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마정보 / / 2021. 12. 26. 13:34

바이오시밀러 복제 바이오의약품 테마 관련 수혜주 대장주 주식 종목 총정리

바이오시밀러 복제 바이오의약품 테마 개요

유전자 재조합이나 세포배양기술을 통해 생산되는 호르몬과 단백질 등을 의미하는 바이오 의약품의 복제제품. 일반 화학 합성약과는 달리 바이오신약은 구조가 복잡하고 제조과정도 동식물 세포나 조직을 활용하여 완벽한 복제가 어렵기 때문에 고도기술로 평가 받고 있음. 09년 6월 지식경제부 주관 신성장동력 스마트 프로젝트에 삼성전자 컨소시엄이 바이오시밀러 관련 과제를 제출하면서 시세를 분출함. 원천기술을 확보했거나 관련 의약품 연구 및 의약품을 생산하는 기업군.

 

바이오시밀러 복제 바이오의약품

바이오시밀러 복제 바이오의약품 관련 종목

한미약품 128940

한미약품-일봉차트

 

한미약품 네이버 증권보기 한미약품 FN GUIDE 종목분석 보기

슈퍼바이오시밀러인 지속성 단백질의약품(당뇨병치료제 등)을 개발 중.

 

의약품 제조 및 판매를 주 사업목적으로 하고 있으며 주요 제품으로는 고혈압치료제(아모디핀), 복합고혈압치료제(아모잘탄) 등이 있음. 원료의약품 제조 및 판매업을 영위하는 한미정밀화학 및 의약품 제조 및 판매업 영위 업체 북경한미약품유한공사를 주요 자회사로 보유하고 있음. 호중구감소증 치료제 롤론티스 및 얀센에 기술 이전한 비만치료제 HM12525A, NASH 치료제 HM15211 임상에 따른 파이프라인 경쟁력을 확보함.

 

2021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6.8% 증가, 영업이익은 1070.6% 증가, 당기순이익 흑자전환. 주요 제품으로는 복합고지혈증치료제 '로수젯', 복합고혈압치료제 '아모잘탄', 역류성식도염치료제 '에소메졸' 등이 있으며 지속적인 수요로 매출이 증가하고 있음. 동사는 2020년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 할당대상업체로 최초 지정되어 2021년 에너지사용과 온실가스배출 절감을 이루어갈 계획임.

 


셀트리온제약 068760

셀트리온제약-일봉차트

 

셀트리온제약 네이버 증권보기 셀트리온제약 FN GUIDE 종목분석 보기

바이오시밀러의 국내 유통 및 판매사업 영위(셀트리온에서 생산하는 바이오시밀러 국내 판권 보유).

 

동사는 KGMP, cGMP, EU-GMP 적격업체로, 충북 진천과 오창에 생산 및 품질 관리시설을 갖추고 40여 전문의약품을 생산하고 있으며, 다양한 제품파이프라인을 보유중임. 주력제품 고덱스는 기존 간질환치료제인 헤파디프와 DDB제제의 배합 비율을 찾아 2상, 3상 임상 실시로 5년 노력 끝에 개발함. 바이오시밀러 국내 독점판매권과 유통권을 확보함으로써 기존 케미컬 의약품과의 시너지 확대를 통한 시장지배력 강화를 도모하고 있음.

 

2021년 9월 전년동기 대비 별도기준 매출액은 76.1% 증가, 영업이익은 145.7% 증가, 당기순이익은 191% 증가. HIV치료제를 포함한 6종의 글로벌 향 케미컬의약품이 480억원의 매출을 달성하여 케미컬의약품 부문의 성장을 이끌었음. 동사는 미국, 유럽 등 세계 선진국시장 진출을 목표로 국제기준을 충족할 수 있는 우수 의약품 생산시설을 충청북도청주시 오창 제2산업단지 내 건설하여 2020년 하반기 상업생산을 시작하였음.

 


바이넥스 053030

바이넥스-일봉차트

 

바이넥스 네이버 증권보기 바이넥스 FN GUIDE 종목분석 보기

국내 몇개 없는 바이오시밀러 생산이 가능한 생물산업기술실용화센터(KBCC)를 운용하고 있어 생산설비가 없는 대기업 및 바이오 업체들의 바이오시밀러 생산을 담당.

