘입어 영업이익이 큰 폭으로 증가함. 동사는 기존 제품 대비 조사시간을 획기적으로 단축하여 사용효율을 크게 향상시킨 UV 조사기와 UV 임플란트 출시로 임플란트 매출 성장의 가속화가 기대됨.
코렌텍 104540
코렌텍 네이버 증권보기 | 코렌텍 FN GUIDE 종목분석 보기 |
금속 3D 프린터 생산 및 판매업체 (주)인스텍 지분 보유.
국내 최초 인공관절 전문 제조기업으로 2000년 설립한 이래 인공관절의 개발, 제조 및 판매를 주 사업으로 영위하고 있음. 주요 제품은 인공고관절 및 인공슬관절이며, 척추고정기기, 견관절, 족관절의 연구 개발 및 솔루션을 지속적으로 제공. 인공관절 분야는 인공 장기류 중에서 우리나라에서 산업화하여 육성 가능하고, 차세대 주력 바이오 산업으로 성장 가능한 분야임.
2021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13.2% 증가, 영업이익은 26.8% 증가, 당기순이익은 16.7% 증가. 매출원가와 판관비의 관리 효율성 증가로 인하여 실적이 개선됨. 인공견관절, 척추고정기기, 인공족관절 등으로 제품 라인업을 확장 중임. 생리활성 물질이 담지된 생체구조형 관절 모듈의 개발을 위해 서울대학교, 세종대학교 및 ㈜덴티움과 공동으로 연구 진행 중.
신도리코 029530
신도리코 네이버 증권보기 | 신도리코 FN GUIDE 종목분석 보기 |
16년 첫 독자개발 3D프린터인 '3DWOX DP200' 제품을 출시.
동사는 1960년 7월 7일에 신도교역 주식회사로 설립, 1996년 12월 24일 유가증권시장에 상장함. 2D&3D 전문기업으로 A3 복합기는 지난 61년간 국내 복합기 MS 1위의 자리를 한결같이 지켜왔으며, Full Line-Up을 구축하여 다양한 고객과 시장의 요구에 부응하고 있음. 3D 프린터는 개인용, 전문가용, 상업용 제품 Line-Up을 강화하여 시장에 대응하고 있음.
2021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0.7% 증가, 영업이익 흑자전환, 당기순이익 흑자전환. 매출이 감소했으나 매출원가, 판관비, 인건비 등 비용을 감축하여 영업이익과 당기순이익 모두 흑자전환함. 지난해는 정밀산업용 3D프린터 ‘신도A1’을 개발해 소형 금형제품시장으로 공략 시장을 넓힌 뒤 올해는 대형 폴리머산업용 제품인 ‘신도S100’을 앞세워 중대형 플라스틱제품시장까지 노리고 있음.
티앤알바이오팹 246710
티앤알바이오팹 네이버 증권보기 | 티앤알바이오팹 FN GUIDE 종목분석 보기 |
생분해성 인공지지체, 3D 바이오 프린팅시스템 등을 제조 및 판매하는 업체. 독자적으로 개발한 3D 바이오프린팅(세포 프린팅 포함) 시스템과 세포프린팅에 필수 재료인 바이오잉크와 3D 바이오프린팅 시스템으로 생산되는 조직 재생용 생분해성 인공지지체의 상용화 완료. 체외실험용 3D 오가노이드(장기유사체) 및 3D 세포치료제를 개발하기 위한 연구 진행 중.
동사는 독자적으로 개발한 3D 바이오프린팅(세포 프린팅 포함) 시스템과 세포프린팅에 필수 재료라 할 수 있는 바이오잉크의 상용화를 완료하였음. 현 기술을 더욱 발전시켜 체외실험용 3D 오가노이드 (장기유사체) 및 3D 세포치료제를 개발하기 위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음. 생분해성 인공지지체는 조직 공학 기술을 이용하여 생물학적 조직의 형성 및 재건에 도움을 주는 제품이며, 두개악안면 재건과 교정 및 성형 2개의 카테고리로 구분됨.
