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마정보 / / 2022. 1. 10. 02:50

영상콘텐츠 테마 관련 수혜주 대장주 주식 종목 총정리

영상콘텐츠 개요

영화, 드라마, 애니메이션 등의 영상 콘텐츠 제작 및 배급(유통)업체들. 영상콘텐츠산업은 디지털기술과 네트워크의 발달로 케이블TV, DMB, IPTV, 스마트폰 등 다양한 유통채널을 통한 수익모델이 활성화되고 있음. 특히, 해외시장에서 국내 문화 콘텐츠에 대한 호응도가 높아지고, 정부의 지적재산권 보호 강화로 대표적인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성장하고 있음.

 

영상콘텐츠 관련 종목

IHQ 003560

네이버증권 Fn Guide NICE평가정보

국내 톱스타들이 포진된 매니지먼트 부문을 비롯해 음반, 드라마 제작 등 엔터테인먼트 사업 전반에 걸쳐 영향력을 미치고 있는 종합엔터테인먼트 그룹.

 

동사의 명칭은 '주식회사 아이에이치큐'이며 1962년 설립됨. 연결대상 종속회사 7개사와 관계기업 6개사, 공동기업 2개사를 가지고 있음. 엔터테인먼트 부문의 매니지먼트, 음반, 드라마 제작과 미디어 부문의 유료방송, 프로그램 공급, 광고대행 등을 영위하고 있음. 동사가 영위하는 PP산업의 매출은 광고매출과 방송프로그램제공 매출 두 가지로 구분되며, 이를 합하면 약 78.3%로 PP산업 매출액의 대부분을 차지함.

 

2021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21.9% 감소, 영업손실은 51.4% 감소, 당기순손실은 52.7% 감소. 역량 있는 신인 발굴 작업을 지속적으로 진행해 나가며, 각종 디지털 컨텐츠 사업을 운영함으로써 수익 모델의 다각화를 통해 사업성 향상을 위해 노력하고 있음. 향후 콘텐츠 투자 확대 지속 및 양질의 프로그램 구매 등을 통한 시청률 제고를 계획하고 있으며, 전반적인 시청률 기반 강화를 위하여 최선의 노력중임.

 


팬엔터테인먼트 068050

네이버증권 Fn Guide NICE평가정보

드라마, 교양/예능프로그램 등의 방송영상물제작 등의 사업을 영위.

 

동사는 자회사인 팬스타즈컴퍼니를 통하여 드라마 사업의 연계 차원과 영화시장 진출을 위해 연기자 공급 및 확보를 위한 매니지먼트 사업에까지 영역을 넓히고 있음. 시트콤, 영화, 예능 등 다양한 장르에서 중국 메이저 업체와의 파트너십을 기반으로 중국 시장 진출 확대를 위한 계획을 진행해 갈 예정임. 매출구성은 드라마 85.41%, 건물임대 7.36%, 음반 4.15%등으로 드라마 매출이 큰 부분을 차지하고 있음.

 

2021년 9월 전년동기 대비 별도기준 매출액은 73.4% 증가, 영업이익은 28.7% 감소, 당기순이익은 140.8% 증가. 영화 부문 매출이 대폭 감소하였지만 드라마 부분의 내수 및 수출 부문이 대폭 상승하여 이를 모두 상쇄함. 국내 지상파 3개사가 주로 방영하고 있는 드라마는 현재 외주 제작 비율이 정부의 주도를 떠나 방송사의 자체 요구에 의해서도 외주 제작 비율이 증가하는 추세임.

 


쇼박스 086980

네이버증권 Fn Guide NICE평가정보

국내 굴지의 영화/드라마 제작, 투자 및 배급사.

 

영화의 제작과 투자 및 배급업 등을 영위할 목적으로 1999년 6월 설립, 2006년 7월 코스닥시장에 상장됨. 2007년 7월 메가박스를 매각하면서 영화 콘텐츠 사업에 역량을 집중하고 있으며, 자회사를 통해 중국 호북성 홈쇼핑 사업에 진출하였음. 2021년 1~9월 한국영화 누적 매출액은 1,389억원으로 전년 동기대비 51.6% 감소함. 이는 코로나 19로 인한 다중 집합 시설에 대한 소비침체가 그 원인임.

 

2021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25.2% 감소, 영업이익 흑자전환, 당기순이익 흑자전환.  최근 유행성 질병으로 인하여 영화관을 비롯한 대중 집합 시설에 대한 소비침체가 관객의 장기적인 소비트렌드에 영향을 줄 가능성이 존재함. 2021년 1~9월 시장전체 관객수는 4,032만명으로 전년 동기대비 19.1% 감소. 이는 여름시장에 개봉된 한국영화 기대작과 마블 영화의 개봉으로 인해 감소분이 일정부분 회복하였기 때문.

 


SBS미디어홀딩스 101060

네이버증권 Fn Guide NICE평가정보

자회사 SBS와 손자회사인 SBS콘텐츠허브가 영상콘텐츠 제작 및 유통 사업 영위중.

 

동사는 2008년 SBS의 투자사업부문이 인적분할하여 신설된 순수지주회사이며, 태영건설이 동사의 최대 주주임. 자회사 SBS미디어넷, SBS플러스 등에 대한 지배 및 투자 등을 주요 사업목적으로 하고 있으며 2019년 2월 SBS콘텐츠허브의 지분을 SBS에 매각. 주요 사업부문은 종합유선방송 프로그램 공급 및 제작사업, 콘텐츠 유통사업, 지주회사 투자부문으로 나뉨.

 

2021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17.9% 증가, 영업이익 흑자전환, 당기순이익 흑자전환. 향후에는 단순 광고판매 대행을 넘어 새로운 기술과 새로운 니즈에 맞춰 차세대 미디어 콘텐츠와 연계, 토탈비즈니스 플랫폼으로 변화를 선도할 계획임. 향후에도 광고 수요가 많은 일부 인기 프로그램에 대해서는 프로그램 편성조정 시기나 업프런트 판매시기에 맞춰 기본요금을 상향 조정할 것으로 예상됨.