 

동사는 1957년 12월에 설립되어 2000년 4월 바이넥스로 상호를 변경하였으며 2001년 7월 코스닥시장에서 매매거래가 개시되었음. 동사의 사업영역은 케미컬의약품 제조 및 판매 사업부문과 바이오의약품의 위탁 생산 및 개발 사업부문(CDMO)으로 구분됨. 동사는 국내 대부분의 제약기업 및 바이오기업이 개발하고 있는 바이오의약품의 개발 및 생산을 수행하고 있음.

 

2021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3.6% 감소, 영업이익은 40.3% 감소, 당기순이익은 32.8% 증가. 동사의 매출은 국내외 고객과의 바이오 의약품CDMO 계약 수주 증가 및 합성의약품사업부의 효율적 조직관리, 신제품 출시, 신규 거래처 확보 등을 통해 생산성이 증가함. 매년 약 24.6%의 대규모 성장을 통해 전체 제약시장의 약 11%를 점유할 것으로 전망됨.

 


팬젠 222110

팬젠-일봉차트

 

팬젠 네이버 증권보기 팬젠 FN GUIDE 종목분석 보기

바이오시밀러 의약품 개발, 제조 업체. 바이오의약품 제품화 기술을 활용한 바이오시밀러 EPO의약품의 생산 및 판매 사업 영위. 주요(개발)제품으로는 바이오시밀러 EPO(만성 신부전 환자의 빈혈치료제), 바이오시밀러 G-CSF(항암치료 보조제), 바이오시밀러 Aflibercept(황반변성, 황반부종등 치료제) 등이 있음.

 

2010년 1월 29일에 분할설립 되었고 2016년 3월 11일에 기술성장기업으로 코스닥 시장에 상장되었음. 바이오시밀러 EPO의약품의 생산 및 판매, 바이오의약품 개발 사업, 바이오의약품(전임상,임상시료포함) 위탁생산(CMO) 및 개발기술 이전서비스 (CDO)사업을 수행하고 있음. 만성 신부전 환자의 빈혈 치료제인 바이오시밀러 EPO의약품은 2019년에 제품명 팬포틴으로 품목허가를 받아  2020년 2월부터 국내 판매를 시작함.

 

2021년 9월 전년동기 대비 별도기준 매출액은 25.2% 증가, 영업손실은 17.4% 감소, 당기순손실은 25.9% 감소. 매출액이 증가하고 판매비와관리비가 감소했으나, 매출원가 증가폭이 커 전체 영업이익이 흑자전환 하는 데에는 실패하였음. 지역 특성상 풍부한 구매력을 보유한 이머징 마켓 내 인구의 노화, 만성질환의 확대, 소득증가에 따른 수요 증가 등은 바이오시밀러 시장 성장에 긍정적 요소로 작용할 것으로 전망됨.

 


셀트리온 068270

셀트리온-일봉차트

 

셀트리온 네이버 증권보기 셀트리온 FN GUIDE 종목분석 보기

생명공학기술 및 동물세포대량배양기술을 기반으로 항암제 등 각종 단백질 치료제 개발/생산 업체. 류마티스 관절염 치료제 레미케이드의 바이오시밀러 '렘시마', 유방암 치료제 허셉틴의 바이오시밀러인 '허쥬마', 혈액암 치료제 '트룩시마' 보유

 

동사는 생명공학기술 및 동물세포대량배양기술을 기반으로 항암제 등 각종 단백질 치료제(therapeutic proteins)를 개발, 생산하는 것을 목적사업으로 하고 있음. 아시아 최대인 140,000L 규모의 동물세포배양 단백질의약품 생산설비를 보유하고 있으며 향후 개발 일정과 수요 등을 고려하여 3공장 신설 예정. 세계 최초 개발한 자가면역질환 치료용 바이오시밀러 ‘램시마’는 2016년 미국 FDA로 부터 판매 승인 받음.

 

2021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4.5% 감소, 영업이익은 2.3% 감소, 당기순이익은 9.9% 증가. 매출액 기준 글로벌 1위인 휴미라의 유일한 고농도 바이오 시밀러인 유플라이마 등이 매출을 견인하고 있으나 판관비가 크게 증가하여 이익은 소폭 감소하였음. 자가면역질환 치료제 램시마의 경우 미국 헬스케어 데이터업체 심포니헬스에 따르면 미국 시장 내 시장점유율은 2021년 9월 말 기준으로 21.2%를 달성하였음.

