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마정보 / / 2021. 12. 22. 06:21

3D 낸드(NAND) 테마 관련 수혜주 대장주 주식 종목 정리

 

3D 낸드(NAND) 테마 개요

3D 낸드(NAND)란 메모리 반도체의 한 종류로 2D(평면) 낸드의 회로를 수직으로 세운 제품임. 2D(평면) 낸드보다 속도가 빠르고 용량을 크게 늘릴 수 있으며, 안정성과 내구성도 뛰어날 뿐 아니라 전기 소모량도 적음. 기술력을 요하는 만큼 삼성전자, 도시바 등 일부 대형 업체만이 양산해 왔으며, SK하이닉스가 본격 양산하는 등 3D 낸드에 대한 투자가 본격화 되면서 부각되는 종목군임.

 

3D 낸드(NAND) 테마 개요

 

3D 낸드(NAND) 관련 종목

피에스케이홀딩스 031980

피에스케이홀딩스-일봉차트

 

피에스케이홀딩스 네이버 증권보기 피에스케이홀딩스 FN GUIDE 종목분석 보기

반도체 후공정 장비 사업을 주요 사업으로 영위하는 업체.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등 반도체 업체들의 3D NAND 설비 확장 계획에 따른 장비 수요 증가 기대.

 

동사는 1990년 6월 11일에 설립되었으며, 1997년 1월 7일 KRX 코스닥시장에 상장하였음. 2019년 04월 01일에 존속회사, 신설회사로 인적분할하고 존속법인은 피에스케이홀딩스로 신설법인은 피에스케이로 사명을 정하였음. 2020년 02월 01일에 피에스케이홀딩스(평택소재, 비상장)와 합병하였음. 반도체 제조장비, 플랫판넬 디스플레이 제조장비 및 관련 제품의 제조, 판매, 배포 등의 사업을 영위함.

 

2021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51.4% 증가, 영업이익 흑자전환, 당기순이익은 37.5% 감소. 매출의 증가로 인해 영업이익이 크게 증가함. 다만 당기순이익은 법인세 부담의 증가 등으로 감소함. 세계 반도체장비 시장은 2021년도에는 전년도보다 4.3% 성장할 것으로 예상함. 2021년에는 주요 반도체 기업들의 대규모 투자가 예상되고 있어 대한민국과 중국 지역의 설비투자 규모가 크게 증가할 것으로 기대됨.

 


원익QnC 074600

원익QnC-일봉차트

 

원익QnC 네이버 증권보기 원익QnC FN GUIDE 종목분석 보기

원익그룹 계열로 반도체 및 LCD 생산시 사용되는 세라믹제품을 전문적으로 제조, 공급하는 업체.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등 반도체 업체들의 3D NAND 설비 확장 계획에 따른 제품 수요 증가 기대.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제조에 사용되는 석영제품(쿼츠)와 산업용 세라믹을 제조하는 업체로 2003년 11월 원익으로부터 기업분할로 설립됨. 동사의 사업은 쿼츠, 세라믹, 램프, 세정의 4개 부문이며, 쿼츠부문은 해외 10개(미국3, 대만1, 독일2, 일본1, 중국2, 태국1)의 종속기업을 포함하고 있음. 2020년 1월 MOMQ Holding를 통하여 미국의 반도체용 소재 전문회사인 모멘티브사의 쿼츠/세라믹 부문 4개사를 인수함.

 

올해 TSMC와 삼성전자 등 반도체 업체들의 캐펙스(Capex)가 가속화되면서 소모성 공정부품에 대한 수요 증가가 이어져 매출증가와 함께 영업이익이 급증함. 쿼츠사업부가 낸드플래시 메모리 위탁생산 업체들의 설비투자 경쟁에 따른 수혜가 집중되고 있으며, 코팅방식이 진화하면서 세정사업부 가치가 재조명 받을 것임.  MOMQ는 인수 전보다 쿼츠·세라믹 업황이 좋다는 점을 고려하면 실적 턴어라운드는 생각보다 더 빠르고 강할 것으로 판단됨.