 


KMH 122450

네이버증권 Fn Guide NICE평가정보

방송송출서비스사업 및 방송채널사업을 영위하는 업체. 케이블TV, 위성방송, IPTV, 위성DMB 등 국내에서 서비스되고 있는 모든 유료방송 플랫폼에 방송채널사용사업자(PP)의 프로그램을 실시간 송출. 자체 채널을 포함하여 현재 250~260개 이상의 채널을 송출중.

 

동사는 2000년 10월 설립되어 이후 2003년 자체장비를 확보, 송출사업을 추가한 후 지속적인 성장을 거듭하여 현재 국내 송출사업자 1위 지위를 유지하고 있음. 주요 종속기업으로 케이엠에이치하이텍, 케이엠에이치신라레저, 파주컨트리클럽, 옥산레저 등을 보유하고 있음. 송출서비스 부문에서 안정적인 거래처를 기반으로 높은 시장지배력 확보하고 있으며, 신규채널 확보를 지속하고 있음.

 

2021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0% 증가, 영업이익은 8% 증가, 당기순이익은 65% 증가. 동사는 자체개발한 송출 기술을 바탕으로 타사 대비 경쟁력있는 가격을 바탕으로 국내 1위 사업자 지위를 유지하고 있으며, 향후 그 지위가 지속될 것으로 판단됨. 차세대 방송장비의 국산화 및 고부가가치 기술개발의 가속화로 국내 방송장비 산업의 고도화를 달성과 성장잠재력을 확충할 것으로 전망됨.

 


NEW 160550

네이버증권 Fn Guide NICE평가정보

2008년 영화투자배급사로 설립. 영화, 비디오물 및 방송프로그램 배급업을 주요사업으로 영위중. 천만 관객 이상의 <7번방의 선물(2013)>, <변호인(2013)>, <부산행(2016)>과 <더킹(2017)>, <독전(2018> 등의 영화와 드라마 <태양의 후예(2016)>를 흥행시켰으며, 방송프로그램 기획, 투자 및 제작(스튜디오앤뉴), 영화 부가판권 유통대행(콘텐츠판다), 음원 투자 및 유통(뮤직앤뉴), 스포츠마케팅/매니지먼트(브라보앤뉴), 영화 등 영상콘텐츠 VFX 제작(엔진비주얼웨이브) 사업을 통해 종합 미디어컨텐츠 그룹으로 성장.

 

2008년 도메오홀딩스로 설립된 동사는 2012년 넥스트엔터테인먼트월드를 흡수합병하고 상호를 변경함. 영화, 비디오물 및 방송프로그램 배급업을 영위함. 종속회사인 뮤직앤뉴는 음원투자 및 유통업, 콘텐츠판다는 영상 콘텐츠 부가판권 유통업을 영위하고 있음. 브라보앤미디어는 방송채널사업 및 방송프로그램, 브라보앤파트너스와 빌리보드는 당구장 및 경기용품 도매업, 엔진비주얼웨이브는 VFX 사업, 스튜디오앤뉴는 방송프로그램제작업을 영위함.

 

드라마 '멸망' 편성 매출과 뮤직 콘텐츠 부문 실적이 꾸준함을 보인 반면 코로나19로 인한 국내 영화시장 냉각에 따른 개봉작 부재와 스포츠 부문 부진 지속도 동반됨. 자회사 스튜디오앤뉴를 통해서 디즈니플러스와 향후 5년간 장기 컨텐츠 공급 파트너십을 체결해 안정적인 수익원을 확보함. 글로벌 OTT에 런칭되는 작품 특성상 VFX 작업 증가 역시 꼬리를 물게돼 캡티브 콘텐츠 VFX 수주가 성장할 것으로 전망됨.

 


에프엔씨엔터 173940

네이버증권 Fn Guide NICE평가정보

미디어콘텐츠 제작 사업을 영위하는 에프엔씨프로덕션, 에프엔씨스토리를 종속회사로 보유.

 

2006년 피쉬엔케익뮤직으로 설립된 동사는 엔터테인먼트, 인쇄, 미디어 콘텐츠 제작 등을 주요사업으로 영위함. 에프엔씨프로덕션, 에프엔씨인베스트먼트 등 9개의 연결대상 종속회사가 있음. 전속 계약을 맺은 아티스트는 FT아일랜드, AOA, 이동건, 정진영, 이국주, 노홍철, 김용만, SF9 등 61명임. 주택복권을 시작으로 추첨식복권을 인쇄하고 있으며, 영화티켓, 승차권, 스포츠티켓,  선거투표용지와 주세 납세증지를 납품하고 있음.

 

3분기 음악부문에서 SF9이 Mnet '킹덤' 출연 이후 발매한 미니 9집 'TURN OVER'로 전작 대비 두 배의 음반 판매량을 기록함. 매니지먼트사업에서 8월에 방영한 배우 정해인의 넷플릭스 오리지널 'D.P.'로 가시적인 성과를 거둠. 8분기만에 영업이익 흑자 전환함. 4분기에는 최근 전 멤버가 전역한 FT아일랜드를 비롯해 씨엔블루, 엔플라잉, SF9 등 가수 라인업이 대거 활동하며 실적 상승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됨.

 


래몽래인 200350

네이버증권 Fn Guide NICE평가정보

방송프로그램(드라마) 제작 업체. 방송프로그램(드라마, 예능), 공연 제작과 콘텐츠 IP를 활용한 부가사업(OST,해외방영권, VOD, 2차 라이선스 판매 등)을 영위하는 콘텐츠 제작사업을 주사업으로 영위. 대표 작품으로는 '성균관 스캔들', '엽기적인 그녀', '학교2021' 등의 드라마가 있음.

 

TV드라마 제작을 중심으로 하는 콘텐츠 제작사업을 수행 중이며, 2007년 회사 설립 이후 현재까지 27편의 우수 드라마를 제작 및 방영하였고, 세계 각국으로 수출중. 아시아, 남미를 포함한 해외 18개국에 수출된 '성균관 스캔들'을 비롯하여, '뷰티풀마인드', '전생에 웬수들', '더 뱅커', '어쩌다 발견한 하루' 등을 제작함. 방송사와 저작권을 배분 또는 일부 콘텐츠의 경우 권리를 확보하여 직접 해외시장에 판매하는 전략.