2021년 9월 전년동기 대비 별도기준 매출액은 67.4% 감소, 영업손실은 105.6% 증가, 당기순손실은 99.3% 증가. 매출 감소와 고정비 부담으로 영업이익과 당기순이익 모두 감소함. 동사의 기술은 세포를 3D 바이오프린터를 이용하여 입체적으로 적층. 오랜 개발 기간을 거쳐 자체 제작한 동사 3D 바이오프린팅 시스템은 기존 경쟁 기관들에 비해 확실한 경쟁 우위를 확보하고 있음.
한국테크놀로지 053590
한국테크놀로지 네이버 증권보기 | 한국테크놀로지 FN GUIDE 종목분석 보기 |
2010년 3월 KAIST연구진과 산학협력을 통하여 3D프린터를 국내 기술로 양산에 성공한 솔리시스와 공동사업 MOU를 체결한 바 있음.
1997년 7월 22일에 전기 및 전자부품, 통신기기 및 방송장비 제조 및 도소매업 등을 영위할 목적으로 설립되었고, 2001년 8월 23일에 코스닥시장에 상장됨. 중국 전자제품 제조 및 판매기업 샤오미의 국내 공식 총판으로 Redmi 시리즈, Mi 시리즈 등 다양한 종류의 스마트폰을 유통하고 있음. 동사의 자동차 전장 사업은 자동차용 IVI 시스템 및 디지털 클러스터 등을 주력으로 함.
2021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13.8% 증가, 영업이익은 25.3% 감소, 당기순손실은 1413.5% 증가. 매출액 증가 대비 판관비 등 각종 비용 증가 폭이 더 높아 수익성이 악화되었음. 따라서 영업이익과 당기순이익 모두 감소함. 동사가 유통 중인 샤오미 제품도 자체 운영체제인 미유아이(MIUI)를 사용하여 가전제품, 웨어러블, 아웃도어, 자동차용품, 헬스케어 상품 등 모든 제품을 제어할 수 있음.
세중 039310
세중 네이버 증권보기 | 세중 FN GUIDE 종목분석 보기 |
3D프린터 및 3D CAD를 납품 및 유지보수 사업을 진행중인 종속회사 세중정보기술을 흡수합병.
법인 고객사 임직원의 해외출장 시 항공, 호텔, 렌터카, 보험, 현지정보제공 등 개별적인 출장 일정의 안내 및 예약, 상담, 발권과 해외연수 등을 담당하고 있음. 600여개 주요 법인 거래처별 전담 담당자의 선정으로 여권 및 비자수속, 항공권 예약 및 발권 등을 One-stop Service로 제공하고 있음. 동사의 주 수요 고객층은 법인, 당사의 대리점, ON-LINE, OFF-LINE, 카드사의 여행사업부 등으로 나눠짐.
2021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17.9% 증가, 영업이익은 170.7% 증가, 당기순이익은 139.6% 증가. 항공권 매출은 줄었으나 여행 알선 등의 수입요소가 개선되어 매출애 증가하였음. 여러 별정통신 업체들 중 최고의 IDC 시설을 자체 운영 중에 있으며 이를 통한 자체 수익모델 발생 및 부가수익을 발생시켜 신규 사업 추진에 중점을 두고 있음.
'테마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LPG 액화석유가스 테마 관련 수혜주 대장주 주식 종목 정리 (0) | 2021.12.23 |
---|---|
LNG 액화천연가스 테마 관련 수혜주 대장주 주식 종목 정리 (0) | 2021.12.23 |
NFT(대체불가토큰) 테마 관련 수혜주 대장주 주식종목 정리 (0) | 2021.12.23 |
3D 낸드(NAND) 테마 관련 수혜주 대장주 주식 종목 정리 (0) | 2021.12.22 |
폐배터리 테마 관련 수혜주 대장주 주식 종목 정리 (0) | 2021.12.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