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PG(액화석유가스)
LPG(액화석유가스)란 프로탄 및 부탄 등을 주성분으로 가스를 상온에서 가압하여 액화한 것으로 소형의 가벼운 압력용기(봄베)에 충전해서 가정용, 공업용, 자동차용 등의 연료로 이용되는 가스임. 현재 정부의 인가를 받은 수입업체로는 SK가스와 E1이 있으며, LPG시장은 거대 규모의 저장시설과 판매망 구축 등 초기투자비가 많이 소요되므로 진입장벽이 높은 편임. 관련주로는 LPG 수입, 저장, 판매업을 영위하는 업체들임.
LPG(액화석유가스)
SK가스 018670
SK가스 네이버 증권보기 | SK가스 FN GUIDE 종목분석 보기 |
SK그룹 계열의 액화석유가스(LPG)의 수입, 저장, 판매업체. 사우디아라비아, 쿠웨이트, 아랍에미리트 등 중동지역으로부터 장기공급계약을 통한 수입 및 SPOT거래처로부터 수입하여 정유사, 석유화학업체, 산업체, LPG충전소 등에 공급중.
동사는 LPG 수입산업의 합리화를 위해 1985년 설립되고 1997년 8월에 주식을 한국거래소가 개설한 유가증권시장에 상장함. 동사는 LPG 수입, 저장, 판매 등을 주요 사업으로 영위하고 있으며, 지난 30여년간 국내외에 LPG를 안정적으로 공급하며 국내 1위 사업자로 자리 매김함. LPG사업 이외에도 세계 최초 LNG/LPG Dual 발전 사업(울산GPS), LNG 터미널(코리아에너지터미널) 등 신규사업을 추진 중임.
2021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44.6% 증가, 영업이익은 38.8% 감소, 당기순이익은 6.7% 감소. 매출 증가세보다 매출원가 증가세가 더 높아져, 매출이 올랐음에도 영업이익과 당기순이익은 감소세를 보임. 전기/수소차 등 친환경차로의 전환 과정에서 수송용 LPG는 브릿지 연료로서의 성장 동력도 지니고 있으며, 한국형 그린뉴딜 정책에 따라 1톤 LPG트럭, LPG 통학차의 보급은 점차 확대될 것으로 예상됨.
S-Oil 010950
S-Oil 네이버 증권보기 | S-Oil FN GUIDE 종목분석 보기 |
LPG 수입하여 S-Oil 가스충전소에 공급하고 있으며, 이를 국내 정유사, 충전소, 산업체 등에 공급증.
1976년에 대한민국에서 설립된 회사로 정유 뿐 아니라 석유화학 ·윤활기유 등으로 다각화된 사업포트폴리오를 보유하고 있음. 대규모 정제시설, 높은 고도화설비 수준, 안정적인 내수 유통망 등을 바탕으로 견고한 시장지위와 사업경쟁력을 보유함. 수직 계열화된 생산 체계에 기반한 우수한 생산효율성과 사업안정성을 바탕으로, 석유화학을 중심으로 비정유부문의 사업기반을 강화하고 있음.
2021년 6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39.4% 증가, 영업이익 흑자전환, 당기순이익 흑자전환. 전체 매출의 70% 이상을 정유부문 매출이 정상화 되며 영업이익 흑자 전환에 성공함. 실적에 중요한 2021년 2분기 유가는 코로나19 백신 접종으로 인한 원유 수요 회복 기대감, OPEC+ 감산 연장, 사우디 아라비아의 자발적인 추가 감산 등 효과로 상승함.
E1 017940
E1 네이버 증권보기 | E1 FN GUIDE 종목분석 보기 |
LPG 수입 및 무역 전문업체. 대부분 사우디아라비아와 아랍에미리트 등 중동 주요 산유국으로부터 장기도입계약을 체결하여 LPG를 도입, 이를 국내 정유사, 충전소, 산업체 및 도시가스사 등에 공급중.
동사는 1984년 9월 6일 설립되었으며 1997년 8월 27일에 유가증권시장에 상장함. LPG 유통회사로서 LPG만을 단일 상품으로하여 외국으로부터 LPG를 구매 후 수출 또는 내수를 통해 판매하고 있음. 판매는 크게 수출 판매와 내수 판매로 나뉘며, 수출 판매는 직수출과 중계수출로 구분됨. 내수 판매의 경우 민수용 수요와 석화용 수요로 구분되고, 민수용 수요는 다시 가정용, 산업용, 운수용, 도시가스용으로 나뉨.