 

2021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28% 감소, 영업이익은 33.9% 감소, 당기순이익은 6.1% 감소. 드라마 제작현황을 보면 스튜디오드래곤, 에이스토리, HB엔터테인먼트, 김종학 프로덕션, GnG 프로덕션, 초록뱀미디어 등이 가장 많은 편 수의 콘텐츠를 제작한 것으로 집계. 동사는 2020년에 '거짓말의 거짓말', '내가 가장 예뻤을 때', '좀비탐정', '산후조리원' 등 4편의 드라마를 제작함.

 


에이스토리 241840

네이버증권 Fn Guide NICE평가정보

방송프로그램 제작 및 공급업체. 주요 제품으로는 <백일의 낭군님>, <우리가 만난 기적>, <시그널 시즌1> 등 기존 지상파 및 유료방송뿐만 아니라, NETFLIX의 국내 첫 오리지널 드라마인 <킹덤 시즌1> 및 후속 시리즈 <킹덤 시즌2>, 두번째 오리지널 드라마 <첫사랑은 처음이라서 시즌1,2> 등이 있음.

 

동사는 드라마 콘텐츠 제작사업과 드라마 IP(지적재산권) 판매 및 관련 부가사업(OST, 게임 등)을 영위하는 방송프로그램 제작 및 공급하고 있음. 동사가 영위하는 드라마 산업은 대중문화를 선도하는 콘텐츠로 방송사의 최대 수익원 중 하나이자 이미지 제고를 위한 핵심적인 콘텐츠로 자리매김하고 있음. 드라마 제작 산업은 기존 방송 시장과 더불어 신규 드라마 소비 시장의 확대로 다양한 추가 수익이 발생 가능함.

 

2021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534% 증가, 영업이익 흑자전환, 당기순이익 흑자전환. 매출원가, 판관비, 인건비등 비용의 증가에도 불구하고, 매출이 큰 폭으로 증가하며 영업 이익 상승 실현. 동사는 NETFLIX <킹덤 시즌1> 제작을 시작으로 <킹덤 시즌2>를 글로벌 OTT 플랫폼에 제공한 바 있으며, 2021년 하반기 방영예정인 <지리산>을 제작하여 국내 제작사 및 글로벌 OTT 플랫폼에 제공하였음.

 


스튜디오드래곤 253450

네이버증권 Fn Guide NICE평가정보

CJ그룹 계열의 드라마 등 방송영상물제작업체. 드라마 콘텐츠를 기획/제작하여 미디어 플랫폼에 배급하고 VOD, OTT 등을 통한 유통 및 관련 부가사업 등을 영위. <미생>, <도깨비>, <비밀의 숲>, <미스터선샤인> 등을 제작.

 

2016년 5월 CJ ENM의 드라마 사업본부가 물적분할되어 설립, 드라마 콘텐츠를 기획 및 제작하여 미디어 플랫폼에 배급하고 VOD, OTT 등을 통한 유통 및 관련 부가사업을 영위함. 도깨비, 비밀의 숲, 미스터션샤인, 사랑의 불시착 등 완성도와 화제성 높은 드라마를 지속적으로 선보이며 전통 미디어, 디지털, OTT 등 뉴미디어까지 영향력을 확대하고 있음. 해외 로컬 제작사, 방송사들과 파트너쉽을 통해 현지화를 확대 중임.

 

3분기 누적으로 TV 채널향 편성회차가 줄어들어 매출액은 12.6% 감소했지만, 신작 판매단가 상승과 글로벌OTT 오리지널 제작 증가에 힘입어 영업이익은 3.9% 증가함. 4분기에는 방영 콘텐츠의 장르 다각화 및 방영편수 증가세 전환, 디지털 라인업 강화 등이 기대됨. 방송 제작 환경의 회복과 다양한 채널로의 콘텐츠 공급 확대로 2022년에는 제작편수 측면에서의 성장과 레퍼런스 강화에 따른 판가상승이 동시에 나타날 것으로 기대됨.

 


자이언트스텝 289220

네이버증권 Fn Guide NICE평가정보

AI기반 리얼타임 콘텐츠 솔루션 전문업체. 국내 유일하게 디즈니 Audit(2016), 넷플릭스 4K 기술 test(2018), TPN(Trusted Partner Network)의 보안평가프로그램(2019)을 모두 통과한 VFX기업으로, 광고VFX 및 영상VFX, 리얼타임 콘텐츠 솔루션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콘텐츠를 제작.

 

동사는 광고 VFX , 영상 VFX 및 리얼타임 콘텐츠 솔루션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콘텐츠를 제작하는 AI기반의 리얼타임 콘텐츠 솔루션 전문기업임. 기존의 아날로그 미디어와 새로운 디지털 미디어의 시각적 결과물을 다양한 클라이언트와 소비자의 요구에 맞춰 리서치, 컨설팅, 기획 및 제작하여 최상의 그래픽 결과물을 만들어 내고 있음. 버추얼 프로덕션 솔루션, 대화 및 반응형 버추얼휴먼OS 제작 등의 사업을 전개하고 있음.

 

2021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63.1% 증가, 영업손실은 39.9% 증가, 당기순손실은 19.2% 증가. 매출 증가에도 불구하고 인건비, 임차료, 지급수수료, 연구개발비 등 전반적인 비용증가로 영업손실이 지속됨. 2020년 3월 버추얼스튜디오(A.I-One Studio)를 구축하여 광고, 영화제작을 위한 리얼타임 버추얼 제작 환경을 선도적으로 운영하고 있으며, 2020년 상업화를 시작함.

