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튬 계열 배터리 중 하나인 리튬 인산철(LiFePO4, LFP) 배터리 관련 업체. 니켈·코발트·망간 등 세 가지 물질을 혼합한 삼원계 배터리 대비 에너지밀도가 낮지만, 발열성이 낮아 안전성이 높은 것으로 평가받고 있음. 원재료로 들어가는 금속도 삼원계나 사원계 대비 저렴해 최근 글로벌 전기차업체 테슬라가 자사 전기차에 LFP 배터리 확대를 선언한 데 이어, 벤츠, 현대차 등 글로벌 자동차 기업도 LFP 채택 가능성이 높아지며 시장의 주목을 받고 있음.
2차전지(LFP/리튬인산철)
엘앤에프 066970
네이버증권 | Fn Guide | NICE평가정보 |
21년10월 공시를 통해 LFP(리튬인산철) 배터리 개발 완료 이력이 있다고 밝힌 점이 시장에서 부각.
동사는 2000년 설립돼 2003년 코스닥 시장에 주식을 상장함. 2차전지 양극활물질과 그에 관련된 소재 제조 및 판매를 주요 사업으로 영위함. 스마트기기, ESS 등을 만드는 데 쓰임. 중국에 위치한 무석광미래신재료유한공사와 경북 김천에 위치한 제이에이치화학공업을 연결대상 종속회사로 보유함. 대구 달서구와 경북 칠곡군 등에 생산시설을 운영 중임. 매출은 수출 96.97%, 내수 3.03%로 구성됨.
2021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131.3% 증가, 영업이익은 484.9% 증가, 당기순손실은 6147.6% 증가. 동사의 사업 부문 중 대형 전지향 양극재 부문은 한국판 뉴딜 프로젝트 관련 수혜 분야. 배터리 소재 고객사들이 국내 EV/ESS 배터리 사업 모두 영위하고 있다는점에서 그린 뉴딜 수혜 확대 전망. 그린 뉴딜 성과 지표에 따라 국내 전기차 누적 보급대수는 지속 증가 전망.
코윈테크 282880
네이버증권 | Fn Guide | NICE평가정보 |
종속회사 탑머티리얼이 LFP(리튬인산철) 배터리 설계와 제조 능력을 보유. 탑머티리얼은 코발트프리 양극재(리튬인산철)를 개발해 전기 이륜차 배터리 등에 납품중.
2차전지, 반도체, 디스플레이, 석유화학, 식품, 자동차 등 다양한 산업분야에 공정자동화시스템을 구축하고 있음. 스마트 팩토링을 위한 자동화 시스템과 전용 장비 및 전산시스템(WMS, ECS, LCS 등)을 TURN KEY 제조 납품체제로 경쟁력을 확보. 전 세계 최초 2차전지 생산공정 Full 자동화시스템 개발에 성공하여 자동화시스템을 국내 및 중국, 폴란드, 헝가리, 싱가폴 등의 다양한 업체에 납품 중.
2021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161.7% 증가, 영업이익은 1645.7% 증가, 당기순이익은 109.2% 증가. 전년대비하여 2차전지의 내수는 감소하였지만 수출은 증가하였고, 반도체, 석유화학의 수출은 감소하였으나 견고한 내수를 지켜냄. 탑머티리얼 사업부문이 당해년도 종속회사로 추가 되어 사업영역이 확대되었고, 동사의 외형 및 이익성장에 기여할 것으로 전망함.
브이티지엠피 018290
네이버증권 | Fn Guide | NICE평가정보 |
차세대 리튬-황 배터리 개발을 위해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이 주관하는 2021년 Tech-Bridge 활용 상용화기술개발 사업에 한국전기연구원과 공동으로 지원 대상에 선정, 주관연구기관으로 기술 개발에 참여하며, 최종적으로 경량, 고에너지 밀도의 리튬-황 전지용 양극을 생산할 계획.
동사는 코스메틱, 라미네이팅 기계 및 필름, 미디어커머스, 바이오 사업을 제조 및 서비스 사업을 영위함. 라미네이팅 기계와 필름 생산량의 90% 이상을 해외 시장에 수출했으나 최근에는 내수시장 활성화로 국내시장에서 70%의 점유율을 확보하고 있음. 바이오 의약 산업의 경우 바이오 기술 분야가 매우 광범위하고 개별 기술의난이도가 높아 기업간 전략적 제휴가 일반화되어 있으며 대학, 공공연구소와의 공동개발이 활발함.
2021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72.8% 증가, 영업이익은 154.3% 증가, 당기순이익은 568.1% 증가. 원가율 상승과 판관비 증가에도 불구하고 매출 확대에 힘입어 영업이익이 증가함. 화장품 사업부의 경우, 안정화 단계에 접어든 일본과 중국 시장을 넘어 성장가능성이 높은 신흥시장인 동남아시아와 한류문화에 우호적인 미국, 유럽 등에 대해서도 현지 유수 거래처와 지속적인협의를 진행하고 있음.
SK이노베이션 096770
네이버증권 | Fn Guide | NICE평가정보 |
배터리사업 신설법인 SK온(ON)이 리튬인산철(LFP) 배터리 개발을 고려중인 점이 시장에서 부각.