2021년 6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8.1% 증가, 영업이익은 43.3% 감소, 당기순이익은 199% 증가. 지난해 추징금 납부로 손실이 발생한 기저효과로 인해 올해 당기순이익은 199%의 증가세를 보임. 정부가 도시가스 보급률을 87.7%로 확대한다는 계획을 수립해놓고, 친환경 연료 전지, 수소 등을 LPG 대체 에너지로 내놓는 등 대책이 이어지고 있어 수요 회복이 쉽지 않음.
중앙에너비스 000440
중앙에너비스 네이버 증권보기 | 중앙에너비스 FN GUIDE 종목분석 보기 |
SK에너지와 대리점 계약을 맺고 휘발유, 경유, 등유 등의 일반유와 LPG 등의 석유류를 판매하는 업체. 서울, 경기, 인천지역의 직영 사업장을 판매망으로 하는 도/소매업 및 국도변 스마트휴게소 운영.
동사는 1946년 10월1일 석유류 판매 등을 영업목적으로 설립되었으며, 1993년 3월 24일 코스닥증권시장에 상장함. SK에너지 주식회사와 대리점 계약을 맺고 휘발유, 경유 등 일반유와 LPG를 매입하여 서울,경기,인천 지역에서 사업장을 운영함. 동사는 도매 및 주유소 8개, LPG충전소 1개, 저유소 1개, 휴게소 1개 운영하고 있으며, 연결 종속회사는 태양광 전기발전을 하고 있음.
2021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8.4% 증가, 영업이익은 73.1% 감소, 당기순이익은 103.1% 증가. 매출원가 증가에도 불구하고 매출액이 증가하였고, 높은 이자수익으로 당기순이익은 증가함. 컨텐츠 개발 사업, 부동산 개발 사업, 새로운 시장으로 진출 기회 모색, 주주 가치 제고를 위해 고배당 결정 등 동사가 나아가고자 했던 미래의 방향을 향해 더욱 속도를 내는 중임.
흥구석유 024060
흥구석유 네이버 증권보기 | 흥구석유 FN GUIDE 종목분석 보기 |
석유류 도소매 판매업체. 주요 사업은 가스충전소를 포함해 12개의 직영주유소를 운영하면서 석유제품과 석유관련제품 판매 및 기타 임대사업을 영위중. 석유류 제품의 경우, 휘발유, 등유, 경유, 방카-C, LPG(액화석유가스) 등을 GS칼텍스로부터 매입하여 대구, 경북 지역에 판매/공급중.
동사는 1966년 12월 16일에 설립되어 1994년 11월 30일자로 코스닥시장에 상장함. 석유류 제품인 휘발유, 등유, 경유등을 GS칼텍스주식회사로부터 매입하여 대구경북지역에 판매하는 석유류 도.소매업체임. 동사는 석유류 유통구조 변화와 급변하는 환경 변화에 대처하기 위한 경영전략을 새로히 구상하고 자체 역량을 배양하여 경영성과를 높이고자 최선의 노력을 다하고 있음.
2021년 9월 전년동기 대비 별도기준 매출액은 15.2% 증가, 영업손실은 84.3% 증가, 당기순이익은 23.2% 감소. 매출액이 15% 넘게 증가했으나, 원가율과 판관비의 증가에 따라 영업손실은 크게 증가, 당기순이익은 감소했음. 환경규제정책, 대체에너지 개발, 코로나사태 장기화로 석유류소비가 감소추세에 있고, 업종내 과당경쟁으로 수익구조 악화에도 불구하고 원가절감을 통한 경쟁력 확보와 경영내실화로 성과를 높이고자 노력중임
GS 078930
GS 네이버 증권보기 | GS FN GUIDE 종목분석 보기 |
가스 충전소 등을 운영하고 있는 GS칼텍스를 손자회사로 보유.