 


위지윅스튜디오 299900

네이버증권 Fn Guide NICE평가정보

CG/VFX 기술을 바탕으로 영화, 드라마, 뉴미디어, 공연 및 전시에 이르기까지 영상 콘텐츠 기획/제작 서비스를 종합적으로 제공하는 종합 콘텐츠 미디어 제작업체. 영화, 드라마 등에 대한 영상 기술 제작 서비스 뿐 아니라 뉴미디어 콘텐츠에 대한 영상 기획/제작 서비스를 포괄적으로 제공.

 

CG/VFX 기술을 기반으로 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영화, 드라마 등에 대한 영상기술 제작뿐만 아니라 뉴미디어 콘텐츠에 대한 영상 기획/제작 서비스를 포괄적으로 제공함. 2018년 국내 최초 월트 디즈니 공식협력사로 선정됨. 종합스튜디오가 되기 위해 드라마와 예능제작사를 인수함. 광고사업 강화를 위해 밴드앤링크를 설립하고 엔피도 인수함. 2021년 8월 컴투스가 동사의 지분을 추가 취득해 지분율이 38.9%로 최대주주가 됨.

 

컴퓨터그래픽(CG)과 시각특수효과(VFX)를 비롯해 뉴미디어 사업 분야 매출이 크게 늘어나고 있음.  자회사 엔피와 함께 YG엔터테인먼트·네이버의 합작사인 와이엔컬쳐앤스페이스에 각각 50억원을 투자함. 행사 대행 자회사인 엔피는 스팩 통해 코스닥시장에 우회상장함. 드라마 중심 콘텐츠 제작을 주요 사업으로 영위하는 자회사 래몽래인이 공모를 통해 2021년 12월에 코스닥시장으로 이전 상장할 예정임.

 


애니플러스 310200

네이버증권 Fn Guide NICE평가정보

유스 애니메이션을 핵심 콘텐츠로 하는 'ANIPLUS' 방송사업을 주 사업으로 영위하고 있으며, VOD 사업, 극장판 애니메이션 배급 사업, 전시 이벤트 사업 등 관련 사업 영역으로 다각화. 싱가포르 종속회사인 PLUS MEDIA NETWORKS ASIA PTE. LTD.를 통해 동남아시아 시장에서 해외 애니메이션 방송 및 콘텐츠 유통사업도 영위.

 

동사는 2009년 9월 8일 주식회사 애니플러스로 변경 등기하였음. 동사는 2020년 1월 22일자를 합병등기일로 미래에셋대우기업인수목적2호와 합병하여 2020년 2월 7일 코스닥시장에 상장함. 동사는 유스 애니메이션을 핵심 콘텐츠로 하는 'ANIPLUS' 방송사업을 주 사업으로 VOD 사업 사업, 극장판 애니메이션 배급사업, 전시 이벤트 사업, 드라마 제작 사업 등 관련 사업 영역으로 다각화를 전개함.

 

2021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111% 증가, 영업이익 흑자전환, 당기순이익 흑자전환. 동남아시아 시장에서는 각국의 특성 및 미디어 환경의 발전에 발맞추어 서비스를 제공하고, Netflix를 비롯하여 iflix, HOOQ 등 동남아시아 광역 및 국가별 OTT사업자를 통해 매출을 확대하고 있음. 대전점, 광주점, 부산점을 런칭하여 본격적인 상품화 사업을 전개, 상품화 사업의 매출은 큰 폭으로 증가하고 있음.

 


캐리소프트 317530

네이버증권 Fn Guide NICE평가정보

어린이와 가족IP 기반의 미디어 콘텐츠 전문 기업. 키즈&패밀리분야의 영상과 애니메이션 콘텐츠를 기획, 제작하여 인터넷 동영상 서비스, OTT, IPTV, CATV등의 다양한 플랫폼에서 자체 채널을 운영. 또한 '캐리'(CARRIE)로 통칭되는 캐릭터와 브랜드IP를 활용해 커머스, 머천다이징, 라이선싱, 교육, 게임, 영화, 모바일 APP, 공연, 문화공간(키즈카페) 등의 사업을 한국과 중국 등 글로벌 시장에서 영위중. 주요 상표로는 캐리, 엘리, 캐빈 등이 있음.

 

2014년 10월 유튜브 '캐리와 장난감친구들' 채널을 시작으로 어린이 방송국 '캐리TV'로 성장한 어린이와 가족 콘텐츠IP 전문 기업임. 키즈&패밀리 콘텐츠를 기획, 제작하여 인터넷 동영상 서비스, OTT, IPTV, CATV 등의 다양한 플랫폼에서 자체 채널을 운영. 캐릭터 IP <캐리와 친구들>을 주인공 캐릭터로 등장시킨 극장용의 장편 애니메이션인 '캐리와 슈퍼콜라'를 영어, 중국어, 한국어의 3개 국어로 제작 중.

 

2021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3.5% 증가, 영업손실은 8.1% 증가, 당기순손실은 1.4% 증가. 최근 몇 년간 영업손실 및 당기순손실이 지속되고 있으며, 매출액 또한 과거보다 하락한 수준에서 유지되고 있음.  메타버스가 차세대 주력산업으로 부상하면서, 메타버스 플랫폼에 반드시 필요한 캐릭터 콘텐츠에 대한 수요가 크게 늘어나고 있어 성장이 기대됨.

 


버킷스튜디오 066410

네이버증권 Fn Guide NICE평가정보

IPTV, 케이블방송, 스마트TV, 태블릿 등 스마트디바이스 기반을 중심으로 영화, 영상, 교육 등의 컨텐츠를 제공하는 업체. 온라인 콘텐츠 유통의 필수 기술인 필터링 기술을 자체 보유.

 

동사는 1999년에 설립되었으며, 2003년 코스닥시장에 상장하였음. 온라인 스마트디바이스 기반의 콘텐츠 제공업 및 모바일서비스를 주사업 목적으로 영위하고 있음. 기업 이미지 제고를 위해 2018년 7월 사명을 투윈글로벌에서 아컴스튜디오로, 11월에 다시 버킷스튜디오로 변경함. 스마트 디바이스 기반의 영화 등 콘텐츠 유통, 통합 메시징 시스템(UMS), 온라인 콘텐츠의 저작권 보호를 위한 필터링 솔루션 등이 주요 수익모델임.