SK(주)가 2007년 투자사업부문을 영위할 SK(주)와 석유, 화학 및 윤활유 제품의 생산 판매 등을 영위할 분할신설법인인 동사를 인적 분할함으로써 설립됨. 2009년 10월 윤활유 사업부문을, 2011년 1월 석유 및 화학 사업부문을 각각 물적 분할하였음. 사명을 SK에너지(주)에서 SK이노베이션(주)로 변경하였음. 2018년 9월 말에 회사의 전략적 판단에 따라 FCCL사업을 넥스플렉스에 매각 완료.
2021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23.3% 증가, 영업이익 흑자전환, 당기순이익 흑자전환. 석유제품은 내수판매와 수출판매하고 있고, 내수판매의 경우, 직매처, 주유소 및 중간 판매업자에게 도매로 판매하고, 주유소 및 충전소를 통해 국내 소비자들에게 석유제품을 공급하고 있음. 윤활유 사업은 자동차의 엔진 및 트랜스 미션용 윤활유(기어유) 제조에 주로 사용되는 윤활기유와 자동차용 윤활유를 생산하고 있음.
LG화학 051910
네이버증권 | Fn Guide | NICE평가정보 |
21년10월 3분기 실적발표 컨퍼런스콜을 통해 LFP(리튬인산철) 배터리 사업 진출을 공식화했으며, ESS용 LFP 배터리 개발 진행중.
동사는 석유화학 사업부문, 전지 사업부문, 첨단소재 사업부문, 생명과학 사업부문, 공통 및 기타부문의 사업을 영위하고 있음. 연결회사는 2020년 12월 1일 전지 사업부문을 단순·물적분할하여 (주)LG에너지솔루션 및 그 종속기업을 설립함. 동사는 양극재, 엔지니어링 소재, IT소재의 경쟁력을 바탕으로 고부가 제품을 중심으로 한 포트폴리오 전환을 추진 중에 있음.
2021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49.8% 증가, 영업이익은 153.8% 증가, 당기순이익은 272.1% 증가. 20년 전기에 유리기판 사업 중단 및 LCD 편광판 사업 매각을 결정하였으며, 첨단소재 사업부문의 일부 사업을 공통 및 기타부문으로 재분류. 고부가 제품 비중 확대, 원가 경쟁력 강화 등을 통해 경기 변동에 따른 사업 Risk를 최소화하고 사업의 Fundamental을 강화.
팬스타엔터프라이즈 054300
네이버증권 | Fn Guide | NICE평가정보 |
팬스타그룹이 국내 최초로 이동통신기지국 비상전원용 리튬인산철(LFP) 배터리 시스템을 일본에 공급한 점이 시장에서 부각. 팬스타그룹은 국내에서는 팬스타트리와 팬스타엔터프라이즈, 일본에서는 현지 법인인 산스타라인과 협업을 진행중.
동사는 자동차정비기기 사업을 영위하고 있으며, 자동차정비기기는 유공압기술을 바탕으로 한 정비용 리프트 기기와, 휠얼라인먼트, 타이어 탈착기, 밸런스 등의 하이테크장비로 제품군을 이루어 생산판매하고 있음. 품질우위와 사후관리 차별화로 가격이 높으며 자동차 정비용 리프트 M/S 는 국내 1위 기업임. 2016년부터는 신규사업으로 선박대여업, 선용품공급업, 크루즈관련 사업을 영위하고 있음.
2021년 9월 전년동기 대비 별도기준 매출액은 53.3% 증가, 영업이익 흑자전환, 당기순이익 흑자전환. 전 사업부문 고른 성장으로 매출은 확대되었고, 고정비 동반 성장에도 영업이익은 흑자로 전환됨. 해운업 경쟁 심화 및 코로나 19의 유행으로 인하여 경제 전망이 불투명하나, 동사의 경우 나용선계약을 통하여 장기적으로 계약이 되어 있음에 따라 경제상황에 따른 위험도를 최소화함.
EG 037370
네이버증권 | Fn Guide | NICE평가정보 |
LFP(리튬인산철) 배터리의 원료로 사용되는 산화철 관련 사업을 영위중. 세계 최고수준의 고순도산화철 순도 99.4%이상의 산화철을 생산하고 있으며, 세계일류상품인 고순도 산화철 부분은 점유율 1위와 세계 최대의 산화철 생산규모를 가지고 있음.
산화철 및 페라이트 코아용 복합재료 등 다양한 복합재료를 생산함. 엔지니어링과 무역사업 등도 영위하고 있음. 산회수 설비의 설계 및 시공, 운전능력을 모두 겸비하고 있는 세계 유일의 산화철 전문업체로서 고급산화철 세계시장 점유율 1위를 꾸준히 유지하고 있음. 중국의 TDG, 일본의 TDK 등 세계최고수준의 우량 고객사를 확보하고 있고, 우수한 품질의 제품을 제조하여 안정적으로 공급함으로써, 업계 선두의 점유율을 유지하고 있음.