 


유진테크 084370

유진테크-일봉차트

 

유진테크 네이버 증권보기 유진테크 FN GUIDE 종목분석 보기

반도체 전공정장비업체. 전공정의 웨이퍼 처리공정 중 박막형성재료를 화학반응에 의해 반도체기판(wafer)위에 박막을 형성하는 장비를 제공중.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등 반도체 업체들의 3D NAND 설비 확장 계획에 따른 장비 수요 증가 기대.

 

동사는 반도체 박막을 형성하는 전공정 프로세스 장비를 개발, 생산하는 반도체 전공정 장비 업체로서 2006년 코스닥시장에 상장함. 반도체용 산업가스 충전, 제조 정제 및 판매를 사업으로 하는 유진테크머티리얼즈를 종속회사로 두고 있음.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마이크론 등 유수의 글로벌 반도체 회사들과 제조장비 공급계약을 체결함. 매출 구성은 LPCVD 장비 외 87.5%, 상품 및 기타 8.4% 등으로 이루어짐.

 

2021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69.8% 증가, 영업이익은 316.6% 증가, 당기순이익은 1010.7% 증가. 반도체 업황 호조로 주 수익원인 LPCVD 장비 부문이 2배 수준으로 증가하면서 높은 이익 실현. 20년 연결 매출액인 2,000억원을 이미 초과달성함. 반도체 공정 미세화, 고도화가 진행되면서 반도체 소재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어 동사의 동반 성장이 기대됨.

 


원익IPS 240810

원익IPS-일봉차트

 

원익IPS 네이버 증권보기 원익IPS FN GUIDE 종목분석 보기

원익그룹 계열사로 반도체 증착장비 및 장치, Display 양산 장비, SOLAR CELL 장비 등을 제조 및 판매업을 영위. 삼성전자의 핵심장비 공급 업체로 삼성전자의 3D NAND 추가 설비확장 등에 따른 수혜 전망.

 

인적분할로 설립된 신설회사로 2016년 5월 재상장, 분할 전 회사인 원익홀딩스가 영위하던 사업 중 반도체, Display 및 Solar 장비의 제조사업부문을 담당. 2019년 2월 원익테라세미콘 합병으로 국내 대형 장비 기업으로 도약. 매출구성은 제품(반도체/Display/Solar Cell 제조 장비) 94.6%, 기타(장비 및 장치 유지보수에 필요한 부품, 기술용역 등) 5.4%로 이루어져 있음.

 

2021년 6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41.6% 증가, 영업이익은 90.2% 증가, 당기순이익은 106.6% 증가. 당반기 반도체 가동률이  99%에 달할 정도로 반도체 분야의 매출이 급증. 이에 따라 이익도 큰 폭으로 상승. 비용이 크게 증가한 측면이 있는데 이는 대부분 환차손임. 부채 비율 역시 늘었는데 차입금 증가로 인한 부채가 아니고 매출 증대로 인한 선수금(영업부채) 위주임.

 


테크윙 089030

테크윙-일봉차트

 

테크윙 네이버 증권보기 테크윙 FN GUIDE 종목분석 보기

반도체 후공정 검사장비인 테스트 핸들러 전문 제조 기업. 반도체 테스트 핸들러의 설계, 제조, 판매를 주요 사업으로 영위. 주요 매출처는 SK하이닉스, SanDisk, Micron 등.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등 반도체 업체들의 3D NAND 설비 확장 계획에 따른 장비 수요 증가 기대.

 

동사는 반도체 시험 및 검사장비, 디스플레이 제조 및 검사장비를  제조하여 전세계 각국 수요처들에게 공급하고 있음. 동사의 주력 제품은 양품과 불량품을 자동으로 분류하는 반도체 테스트 핸들러이며 이는 IDM업체, OSAT 업체에 판매되고 있음. 디스플레이 장비 분야에서는 최근 Module 외관검사기가 주력 제품으로 공급되고 있으며, 폴더블폰의 본격적인 공급으로 인하여 폴더블 패널 외관검사기 공급을 시작함.