 

2021년 9월 전년동기 대비 별도기준 매출액은 54.8% 증가, 영업이익 적자전환, 당기순이익 흑자전환. 동사가 서비스 중인 문자시장은 2009년 하반기 이후 시장 성장이 고착화 되어 있으나 메시징 서비스에 대한 인식 변화로, 타사 인수 등 공격적인 영업전략으로 새로운 성장을 맞이하고 있음. 에어팟, 버즈 등 선호도가 높은 제품을 유통하고 신규 제품을 직접 개발 또는 제휴를 통해 다양한 상품군을 확보할 예정임.

 


SM Life Design 063440

네이버증권 Fn Guide NICE평가정보

영화콘텐츠(DVD, Blu-ray 등) 사업 등을 영위하는 업체. 홈비디오사업 파트는 월트디즈니, 쇼박스, 워너브러더스 코리아, 판씨네마 등 주요 영화사와 부가판권 판권 계약을 맺어 DVD와 Blu-ray, 4K UHD를 대여점, 음반매장, 주요 서점 및 대형 할인매장을 통해 유통.

 

동사는 1998년 12월 29일에 설립하였으며, 2002년 5월 30일에 코스닥증권시장에 상장한 주권상장법인으로 명칭은 주식회사 에스엠라이프디자인그룹이라고 함. 동사가 속해있는 기업집단의 명칭은 '㈜에스엠엔터테인먼트'이며, 동 기업집단에는 동사를 포함하여 총 38개의 계열회사가 있음. 동사는 인쇄 제조 및 콘텐츠 유통사업과 드라마제작 등 미디어 제작을 영위하고 있음.

 

2021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67.7% 증가, 영업이익 흑자전환, 당기순이익 흑자전환. aespa, EXO, NCT(127, dream, WayV), 샤이니, Super Junior, 동방신기 소녀시대, Red Velvet 앨범 및 화보집, 키트앨범 등 아티스트 인쇄물 전반을 수주 및 제작.  뮤지엄 리플렛, 전단, 아티스트 프로필, 프레스킷 등 앨범 뿐만 아니라 일반 인쇄물 수주 영업을 확대하고 있음.

 


키이스트 054780

네이버증권 Fn Guide NICE평가정보

드라마, 영화 등을 기획, 제작, 판매하고 관련 부가사업을 영위하는 영상물 제작사업을 주된 사업으로 영위. 보이스 시리즈, 밥 잘 사주는 예쁜 누나, 싸이코패스다이어리, 하이에나 등의 드라마를 방영.

 

크리에이터를 중심으로 영상 콘텐츠를 기획, 제작하고 다수의 글로벌 스타의 산실이 되어 온 매니지먼트를 영위하는 스튜지오 지향의 종합엔터테인먼트 회사. 넷플릭스 오리지널 <보건교사 안은영>을 제작하였으며, 드라마 <라이브온>,<허쉬>,<구경이>등의 작품을 기획, 제작하여 시장 내 영향력을 확대 중임. 김서형, 김동욱, 고아성 등 한국 대표 배우들의 소속사로 문가영, 우도환, 황인엽 등 스타성 있는 배우를 발굴, 매니징 하고 있음.

 

2021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21.7% 감소, 영업이익 적자전환, 당기순이익 적자전환. 전년 동기 대비 매니지먼트 및 콘텐츠제작 관련 실적 축소로 순이익 적자 전환.  2020년 SMC 일본 엔터 부문 사업 정리에 따라 2021년 본격적인 콘텐츠 제작사로 변모. 본격적인 드라마 콘텐츠 제작 증가, 향후 3개년 연평균 콘텐츠 매출 비중 90% 수준으로 확대 예정.

 


바른손 018700

네이버증권 Fn Guide NICE평가정보

엔터테인먼트 사업 및 영화 제작사업 영위 업체. "좋은 놈, 나쁜 놈, 이상한 놈”, “마더”, “방자전”, "표적" 등을 제작.

 

동사는 영화, 뷰티, 외식 사업 등을 영위함. 영화 부문은 영화제작 및 투자, 뷰티 부문은 화장품 유통업 등 관련사업, 외식 및 기타 부문은 음식료품 제조판매업, 홈인테리어 도소매업, 시설경비업 등으로 구성됨. 동사는 2019년 개봉해 미국 아카데미 시상식에서 작품상 등을 받은 영화 '기생충'에 투자하며 이름을 알림. 2021년 1분기 기준 매출은 영화 사업 1.4%, 뷰티 부문 89.4%, 기타 부문 9.2%로 구성됨.

 

2021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55.7% 증가, 영업이익 적자전환, 당기순이익 흑자전환. 매출 확대에도 불구하고 판매비와 관리비의 증가 영향으로 영업이익은 적자로 전환됨.  동사는 지속적인 중소기업과의 협력으로 6000개가 넘는 한국 화장품 브랜드가 모두 졸스에 입점할 수 있도록 힘쓰고 있음. 또한 B2C K-뷰티 옴니 채널 플랫폼을 추가로 선보일 계획임.

 


SBS 034120

네이버증권 Fn Guide NICE평가정보

방송된 지상파콘텐츠를 해외 및 국내 케이블PP, 위성방송, 인터넷, IPTV 등에 판매.

 

동사는 1990년 11월 14일자로 설립되어 방송사업 및 문화서비스업, 광고사업 등을 영위하고 있음. 동사의 주된 사업은 지상파 TV, 광고사업으로 동사에서 방송된 우수한 지상파콘텐츠를 해외 및 국내 위성방송, 인터넷 등에 판매함. 동사의 사업 내용은, SBS 및 SBS 미디어그룹 홈페이지 운영사업, SBS방송콘텐츠를 국내 인터넷, IPTV, 모바일, 디지털케이블TV 등의 매체에 제공하는 서비스사업과 광고사업, 부가사업이 있음.