 


삼성바이오로직스 207940

삼성바이오로직스-일봉차트

 

삼성바이오로직스 네이버 증권보기 삼성바이오로직스 FN GUIDE 종목분석 보기

삼성그룹 계열사로 국내외 제약회사의 첨단 바이오의약품을 위탁 생산하는 CMO(Contract Manufacturing Organization) 사업과 세포주 개발 및 공정개발 서비스를 제공하는 CDO(Contract Development Organization) 사업을 영위하는 업체. 바이오의약품 연구개발 자회사인 삼성바이오에피스와 아키젠바이오텍이 바이오시밀러 개발 및 상업화를 진행중.

 

삼성그룹의 계열사로 2011년 4월 설립되었으며, 국내외 제약회사의 첨단 바이오의약품을 위탁 생산하는 CMO 사업을 영위. 2018년 cGMP 생산을 시작하여 2019년말 기준 36.2만리터 생산설비를 가동 중이며, 이 시장에서 선발업체를 추월해 생산설비 기준 세계 1위 CMO로 도약. 동사의 바이오의약품 연구개발 자회사인 삼성바이오에피스와 아키젠바이오텍은 바이오시밀러 개발 및 상업화를 진행 중.

 

2021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42.3% 증가, 영업이익은 104% 증가, 당기순이익은 117.1% 증가. 사업을 다방면으로 확장해감에 따라 매출이 크게 증가하고 있으며 늘어난 매출에 힘입어 영업이익도 크게 상승하였음. 동사는 CDMO 서비스에 활용되는 자체 세포주 플랫폼을 개발, 그 상품명인 S-CHOice 상표가 최근 한국, 미국, EU, 영국, 중국, 일본 6개국에서 모두 등록 완료 또는 등록 결정되었음.

 


에이프로젠제약 003060

에이프로젠제약-일봉차트

 

에이프로젠제약 네이버 증권보기 에이프로젠제약 FN GUIDE 종목분석 보기

제네릭 사업(의약품 제조)과 바이오시밀러 사업을 영위. 레미케이드, 리툭산, 허셉틴 등 3대 블록버스터급 바이오시밀러의 국내 사업권을 확보하고 있음.

 

동사는 1960년 건풍산업주식회사로 설립되어 의역품 등의 제조, 판매를 주요사업으로 영위하는 회사로 1984년 상장함. 연결대상에 포함된 종속회사인 에이프로젠파마는 의약품 도소매업, 에이프로젠헬스케어앤게임즈는 게임 사업, 의약품 도매업을 주요 사업으로 함. 동사의 화성공장은 의약품 제조 및 품질관리기준 적합 판정서를 받았으며 항생제, 순환기제, 소화기제, 소염진통제 등 140여 품목의 의약품을 생산, 판매하고 있음.

 

2021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3.3% 증가, 영업손실은 52.3% 증가, 당기순이익은 47.8% 감소. 주력사업인 의약품의 연구개발 활동을 하고 있으며, 바이오의약품중 바이오시밀러 및 신규 제네릭의약품의 연구개발을 하고 있음. 동사와 연결종속회사의 의약품 사업 매출액은 대사성 의약품, 중추신경용약, 자율신경제, 동맥경화용제 등의 제네릭의약품 품목이 매출 상위를 기록함.

 


동아에스티 170900

동아에스티-일봉차트

 

동아에스티 네이버 증권보기 동아에스티 FN GUIDE 종목분석 보기

바이오시밀러인 항암보조치료제 "류코스팀(G-CSF, 호중구감소증치료제)" 국내 시판중. Sanwa Kagaku Kenkyusho(일본)와 바이오시밀러 기술수출 계약 체결(14년1월).

 

동사는 구 동아제약에서 인적분할하여 2013년 3월 1일에 설립된 신설법인으로 2013년 3월 4일에 등기되었으며, 주권은 2013년 4월 8일에 재상장 됨. 자가개발의약품, 바이오의약품, 제네릭, 도입의약품 등 다양한 제품 포트폴리오를 가지고 있으며 다수의 블록버스터 제품을 바탕으로 시장지배력을 강화함. 의료 서비스 기대치 상승에 부응하는 의약품 연구개발 활성화 등으로 인해 국내 제약산업의 계속적인 성장을 기대하고 있음.

 

2021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4% 감소, 영업이익은 59.5% 감소, 당기순이익은 55.4% 감소. 의료기기사업부문 제품군 감소 및 COVID-19로 인한 해외 영업 환경 변화, 바이오텍 양수로 인한 R&D비용 증가로 매출과 영업이익이 감소하였음. 동사는 임상자료를 바탕으로 한 근거중심의 마케팅 활동으로 시장지배력을 강화하고 신약개발 및 우수 신약 도입 등으로 국내 매출 및 수출 확대를 위해 노력하고 있음.