 

2021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5.3% 증가, 영업이익은 18.3% 감소, 당기순이익은 47.3% 감소. PCB설계 분야의 매출 비중이 2019년 1.07%에서, 2020년 4.52%, 2021년 9월 5.02%로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음. SoC 부문에서 자동차 전장, IoT, VR/AR, 웨어러블 기기 등의 폭발적 칩 수요 증가에 따라 반도체 장비의 수요도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됨.

 


SK하이닉스 000660

SK하이닉스-일봉차트

 

SK하이닉스 네이버 증권보기 SK하이닉스 FN GUIDE 종목분석 보기

SK그룹 계열의 세계적인 메모리 반도체 전문 제조업체. 업계 최초로 72단 3D NAND FLASH 개발. 3D NAND를 사용한 Enteprise향 PCIe SSD 제품 등을 개발. 세계 최초로 CTF(Charge Trap Flash) 기반 4D 낸드플래시 구조의 96단 512Gb TLC(Triple Level Cell) 낸드플래시 개발에 성공 및 128단 1Tb TLC 4D NAND 개발.

 

1983년 현대전자로 설립됐고, 2001년 하이닉스반도체를 거쳐 2012년 최대주주가 SK텔레콤으로 바뀌면서 SK하이닉스로 상호를 변경함. 주력제품은 DRAM, 낸드플래쉬, MCP와 같은 메모리 반도체이며, 2007년부터 시스템LSI 분야인 CIS 사업에 재진출함. 20년 10월 인텔의 NAND사업을, 21년 10월 키파운드리 지분 100%를 양수하기로 결정함. 세계 반도체시장 점유율은 D램 28.0%, 낸드플래시 12.9%임.

 

서버와 스마트폰 등 메모리 반도체 수요가 늘었고, 반도체 가격도 상승하면서 2021년 3분기 역대 최대 매출을 기록함. 낸드플래시 사업에서도 흑자 전환에 성공함. IT공급망 차질로 D램, 낸드 ASP(평균판매가격)는 4분기를 기점으로 하락 반전하게 될 전망으로 실적 둔화가 예상됨. 낸드 빗그로스가 3분기 20%대에 이어 4분기에도 두 자릿수라는 점을 고려하면 128단의 넷다이가 당초 추정을 상당 수준 상회하는 것으로 보임.

 


테스 095610

테스-일봉차트

 

테스 네이버 증권보기 테스 FN GUIDE 종목분석 보기

반도체 장비제조 사업(전공정 핵심장비 CVD, ETCH장비 제조 등)을 영위하는 업체로, 주요 고객으로 SK하이닉스, 삼성전자 등을 보유.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등 반도체 업체들의 3D NAND 설비 확장 계획에 따른 장비 수요 증가 기대.

 

동사는 반도체 제조에 필요한 전공정 장비(PECVD, LPCVD, Gas Phase Etch&Cleaning 등)의 제조를 주된 사업으로 영위함. 2013년 반도체 전공정 장비인 LPCVD와 PECVD의 양산에 성공하였고, 비정질탄소막을 증착하여 신규 PECVD는 반도체 3D NAND 공정에 적용함.  주요 매출 구성은 반도체 장비(PECVD,GPE)와 디스플레이 장비(UVC LED 장비 등)으로 82.42% 이루어짐.

 

2021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63.5% 증가, 영업이익은 101.2% 증가, 당기순이익은 122.8% 증가. 장기적으로는 5G, 사물인터넷 (IoT) 등 IT산업의 발달로 반도체에 대한 수요는 지속적으로 증가될 것으로 전망하며, 이에 따라 반도체 장비산업 역시 성장할 것으로 예상함. 동사는 2021년 3분기 주요 고객사들의 설비투자 및 장비 개조 등에 따라 3,130억원의 매출을 달성함.