 

2021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31.4% 증가, 영업이익은 489.2% 증가, 당기순이익 흑자전환. 지속적인 매출증가로 영업이익 대폭 증가, 당기순이익 흑자전환에 성공. 동사는 적극적인 투자를 통하여 신규 IP기반 콘텐츠의 발굴 및 기획, 개발을 확대하고 있음. 시장환경 및 고객 소비트렌드에 맞추어 새로운 온라인 서비스 및 시스템을 지속적으로 기획 및 개발 중임.

 


바른손이앤에이 035620

네이버증권 Fn Guide NICE평가정보

영화사업 및 온라인 게임 개발 업체. 2015년 바른손필름을 흡수합병해 영화사업에 진출했으며, 드라마 콘텐츠를 기획 및 제작하여 방송국과 해외시장에 공급하는 드라마 콘텐츠 제작사업을 추진중.

 

동사 사업은 온라라인 게임 개발 등의 게임사업, 영화의 제작, 투자, 배급 등의 영화사업, 건강기능식품 유통 및 수출입업, 그 외의 기타사업(부동산 임대업 및 기타 용역), 아티스트 매니지먼트업 등 5개로 분류됨. 매출은 게임사업 8.69%, 영화사업 56.45%, 유통업 4.63%, 사옥 임대 30.04% 등으로 구성됨. 엔엑스게임즈 등 4개 기업을 연결대상 종속회사로 보유함.

 

2021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50.6% 감소, 영업손실은 48.4% 증가, 당기순이익 흑자전환. 판관비, 인건비 등 주요비용 절감노력에도 불구하고 매출액의 감소가 영업 손실을 심화시킴. 매니지먼트분야에서 K팝 아티스트 그룹 ' 루미너스'가 9월 데뷔하였고, 게임분야에서는 석정현 작가의 웹툰 '무당' IP를 확보하여 이를 기반으로 게임을 개발중이며 2023년 하반기에 상용화서비스를 계획중임.

 


CJ ENM 035760

네이버증권 Fn Guide NICE평가정보

CJ오쇼핑과 CJ E&M과의 합병법인. 케이블TV Mnet 채널을 중심으로 자체제작 콘텐츠를 공급.

 

동사는 1994년 12월 종합유선방송사업과 홈쇼핑 프로그램의 제작공급 및 도소매업을 목적으로 실립되어 1999년 11월 코스닥시장에 상장함. 동사는 방송채널사용사업자로서 현재 tvN, Mnet, OCN, Olive, XtvN, Tooniverse 등의 채널을 운영하고 있음. 커머스사업은 Live TV와 T커머스, CJ몰(CJmall)을 운영함. 또한 오프라인 매장 스타일온에어 등을 통해 다양한 쇼핑 수요에 대응하고 있음.

 

2021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4.5% 증가, 영업이익은 45.1% 증가, 당기순이익은 92.7% 증가. 주요 비용의 증가에도 불구하고 매출 확대와 원가율 하락에 힘입어 영업이익이 증가세가 지속됨.  동사가 보유한 채널은 트렌디한 예능 콘텐츠 및 화제성 높은 드라마의 연속적인 흥행으로, 영향력 높은 채널로 자리매김 하고 있음. 전 세계적으로 인기를 끌고 있는 K-POP의 선전에 음악/콘서트사업 부문도 성장세임.

 


JYP Ent. 035900

네이버증권 Fn Guide NICE평가정보

연예매니지먼트, 영화, 드라마, 음반기획/제작 발매사업을 영위하는 업체. 트와이스, ITZY, Stray Kids 등 소속가수 및 연예인들의 엔터테인먼트 활동(광고, 드라마출연, 공연 등)과 음반(CD), 음원의 제작 및 판매를 주요사업으로 영위.

 

동사는 1996년 4월 25일 설립되어 2001년 8월 30일에 코스닥시장에 상장함. 동사는 소속 연예인 가수 및 배우의 엔터테인먼트 활동과 음반, 음원의 제작 및 판매, MD 등 부가사업을 주요사업으로 하고 있음. 동사는 급변하는 음악 산업 트렌드에 유기적 대응과 아티스트의 효율적 운영 관리를 위해 기존 기능 중심의 수직적 조직 구조를 아티스트 단위의 수평적 조직 구조로 개편하면서 최적화된 레이블 시스템을 구축함.

 

2021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26.7% 증가, 영업이익은 23.7% 증가, 당기순이익은 40.8% 증가. 원가율, 판관비, 인건비등 주요 비용의 증가에도 불구하고 매출 확대에 힘입어 영업이익이 늘어나고 당기순이익도 늘어남.  코로나19로 공연, 출연 등 매니지먼트 관련 매출은 감소하였으나, 원가율이 낮은 컨텐츠형 매출이 급증하면서 수익성이 개선됨.

 


케이티알파 036030

네이버증권 Fn Guide NICE평가정보

KT그룹 계열의 모바일인터넷 서비스 및 콘텐츠 플랫폼 서비스 제공업체로 쿠팡의 OTT 서비스인 쿠팡플레이와 영화 콘텐츠 부분 협업 추진.

 

동사는 1991년 12월 12일 설립되었으며, 1999년 12월 24일자로 한국거래소의 코스닥시장에 상장되어 매매가 개시되었음. 국내 최초로 데이터방송 T커머스 채널 'K 쇼핑'을 오픈하여 T커머스 시장을 선도하고 있으며, 스마트디바이스 기반을 중심으로 영화, 영상, 교육 등의 컨텐츠를 제공함. 매출은 커머스 70.99%, 콘텐츠 12.85%, ICT 16.17%로 구성됨.

 

2021년 9월 전년동기 대비 별도기준 매출액은 30.1% 증가, 영업이익은 77.2% 감소, 당기순손실은 150.7% 증가. 매출액 증가에도 불구하고  판관비, 인건비 등 주요비용의 증가로 영업이익 감소를 초래.   T커머스는 TV, 인터넷, 모바일을 통한 마케팅 강화 전략을 통해, 콘텐츠 부문은 다양한 프로모션 강화와 콘텐츠 판권 사업 강화 등을 통해 실적을 개선할 계획임.