동사는 2004년 7월 LG를 인적 분할하여 설립된 지주회사로서, 자회사로는 GS에너지, GS리테일, GS스포츠, GS이피에스, GS글로벌, GS이앤알이 있음. 사업부문은 유통, 무역, 가스전력사업, 투자 및 기타(호텔업, 프로축구 등)으로 구분됨. 주요 자회사인 GS리테일은 GS25, GS수퍼마켓 등의 유통사업을 영위하고 있으며 2015년 파르나스호텔 지분 67.56% 취득하여 관광호텔업도 영위하게 됨.
2021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20.8% 증가, 영업이익은 185.4% 증가, 당기순이익 흑자전환. 산업부문 나프타 수요는 LPG, Ethane 등 경쟁원료의 가격 변동에 영향을 받으며, 코로나19로 인해 대폭 감소한 항공유 수요는 점진적인 회복이 예상됨. 수요는 세계 교역 회복세와 비대면 경제 활성화로 견조한 흐름이 지속될 것으로 예상되나, 코로나19의 불확실성과 기저효과 둔화 등은 수요회복의 마이너스 요인임.
극동유화 014530
극동유화 네이버 증권보기 | 극동유화 FN GUIDE 종목분석 보기 |
특수 윤활유(산업용윤활유, 유동파라핀 등) 생산, 판매업체로 LPG 충전, 판매사업도 영위.
동사는 1979년 12월 에 설립되어 1991년 1월 31일자로 유가증권시장에 상장됐음. 주요사업 내용으로는 석유 및 석유류 제품정제, 생산, 판매, 임가공 및 무역업, 석유화학 제품 원료 및 생산품의 수출입업 등이 있음. 국내외 경기 및 산업ㆍ생산 가동률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는 사업을 영위하고 있으나 매출의 규모 변동은 그리 유동적이지 않으며 국제 유가 및 환율의 변동에 따라 이익 규모는 변동이 될 수 있음.
2021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50.7% 증가, 영업이익은 36.8% 증가, 당기순이익은 45.2% 증가. 매출액 증가율 대비 낮은 판관비증가율을 달성하였으나, 매출원가 증가율이 높아 영업이익 증가율은 비교적 낮은 수치를 기록함. 윤활유는 엔진유, 기계유, 유압작동유 및 기타 프로세스유 등으로 대기업과 중소기업등 30여개 업체에서 100여종을 생산하고 있어 치열한 경쟁 상태임.
SK이노베이션 096770
SK이노베이션 네이버 증권보기 | SK이노베이션 FN GUIDE 종목분석 보기 |
SK그룹 계열의 종합에너지기업. 100% 자회사인 SK에너지를 통해 가스충전소를 운영하고 있으며, 국내 정유사, 충전소, 산업체 등에 LPG를 공급중.
SK(주)가 2007년 투자사업부문을 영위할 SK(주)와 석유, 화학 및 윤활유 제품의 생산 판매 등을 영위할 분할신설법인인 동사를 인적 분할함으로써 설립됨. 2009년 10월 윤활유 사업부문을, 2011년 1월 석유 및 화학 사업부문을 각각 물적 분할하였음. 사명을 SK에너지(주)에서 SK이노베이션(주)로 변경하였음. 2018년 9월 말에 회사의 전략적 판단에 따라 FCCL사업을 넥스플렉스에 매각 완료.
2021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23.3% 증가, 영업이익 흑자전환, 당기순이익 흑자전환. 석유제품은 내수판매와 수출판매하고 있고, 내수판매의 경우, 직매처, 주유소 및 중간 판매업자에게 도매로 판매하고, 주유소 및 충전소를 통해 국내 소비자들에게 석유제품을 공급하고 있음. 윤활유 사업은 자동차의 엔진 및 트랜스 미션용 윤활유(기어유) 제조에 주로 사용되는 윤활기유와 자동차용 윤활유를 생산하고 있음.
'테마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겨울 테마 관련 수혜주 대장주 주식 종목 총정리 (0) | 2021.12.24 |
---|---|
게임 테마 관련 수혜주 대장주 관련 종목 정리 (0) | 2021.12.23 |
LNG 액화천연가스 테마 관련 수혜주 대장주 주식 종목 정리 (0) | 2021.12.23 |
NFT(대체불가토큰) 테마 관련 수혜주 대장주 주식종목 정리 (0) | 2021.12.23 |
3D 프린터 테마 관련 수혜주 대장주 관련 종목 정리 (0) | 2021.12.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