 


심텍 222800

심텍-일봉차트

 

심텍 네이버 증권보기 심텍 FN GUIDE 종목분석 보기

반도체 및 통신기기용 인쇄회로기판(PCB) 사업을 주요 사업으로 영위.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등 반도체 업체들의 3D NAND 설비 확장 계획에 따른 제품 수요 증가 기대.

 

동사는 인적분할로 설립된 신설 회사로 2015년 8월 재상장하였으며, 분할 전 회사인 심텍홀딩스의 인쇄회로기판 제조사업부문 일체를 영위. 글로벌 Big 4 메모리 칩 메이커인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등과 Big 5 패키징 전문기업 ASE, Amkor 등을 고객사로 확보하여 안정적인 성장을 지속 중임. 동사의 제품은 지속적인 기술개발을 바탕으로 선도기술인 패턴 매립형 기판(ETS)은 2016년 세계일류화 상품에 지정된 바 있음.

 

2021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5.5% 증가, 영업이익은 29.2% 증가, 당기순이익은 40% 증가. 동사는 코로나19등 불확실성 증대에도 불구하고 서버 및 스마트 모바일향 고부가가치 제품 위주 매출 성장함.  고부가 제품군인 GDDR6(그래픽카드용 DRAM), 서버용 메모리모듈이 선방함.  게임기 신제품 출시로 인해 GDDR6 신규 수요와 함께 서버용 메모리모듈의 추가적인 성장이 예상됨.

 


케이씨텍 281820

케이씨텍-일봉차트

 

케이씨텍 네이버 증권보기 케이씨텍 FN GUIDE 종목분석 보기

디스플레이 및 반도체 공정에 사용되는 전공정 장비 및 소모성 재료 생산, 판매.

 

동사는 2017년 케이씨로부터 인적분할로 설립되어 반도체, 디스플레이 장비 및 소재 사업 부분을 영위함. 반도체  전공정 장비 및 소모성 재료의 제조 및 판매를 주력사업으로 영위하고 있으며, 반도체 CMP, 세정장비/디스플레이 Wet-station 및 Coater 장비, 반도체 Slurry 등 라인업을 갖추고 있음. 매출구성은 반도체부문 72%, 디스플레이부문 27% 등으로 이루어져 있음.

 

2021년 9월 전년동기 대비 별도기준 매출액은 11.1% 증가, 영업이익은 7.4% 감소, 당기순이익은 3.5% 증가. 전방 산업인  디스플레이 업종이 코로나 특수로 성장했으나, 다시 중국발 경쟁이 심해지며 당사에도 매출에 영향을 미침.  삼성전자의 낸드 투자가 본격적으로 시작되어  D램과 낸드향 CMP 장비 공급 중심으로 매출이 성장할 전망. SK하이닉스향 클리닝 장비 공급도 크게 증가할 전망.

 


디엔에프 092070

디엔에프-일봉차트

 

디엔에프 네이버 증권보기 디엔에프 FN GUIDE 종목분석 보기

반도체 소자 형성용 박막 재료 전문업체. LT(Low-temp)Sio/Sin용 소재인 HCDS 제품, 식각공정에 사용되는 하드마스크필름용 소재인 ACL 제품 등을 주요 제품으로 생산. 3D NAND용 HCDS를 공급하고 있어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등 반도체 업체들의 3D NAND 설비 확장 계획에 따른 제품 수요 증가 기대.

 

동사는 2001년 1월에 설립되어 2007년 11월 코스닥 시장에 상장된 반도체 박막 재료 부분을 주요 사업으로 영위함. 미세패턴 구현을 위한 패터닝용 희생막 재료인 DPT와 QPT 재료를 비롯한 Capacitor 유전막 및 Metal Gate 절연막으로 사용되는 High-K 재료 등을 주로 생산함. 매출은 반도체 전자재료가 69.45%, 광통신 소자 및 재료가 30.55% 로 구성됨

 

2021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37.4% 증가, 영업이익은 29.3% 감소, 당기순이익은 47.9% 감소. 매출은 증가하였으나 재고자산 평가손실 등의 비용이 큰 폭으로 증가하며 수익성은 악화됨. 기존 사업 외 LT SiN, 미세화 수율 향상을 위한 HardMask 재료, 박막 특성 향상을 위한 Metal 재료, OLED 소재 등 신규 사업을 추진중임.