 


제이콘텐트리 036420

네이버증권 Fn Guide NICE평가정보

중앙일보 계열사로 지주사업과 영화 및 방송 콘텐츠 투자사업을 영위하는 업체. 멀티플렉스 극장(메가박스 등) 운영사업을 영위하는 메가박스중앙과 드라마 제작 및 콘텐츠 유통사업 등을 영위하는 제이티비씨스튜디오 등을 자회사로 보유. 자회사 제이티비씨스튜디오는 드라마를 제작하고, 드라마를 포함한 시사, 예능 프로그램 유통 및 디지털 콘텐츠의 제작, 유통을 주업으로 영위중.

 

동사는 1969년 9월 일간스포츠로 시작해 1987년 9월 한길무역으로 설립하여 2000년 3월 코스닥시장에 상장됨. 2019년 10월  유가증권시장으로 이전 상장함. 2009년 4월 물적분할 후 2014년 11월 매각하였으며, 2016년 12월 매거진 사업부문을 영업양도함. 동사는 계열사관리 등 지주업과 영화 및 방송 콘텐트투자 사업을 영위하고 있음. 종속회사를 통하여 극장 운영, 방송용 프로그램의 제작 및 유통 등을 영위함.

 

2021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67.6% 증가, 영업손실은 44.8% 증가, 당기순손실은 37.4% 증가. 매출액 증가에도 불구하고  매출원가, 판관비, 인건비 등 주요비용의 증가로 영업손실 심화를 초래함. 동사의 넷플릭스향 첫 오리지널 드라마인 ‘D.P’가 큰 인기를 끌면서 장기적인 수익 기반 확보가 기대됨. 2021년 하반기에는 방송 라인업과 극장 개봉작이 늘어날 예정이어서 실적 개선 기대감이 높음.

 


SBS콘텐츠허브 046140

네이버증권 Fn Guide NICE평가정보

방송콘텐츠의 기획, 투자, 제작, 유통 사업, SBS방송콘텐츠를 인터넷, 케이블티비VOD, IPTV, 모바일 등 국내 뉴미디어 매체에 제공하는 서비스사업을 주사업으로 영위.

 

동사는 1999년 설립되어 2009년 에스비에스프로덕션의 유통사업부문을 합병하였으며 인터넷 방송사업 및 컨텐츠 유통을 영위하고 있는 기업임. SBS방송 컨텐츠를 유통하는 컨텐츠사업과 SBS홈페이지의 운영과 뉴미디어에 컨텐츠를 제공하는 하는 미디어사업, 문화행사 및 이벤트 프로모션 사업, 로또 등 방송프로그램 제작사업, 광고/MD사업으로 구성됨. 동사는 지상파 방송에서 SBS방송콘텐츠를 독점적으로 공급받을 수 있는 강점이 있음.

 

2021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4.4% 증가, 영업이익은 2.6% 증가, 당기순이익은 14.2% 증가. 판관비는 증가했으나 매출 증가와 원가율 및 법인세 비용의 감소로 영업이익과 당기순이익은 모두 증가함. 동사는 투자 확대를 통해 신규 IP기반 콘텐츠의 발굴 및 기획, 개발을 적극적으로 추진 중임. 방송콘텐츠와 결합한 부가사업 확장이 용이해 시너지가 발생할 것으로 기대됨.

 


삼화네트웍스 046390

네이버증권 Fn Guide NICE평가정보

드라마제작을 중심으로 한 엔터테인먼트 업체. 구가의 서, 제빵왕 김탁구, 여우각시별, 멜로가체질, 낭만닥터 김사부2 등을 제작.

 

동사의 사업부문은 드라마 콘텐츠를 기획 및 제작하는 드라마 사업과 신인 연기자를 발굴 및 관리하는 매지지먼트 사업으로 구성됨. 국내 최초의 드라마 독립 제작사로 출발하여 30년 이상의 드라마 제작 노하우를 바탕으로 TV시리즈 제작 외에 O.S.T 앨범제작, 머천다이징, 영화 제작/배급 등 다양한 콘텐츠 사업을 영위하고 있음. 현재까지 약 100여편 이상의 드라마를 제작하였고, 세계 각국에 수출을 이어오고 있음.

 

2021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79.5% 감소, 영업손실은 284.9% 증가, 당기순손실은 514.8% 증가. 매출액이 큰 폭으로 감소하여 영업이익과 당기순이익 모두 적자폭이 확대됨. 동사는 드라마 작가풀을 관리하는 자회사 스튜디오아이콘을 설립하는 등 지식재산권(IP) 사업자로 거듭나기 위해 노력 중임. 제작과 함께 콘텐츠 원천이 되는 IP 확보에도 공을 들이고 있음.

 


초록뱀미디어 047820

네이버증권 Fn Guide NICE평가정보

TV드라마 제작을 중심으로 하는 콘텐츠 제작사업과 드라마 콘텐츠를 기반으로 하는 각종 부가사업(OST, 테마파크 개발) 등을 영위하는 업체.

 

동사는 TV드라마 제작을 중심으로 하는 콘텐츠 제작사업과 드라마 콘텐츠를 기반으로 하는 각종 부가사업 및 부동산사업을 영위하고 있음. 지상파 3사, 종편 및 CaTV 사업자를 통해 콘텐츠를 기획/제작/방송하고 있으며 국내 콘텐츠의 해외판매를 동시에 추진하고 있음. 대표작 '주몽'과 '올인'은 드라마의 성공과 더불어 테마파크 개발사업을 비롯한 다양한 부가사업을 성공적으로 진행함.

 

2021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379.3% 증가, 영업이익 흑자전환, 당기순손실은 77.8% 감소. 매출 증가 및 각종 비용의 감소로 수익성이 증대되어 영업이익은 증가, 당기순손실은 감소함. 콘텐츠의 핵심 기술은 스토리텔링임. 동사는 국내 최고의 작가진을 보유하고 있으며 신규 작품의 기획을 추진함과 동시에 체계화된 시스템을 통해 신인 작가를 지속적으로 발굴하고 있음.