 


한올바이오파마 009420

한올바이오파마-일봉차트

 

한올바이오파마 네이버 증권보기 한올바이오파마 FN GUIDE 종목분석 보기

아미노산 치환 기술 등의 바이오시밀러 개발 원천기술을 보유.

 

동사는 1973년 설립된 이래 국내 제약시장에서 각종 의약품 생산 및 판매를 통해 국민건강증진에 기여했으며 1989년 유가증권시장에 상장됨. 주요 사업은 합성의약품과 바이오의약품의 연구개발 및 제조 및 판매이며 신약 부문은 자가면역질환, 안구질환, 면역항암 치료제 등의 바이오신약 개발을 진행함. 동사의 자회사인 HPI는 미국 현지법인으로 당사가 개발하는 신약의 해외임상 진행 및 라이선스 업무 등을 담당함.

 

2021년 6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14.6% 증가, 영업이익은 56.3% 증가, 당기순이익은 20.3% 감소. 원가율 상승과 판관비 증가에도 불구하고 매출 확대에 힘입어 영업이익이 증가함. 매출 증가를 위해 소비자 인식 및 브랜드 네임 강화를 지속하고 있으며 추가적인 라인업 강화 및 동사 영업인력을 대상으로 지속적인 제품 교육을 통해 영업력 강화에 힘쓰고 있음.

 


셀트리온헬스케어 091990

셀트리온헬스케어-일봉차트

 

셀트리온헬스케어 네이버 증권보기 셀트리온헬스케어 FN GUIDE 종목분석 보기

셀트리온그룹 계열의 바이오의약품 유통 업체. 셀트리온과 공동 개발 중인 바이오의약품(바이오시밀러, 바이오베터, 바이오 신약)들의 글로벌 마케팅 및 판매를 담당.

 

1999년 12월 설립된 동사는 주요 계열사인 셀트리온과 공동 개발 중인 바이오의약품(바이오시밀러, 바이오베터, 바이오 신약)들의 글로벌 마케팅 및 판매를 독점적으로 담당하고 있음. 동사가 주력하고 있는 바이오시밀러 제품은 인플릭시맙(램시마), 리툭시맙(트룩시마), 트라스투주맙(허주마) 등임. 글로벌 제약사인 화이자, Teva 등을 포함하여 110여개 국가에서 30개 파트너와 판매 및 유통 파트너십을 구축하고 있음.

 

2021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3.4% 감소, 영업이익은 52% 감소, 당기순이익은 34.9% 감소. 코로나로 인해 원재료 수급 및 해외 수출 여건이 어려워지면서 매출에 비해 비용이 크게 증가하여 수익성이 하락하였음. 플렉트라는 지속적으로 시장 점유율을 늘리고 보험사 커버리지가 확대되면서 점진적으로 처방이 증가하여 2021년 9월 기준 경쟁 바이오시밀러 대비 2배 이상 높은 21.2%의 점유율을 달성하였음.

 


대웅제약 069620

대웅제약-일봉차트

 

대웅제약 네이버 증권보기 대웅제약 FN GUIDE 종목분석 보기

16년12월 인도네시아 식약청(BPOM)으로부터 바이오시밀러 빈혈치료제 '에포디온'의 품목허가를 취득해 17년1월 출시.

 

동사는 2002년 10월 주식회사 대웅이 사업부문을 인적 분할하여 설립되었으며, 종속회사는 의약품 제조 및 판매업을 영위하는 주요종속회사인 한올바이오파마를 포함한 총 13개 회사로 구성. 의약품 제조 및 판매를 영위하고 있으며, 주요제품은 우루사, 알비스, 올메텍, 임팩타민, 넥시움 등 다양한 용도의 의약품으로 구성됨. 영업사원에 대한 디테일 능력향상, 제품차별화 포인트, 선진 마케팅기법 교육 등을 통해 판매를 강화하고 있음.

 

2021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7.8% 증가, 영업이익은 674.4% 증가, 당기순손실은 25.3% 증가. 우루사, 루피어, 안플원 등 자체개발 제품의 지속적인 매출을 바탕으로 크레젯, 포시가, 다이아벡스, 릭시아나 등의 매출이 증가하였음. 전문의약품은 의약전문지 등을 통한 광고 및 세미나를 실시하고 일반의약품은 매출 증가를 위해 소비자 인식 및 브랜드 네임 강화를 지속하고 있음.