 


유니테스트 086390

유니테스트-일봉차트

 

유니테스트 네이버 증권보기 유니테스트 FN GUIDE 종목분석 보기

반도체 검사 장비를 전문으로 개발, 생산하는 업체.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등 반도체 업체들의 3D NAND 설비 확장 계획에 따른 장비 수요 증가 기대.

 

동사는 반도체 후공정(반도체 검사 장비)업체로서 메모리 모듈 테스터 및 메모리 컴포넌트 테스터를 국내 업계 최초로 개발 완료하여 반도체 장비의 국산화를 주도하고 있음. 동사는 기존의 SI 태양전지를 대체할 수 있는 보다 저렴하면서 고효율을 낼 수 있는 페로브스카이트 물질을 이용한 신규의 태양전지를 개발중임. 주요 매출 구성은 태양광 사업 50.32%, 반도체 검사장비 49.67% 등으로 이루어짐.

 

2021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31.7% 증가, 영업손실은 18.4% 증가, 당기순손실은 38.4% 감소. 차량용 반도체 시장은 자동차의 전장화 확대로 DRAM 및 NAND 탑재량이 가파르게 증가할 전망임. 동사는 태양광 관련 장비 판매 뿐만아니라, EPC(설계, 조달, 시공 일괄 수주)사업 입찰에 참여하는 형태로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매출이 발생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음.

 


제우스 079370

제우스-일봉차트

 

제우스 네이버 증권보기 제우스 FN GUIDE 종목분석 보기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관련 생산장비 제조 업체.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등 반도체 업체들의 3D NAND 설비 확장 계획에 따른 장비 수요 증가 기대.

 

1970년에 설립된 동사는 반도체 제조 장비, TFT-LCD 인라인 트랜스퍼 시스템 및 태양전지 제조장비, 밸브시스템 등을 생산 판매하고 있음. 반도체 제조장비 사업부문에서는 반도체 제조공정 및 일반 산업체 박막 공정에 주로 사용되는 Cryo Pump를 취급하며 국내 모든 Cryo Pump는 동사에서 유지 보수하고 세계시장 1위임. 2021년 9월말 현재 연결대상 종속회사는 쓰리젯, 솔브리지, 제우스이엔피 등 국내외 12개사임.

 

세정장비 국산화 사이클과 High Throughput/Uniformity 등을 위한 세정장비 수요 증가 동시 발생하여 3분기 누적 매출액이 전년동기 대비 4.1% 증가함. Batch 타입 세정장비 국산화 효과로 원가율이 개선되었으나, 연구개발비, 지급수수료, 감가상각비 등 판관비 증가로 영업이익은 전년동기 수준을 기록함. 동사가 지분 95.12%를 보유한 일본 자회사 제이이티가 일본 동경증권거래소 프로 마켓에 올해 3월 상장됨.

 


피에스케이 319660

피에스케이-일봉차트

 

피에스케이 네이버 증권보기 피에스케이 FN GUIDE 종목분석 보기

기존 피에스케이에서 반도체 전공정 장비 사업부문이 인적분할됨에 따라 재상장된 업체. 주요 제품으로 Dry Strip, Dry Cleaning, New Hard Mask Strip, Etch Back 등이 있음. 반도체 업체들의 3D NAND 설비 확장 계획에 따른 장비 수요 증가 기대.