 


SMC&C 048550

네이버증권 Fn Guide NICE평가정보

에스엠엔터테인먼트의 글로벌 네트워크를 통한 영상 콘텐츠 제작(드라마, 예능프로그램 등), 매니지먼트 사업 등을 영위하는 업체.

 

동사는 광고업, 영상콘텐츠 제작사업, 매니지먼트 사업, 여행사업 등을 영위하는 미디어기업임. 광고사업부문은 국내 Top-tier 광고회사이자 SK그룹 인하우스 대행사로서 축적해 온 다양한 업종의 마케팅 커뮤니케이션 경험과 노하우를 보유하고 있음. OTT의 확장으로 'NCT Life', '레드벨벳의 레벨업'등과 같은 오리지널 콘텐츠를 기획 및 제작하여 국내 유수의 OTT 플랫폼에 납품하고 있음.

 

2021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0% 증가, 영업손실은 57% 감소, 당기순손실은 47.9% 감소. 전기 대비 전 부문의 매출이 성장함. 또한 전년동기 대비 원가 및 각종 비용 절감으로 영업손실과 당기순손실 모두 감소함. 글로벌 플랫폼과 파트너십 강화를 통해, 오리지널 콘텐츠 프로젝트 진행, 시즌제 콘텐츠 제작을 추진하고 있으며, 셀럽과 커머스를 융합한 커머스융합 콘텐츠 확장 등 의 노력을 하고있음.

 


대원미디어 048910

네이버증권 Fn Guide NICE평가정보

애니메이션 및 캐릭터산업의 국내 선두기업. 애니메이션 전문 위성방송국 및 케이블방송국을 운영중. 대원방송(주) 등을 종속회사로 보유.

 

동사는 만화 및 애니메이션 콘텐츠와 관련한 종합 엔터테인먼트 사업을 영위함. '유희왕 트레이딩 카드게임'을 제작하여 2004년 부터 국내 TCG사업을 선도하고 있으며, 게임 유통부문은 닌텐도 Wii, 닌텐도 3DS 등 다양한 닌텐도 게임기와 SW를 국내 유통 중임. 대원방송은 국내에서 가장 많은 프로그램을 보유한 애니메이션 채널인 '애니원'과 '애니박스'를 통해 청소년 및 성인층을 위한 애니메이션을 제공하고 있음.

 

2021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7.3% 증가, 영업이익은 87.7% 증가, 당기순이익은 107.5% 증가. 매출 증가 및 원가율 감소, 각종 비용의 감소로 영업이익과 당기순이익 모두 큰 폭으로 증가함. 동사는 국내 TCG사업을 선도해오고 있으며 인기애니메이션을 바탕으로 만들어진 '뱅가드' 카드를 제작하고 유통함과 동시에 인기 스포츠와 연계된 스포츠컬렉션카드를 제작하여 새로운 장르의 시장을 개척하고 있음.

 


큐로홀딩스 051780

네이버증권 Fn Guide NICE평가정보

커피 사업, 엔터테인먼트 사업, 자원개발 사업을 영위하는 업체. 엔터테인먼트 사업부문은 지배회사인 당사를 중심으로 영화ㆍ드라마 등의 영상 콘텐츠 제작, 연예인 매니지먼트, 보조출연자 공급 에이전시 등을 주요사업으로 영위.

 

동사는 1987년 12월에 에스비텍 주식회사로 설립되어 2008년 3월 27일 주식회사 큐로홀딩스로 상호를 변경하였음. 동사가 영위하는 주 사업영역은 엔터테인먼트 사업부문, 커피 사업부문, 자원개발 사업부문으로 구성됨. 엔터테인먼트 사업부문은 지배회사인 동사를 중심으로 영화ㆍ드라마 등의 영상 콘텐츠 제작, 연예인 매니지먼트, 보조출연자 공급 에이전시 등을 주요사업으로 영위하고 있음.

 

2021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112.3% 증가, 영업이익은 224.6% 증가, 당기순이익 흑자전환. 원가 상승과 판관비 증가에도 불구하고 매출 확대로 인해 영업이익과 당기순이익 모두 흑자전환함. 동사는 300만명의 관객을 동원한 영화 '프리즌' 후속작을 준비 중임. 쇼박스, NEW, 에이스메이커 등과 신규 영화 공동기획개발 계약을 체결해 작품 기획을 진행 중임. 미국 법인을 통해 미국 내 유가스전에 투자함.

 


코퍼스코리아 322780

네이버증권 Fn Guide NICE평가정보

영화, 비디오물, 방송프로그램 제작 및 배급업체. 방송 콘텐츠 판권 확보 후 영상, 음향, 자막 등을 자체 처리(커스터마이징)하여 VOD/OTT등 플랫폼사에 배급하거나 확보한 권리 일부를 타 배급사등에 양도(서브라이선스)하는 배급사업을 주 사업목적으로 영위.

 

동사는 국내 제작사 및 방송사로부터 콘텐츠 권리를 구입하여 자체적인 커스터마이징을 거쳐 일본의 주요 방송사, DVD유통사, OTT 플랫폼 사업자에게 공급하는 사업을 영위. 기타 사업으로는 당사의 네트워크를 연계한 화장품 이커머스 사업 및 자막 제작 사업을 영위함. 신규 사업으로 드라마 제작, OSMU(One Source Multi Use) 사업 등 콘텐츠 기획 및 제작 사업에 역량을 집중

 

2021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33.7% 증가, 영업이익은 73.7% 증가, 당기순이익은 175.2% 증가. 설립 초기부터 전송권을 주력으로 배급하고 있어 방송권, DVD권에 집중해온 일본내 타 배급사들과 다소 차별화된 사업을 영위 2020년을 기점으로 비대면 문화 확산 및 재택시간 증가에 따른 일본내 미디어 소비 패턴이 'DVD 구매 및 대여'에서 'OTT 구독'으로 크게 변화하여 매출액 성장에 일조함.

  • 네이버 블로그 공유
  • 네이버 밴드 공유
  • 페이스북 공유
  • 카카오스토리 공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