중조, AL탈산제, ALDC 등의 유통부문과 산화철 및 훼라이트 파우더의 제품 제조 부문 매출이 큰 폭으로 늘어남에 따라 3분기 누적 매출액은 전년동기의 2배 이상으로 급증함. 외형확대에 따른 고정비용 부담 완화로 영업이익도 54.9억원의 흑자로 전환됨. 서울 강남과 충남 금산에 있는 부동산을 재평가함. 전기차의 핵심부품 중 하나인 컨버터에 페라이트코어(전자석, 산화철70%)를 사용하는 신규시장이 급성장하고 있음.
아모그린텍 125210
네이버증권 | Fn Guide | NICE평가정보 |
중국에서 LFP(리튬인산철) 셀을 외주 생산한 후 자체 공장에서 패키징 중(LFP 레시피 및 BMS 기술 보유).
첨단소재와 기능성 부품 및 환경/에너지 시스템 등의 사업영역을 가진 소재부품 기업으로 2004년 1월에 설립되었음. 고효율자성소재와 방열/나노 Membrane 소재를 기반으로 하는 첨단소재부문과 FPCB, 박막필름 등을 개발하는 기능성 부품 부문, ESS, 수처리와 공기청정 및 환기시스템 등을 개발하는 환경에너지시스템부문이 있음. 2018년 9월 30일 기준으로 지적재산권 1,068건을 보유하여 기술 경쟁력을 확보하고 있음.
2021년 9월 전년동기 대비 별도기준 매출액은 4.7% 증가, 영업이익은 79.4% 감소, 당기순손실은 3.2% 감소. 동사는 5G, 전기차, IoT, 차세대 디바이스 등 초고속으로 성장하는 부문에 적용되는 다양한 첨단소재를 보유하고 있으며 검증된 기술력을 바탕으로 우량 고객군을 확보함. 동사의 고정 비용이 다소 증가하였으며 신규 사업 등의 투자로 수익성이 하락함.
씨아이에스 222080
네이버증권 | Fn Guide | NICE평가정보 |
2차전지 전공정에 해당하는 Coater M/C, Calender M/C, Slitter M/C 및 Tape Laminator 생산 업체. LFP(리튬인산철) 배터리를 생산하는 中 CATL 등에 부품을 납품하고 있는 점이 시장에서 부각.
2002년 9월 설립된 동사는 리튬 이차전지 생산을 위한 전극 제조관련 장비를 전문 제작하며 2차 전지 전공정인 Coater, Calender, Slitter, Tape Laminator 및 기타설비 등을 생산. 코팅공정에서 기존 열풍 방식의 건조 시스템의 틀에서 벗어나 과열증기를 이용한 건조 방식의 코터를 개발하여 생산성을 높임. 슬리팅 공정에는 불량 부분을 식별하는 라벨러에 대한 특허를 보유하고 있음.
2021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51.4% 증가, 영업이익은 20.5% 증가, 당기순이익 흑자전환. 동사는 전방산업의 투자규모 확대에 따른 매출액 증가 대비 개발라인 매출 증가에 따른 원가 상승 및 코로나19로 인한 해외 물류비용 및 해외 출장비(외주 인건비 포함) 등 증가함. 유럽을 중심으로 전기차 산업의 발전 흐름 가속화 될 것으로 보이며 주요 2차 전지 셀업체들의 대규모 증설 예정.
파워넷 037030
네이버증권 | Fn Guide | NICE평가정보 |
LFP(리튬인산철) 국제인증 취득 및 배터리 팩 모듈 개발을 영위하는 업체.
동사는 1994년에 설립되었으며, 2018년에 코스닥시장에 상장함. 동사는 중국현지 2개의 계열회사를 가지고 있음. SMPS는 가전뿐 아니라 정보통신장비 및 산업용 장비 등 전력변화에 민감한 전자제품에 안정적인 전원을 공급하는 장치로 시스템의 심장부 역할을 하는 산업임. SMPS는 향후 차량용 반도체, 인포테인먼트 장비, 자율주행자동차 등의 자동차 전장사업 분야로 적용범위가 확대될 것으로 전망됨.
2021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42.7% 증가, 영업이익은 16.5% 감소, 당기순이익은 34.8% 감소. 매출액 증가에도 불구하고 매출원가, 판관비, 인건비 등 주요비용의 증가로 영업이익 감소를 초래. 동사는 현재 일본 HOME ESS 시장 진출 등 ESS 사업과 태양광발전 설치사업을 적극 추진하고 있으며 Battery Pack Module 및 BMS(배터리관리시스템)의 개발도 병행하고 있음.
'테마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츠(REITs) 테마 관련 수혜주 대장주 주식 종목 총정리 (0) | 2022.01.24 |
---|---|
마이데이터 테마 관련 수혜주 대장주 주식 종목 총정리 (0) | 2022.01.24 |
중소형 건설업체 테마 관련 수혜주 대장주 주식 종목 총정리 (0) | 2022.01.21 |
반도체 장비 테마 관련 수혜주 대장주 주식 종목 총정리 (0) | 2022.01.17 |
스마트폰 게임 테마 관련 수혜주 대장주 주식 종목 총정리 (0) | 2022.01.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