 

동사는 피에스케이홀딩스에서 전공정 장비 부분만 독립하여 설립된 반도체 장비 회사로 PR Strip 장비 글로벌 1위 기업임.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등 국내외 글로벌 업체들을 고객사로 확보하고 있으며, 램리서치(미국), Mattson Tech(중국), 히타치(일본) 등과 경쟁함. 매출구성은 반도체 공정장비류 외 76.04%, 기타 23.96%로 이루어져 있음.

 

2021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67.9% 증가, 영업이익은 169.3% 증가, 당기순이익은 169.4% 증가. 하반기 국내 케파는 줄어들었으나, 중국 미국등에서 메모리, 파운더리 투자가 예상을 크게 상회함. 삼성전자 P2, SK 하이닉스 M15 등 국내 투자 호조와 해외 등 글로벌 거래선에서 고르게 실적에 기여. Bevel etch의 런칭이 예상되어 22년에 대한 기대 상승.

 


솔브레인홀딩스 036830

솔브레인홀딩스-일봉차트

 

솔브레인홀딩스 네이버 증권보기 솔브레인홀딩스 FN GUIDE 종목분석 보기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공정용 화학재료, 2차전지 소재 등 생산/판매 업체로 삼성전자, SK하이닉스, LG디스플레이 등 국내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제조사에 공정용 화학 재료 등을 공급중.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등 반도체 업체들의 3D NAND 설비 확장 계획에 따른 제품 수요 증가 기대.

 

1986년 5월 6일에 대한민국에서 설립됨. 지배기업은 2000년 1월 18일에 KOSDAQ 시장에 상장됨. 다른 회사의 주식을 소유함으로써 그 회사를 지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지주회사 체제로 전환됐으며, 주요 수익원은 자회사 등으로부터 받는 배당금, 경영자문수익, 임대수익 등임. 동사의 사업부문은 지주회사 부문, 디스플레이, 2차전지, 반도체, 그리고 바이오헬스케어 부문으로 나뉨.

 

2021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84.6% 증가, 영업이익은 209.3% 증가, 당기순이익은 97.7% 감소. 매출원가, 판관비, 인건비 등 주요 비용들이 큰폭의 증가를 했음에도 불구하고 매출 증가가 영업 이익으로 이어짐. 동사는 미국, 말레이시아, 헝가리의 전해액 생산 법인들을 통해 글로벌 2차전지 고객들을 대응 중이며, EV 및 ESS 시장의 성장에 따라 생산설비를 증설 중에 있음.

 


한양이엔지 045100

한양이엔지-일봉차트

 

한양이엔지 네이버 증권보기 한양이엔지 FN GUIDE 종목분석 보기

반도체/디스플레이 유틸리티 설비 및 관련 장비 제조 업체.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Fab 설비에 필수적인 초고순도(UHP) 특수설비 및 기타 엔지니어링 서비스 제공.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등 반도체 업체들의 3D NAND 설비 확장 계획에 따른 장비 수요 증가 기대.

 

동사는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Fab 설비에 필수적인 초고순도(UHP) 특수설비 및 기타 엔지니어링 서비스업을 영위 중임. 가스, 정밀화학,전자재료,바이오 제약,우주항공 관련 특수설비 분야에서도 고유의 기술을 기반으로 사업을 확장하고 있음. 동사는 국내 주요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제조업체인 삼성전자, SK하이닉스, 삼성디스플레이, LG디스플레이로부터 기술과 신뢰를 인정받아 신규 설치에서 유지보수까지 일임하여 수행하고 있음.

 

2021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9.7% 증가, 영업이익은 31.9% 감소, 당기순이익은 33.5% 감소.  반도체 산업에서는 고객사의 추가 설비 투자에 따른 실적 증가로 전년대비 매출 감소폭을 최소화 하였으며, 원가절감 등을 통해 수익성 강화. 동사는 외국 기술에 의존하던 초고순도(UHP) 배관 공사의 국산화에 성공하였으며, 설계 능력 고도화와 혁신적인 기술 확보를 위한 지속적 투자를 이어나가고 있음.

 


삼성전자 005930

삼성전자-일봉차트

 

삼성전자 네이버 증권보기 삼성전자 FN GUIDE 종목분석 보기

삼성그룹 계열의 세계적 경쟁력을 보유한 전자 업체로 낸드 플래시 시장 점유율 1위 및 3D NAND를 탑재하는 SSD의 세계 시장 점유율 1위를 유지중. 5세대로 분류되는 96단 3D NAND 양산에 성공.

 

한국 및 CE, IM부문 해외 9개 지역총괄과 DS부문 해외 5개 지역총괄, Harman 등 234개의 종속기업으로 구성된 글로벌 전자기업임. 세트사업에는 TV, 냉장고 등을 생산하는 CE부문과 스마트폰, 네트워크시스템, 컴퓨터 등을 생산하는 IM부문이 있음. 부품사업(DS부문)에서는 D램, 낸드 플래쉬, 모바일AP 등의 제품을 생산하는 반도체 사업과 TFT-LCD 및 OLED 디스플레이 패널을 생산하는 DP사업으로 구성됨.

 

메모리시장이 호황인 가운데 폴더블폰과 OLED 판매가 늘어나 3분기 매출액은 70조를 넘어서며 사상 최대의 실적을 달성함. 첨단공정 확대와 환율 영향으로 영업이익률도 20%를 넘어섬. 4분기 메모리시장은 당초 예상 대비 부품 수급 이슈 장기화에 따른 수요 리스크 확대가 우려됨. 북미 서버업체들의 반도체 재고가 3분기 대비 30% 이상 축소되며 반도체 재고 소진 속도가 예상을 상회하여 반도체 가격 반등 시점이 앞당겨질 전망임.

 


후성 093370

후성-일봉차트

 

후성 네이버 증권보기 후성 FN GUIDE 종목분석 보기

불소를 기반으로 한 가전 및 냉매가스와 반도체용 특수가스, 2차전지 재료 및 자동차용 냉매가스 생산업체. 리튬2차전지용 전해질 소재인 LiPF6 및 반도체용 특수가스 C4F6 등을 제조 사업 등을 영위중.

 

동사는 2006년 11월 23일에 설립되었으며, 2006년 12월 22일 한국거래소 유가증권시장에 상장됨. 동사는 냉매가스, 반도체용 특수가스, 2차전지 전해질 소재 'LiPF6' 를 국내에서 유일하게 전문적으로 제조, 판매하는 업체임. 동사는 '후성폴란드유한회사'를 비롯하여 총 5개의 연결대상 종속회사를 가지고 있으며 기업집단 '후성그룹'에 속해 있는 기업임.

 

2021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27.3% 증가, 영업이익은 716% 증가, 당기순이익은 1595.5% 증가. 환경규제에 의한 높은 진입장벽과 고도화된 기술, 국내에서는 유일하게 생산, 판매 하는 등 국내 및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제조회사로서 영업이익 극대화를 이뤄냄.  반도체 미세화 및 3D 공정이 도입될 수록 C4F6 및 WF6 수요가 증가하게 됨에 따라 향후 수익이 기대됨.

 


원익머트리얼즈 104830

원익머트리얼즈-일봉차트

 

원익머트리얼즈 네이버 증권보기 원익머트리얼즈 FN GUIDE 종목분석 보기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생산공정에 사용되는 특수가스 생산을 주요 사업으로 영위.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등의 종합반도체회사를 주요 고객사로 보유.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등 반도체 업체들의 3D NAND 설비 확장 계획에 따른 제품 수요 증가 기대.

 

2006년 12월 1일을 기준 원익홀딩스의 특수가스사업부문을 물적분할 설립함. 동사가 생산하는 고순도 특수가스는 글로벌 Major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회사에 납품하고 있으며 , 반도체의 메모리, 비메모리, 디스플레이의 OLED, LCD를 생산하는 과정에서의 소재로 사용되고 있음. 동사의 종속회사는 연구 및 해외영업을 목적으로한 미국법인(WMNA) 1개사와 국내법인과 동일한 사업목적의 중국법인(신원익, 위남원익) 2개사가 있음.

 

2021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6.7% 증가, 영업이익은 3.2% 증가, 당기순이익은 106.5% 증가. 동사는 반도체 이외에도 삼성디스플레이에 N2O, NH3를 비롯한 10여종의 공정용 특수가스를 AMOLED 개발 초기부터 공급개시하여 현재까지 안정적인 공급과 높은 M/S를 확보하고 있음. 고객사 신규라인 증설에 대응하여 R&D 역량 강화, 설비 자동화, 스마트플랜트 구축, 분석시스템 고도화 등에 집중 투자함.

 


SK머티리얼즈 036490

SK머티리얼즈-일봉차트

 

SK머티리얼즈 네이버 증권보기 SK머티리얼즈 FN GUIDE 종목분석 보기

SK그룹 계열사로 반도체, 디스플레이, 태양전지 제조 과정에 사용되는 특수가스(NF3, SiH4, WF6, SiH2Cl2, Si2H6 등) 전문업체. 반도체, TFT-LCD 공정용 가스, 태양전지 공정용 특수가스, 특수연마제 등을 생산중.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등 반도체 업체들의 3D NAND 설비 확장 계획에 따른 제품 수요 증가 기대.

 

동사는 1982년 11월에 대백물산 주식회사로 설립되어 1999년 12월 코스닥시장에 상장된 후 세 차례의 상호 변경 후 SK머티리얼즈가 됨. 2021년 10월 29일 합병 승인 이사회를 열어 2021년 12월 1일자로 합병을 완료할 계획임. SK머티리얼즈(주)는 지주사업부문을 제외한 특수 가스 등 사업부문 일체를 물적분할하고, 분할과 동시에 SK(주)가 물적분할 후 존속하는 SK머티리얼즈(주) 지주사업부문을 흡수합병하는 방식임.

 

2021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23.7% 증가, 영업이익은 23.7% 증가, 당기순이익은 73.5% 증가. 매출액 증가가 판관비, 인건비 등 비용의 증가를 상쇄하면서 영업이익과 당기순이익 모두 상승함. 동사의 각 사업부문별 경쟁사는 거대 다국적 회사들임. SK(주)의 글로벌 투자역량과 SK머티리얼즈(주)의 소재기술 사업화 역량을 결합하여 첨단소재 분야 포트폴리오 혁신 가속화에 박차를 가할 예정임.

 


한솔케미칼 014680

한솔케미칼-일봉차트

 

한솔케미칼 네이버 증권보기 한솔케미칼 FN GUIDE 종목분석 보기

과산화수소를 주요 제품으로 생산하는 한솔그룹 계열의 정밀화학업체.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등 반도체 업체들의 3D NAND 설비 확장 계획에 따른 반도체용 과산화수소 매출 증가 기대.

 

동사는 1980년 3월 13일 설립되어 1989년 5월 20일 유가증권시장에 상장됨. 동사의 주요 사업내용은 라텍스, 과산화수소, PAM, 차아황산소다, 전자재료, Precursor, 기타 화공약품 등의 판매임. 정밀화학 산업은 각종 첨가제, 제지약품, 수처리제, 염료, 도료, 안료, 반도체약품, 계면활성제, 접착제, 화장품, 의약품 등을 생산하는 공업을 포괄하는 화학산업으로 가공형 산업의 특징을 지니고 있음.

 

2021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21.9% 증가, 영업이익은 29.6% 증가, 당기순이익은 21.6% 증가. 원가율 상승과 판관비 증가에도 불구하고 매출 확대에 힘입어 수익성이 개선됨. 전자재료 사업에서 이차전지 성능 향상을 위하여 지속적으로 신소재에 대한 Needs가 커지고 있고, 이러한 변화가 당사의 신규시장 확보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으로 기대함.

 


  • 네이버 블로그 공유
  • 네이버 밴드 공유
  • 페이스북 공유
  • 카카오스토리 공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