 


종근당 185750

종근당-일봉차트

 

종근당 네이버 증권보기 종근당 FN GUIDE 종목분석 보기

국내 및 일본에서 품목 허가를 받은 세계 최초 네스프 바이오시밀러 '네스벨' 출시.

 

동사는 2013년 11월 2일을 분할기준일로 투자사업부문을 담당하는 존속법인 종근당홀딩스와 의약품사업부문을 담당하는 신설회사인 종근당으로 인적분할되어 설립. 2013년 12월 6일에 한국거래소 유가증권시장에 재상장함. 신약 및 개량신약, 제네릭 의약품에 대한 우수한 개발능력을 보유, 연간 매출액 대비 10% 이상의 연구개발 투자를 집행하며 표적항암제, 자가면역질환 치료제 등 신약개발 임상 진행 중.

 

2021년 6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5.3% 증가, 영업이익은 14% 감소, 당기순이익은 14.3% 감소. 지누비아, 케이캡, 아토젯 등 주요 상품들이 지속적인 수요로 매출이 성장하고 있어 향후 수익 개선이 기대되고 있음. 동사는 신약 및 개량신약, 제네릭 의약품에 대한 우수한 개발능력을 보유, 연간 매출액 대비 약 11% 가량의 R&D 투자를 집행하고 있고 이를 점진적으로 증가시킬 예정임.

 


파멥신 208340

파멥신-일봉차트

 

파멥신 네이버 증권보기 파멥신 FN GUIDE 종목분석 보기

항암 항체치료제 개발 전문 바이오벤처업체. 아바스틴과 아일리아 바이오시밀러로써 PMC-901과 PMC-902가 세포주 확보 단계를 거쳐 생산 및 정제공정 단계에서 개발을 진행중임.

 

2008년 설립된 연구중심의 항체치료제 개발 기업으로, 2018년에 코스닥시장에 기술특례로 상장함. 바이오신약을 연구개발하고 기술이전 등을 통해 수익 창출을 목표로 함. 완전인간 비면역 scFv 파아지 라이브러리를 이용한 완전인간 항체 개발기술, 차세대 이중표적항체 제조 원천기술 등의 핵심기술을 보유함. 주요 파이프라인은 종양 신생혈관치료제, 비종양 혈관질환 치료제, 면역항암제 등 다양한 항체치료제가 있음.

 

2021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400% 증가, 영업손실은 89.6% 증가, 당기순손실은 70.4% 증가. 기술을 도입한 회사로부터 매출이 의존적이며, 일부 기술이전이 진행된다면 자연스럽게 용역 및 상품매출도 증가될 것으로 예측됨. 면역항암 항체치료제들은 다른 작용기전 약물과의 병용투여로써 더 많이 연구되고 있는 상황. 신생혈관 치료제와의  병용투여 임상시험이 큰 폭으로 증가.

 


녹십자 006280

녹십자-일봉차트

 

녹십자 네이버 증권보기 녹십자 FN GUIDE 종목분석 보기

항암제, 항암보조제, 항응혈제, 위염치료제 등 다수의 바이오시밀러에 대한 임상을 진행중.

 

동사는 혈액제제와 백신제제를 비롯해 전문의약품, OTC제제 등의 의약품을 제조 및 판매하는 제약사로, 1969년 설립되어 1989년 유가증권시장에 상장됨. 동사의 사업 품목은 혈액제제, 백신제제, 전문의약품, 일반의약품 등이 종합적으로 구성되어 있음. 주요 거래처는 종합병원, 의원, 시약도매상, 약국, 적십자 등임.  동사는 핵심사업으로서 혈액제제, 백신제제, 유전자재조합제제의 대형 수출품목 육성과 신규 시장 개척을 목표로 함.

 

2021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4.4% 증가, 영업이익은 20.8% 증가, 당기순이익은 7.9% 증가. 헌터증후군치료제 '헌터라제'는 중국과 일본에서 허가를 획득하였고, 최근 혈우병치료제인 '그린진에프'가 중국 국가약품감독관리국에 품목허가를 획득함. 동사 혈액제제는 2021년 2월 면역글로블린 10% IVIG 미국허가 신청을 완료하였으며, 백신제제는 독감백신과 수두백신의 수출이 증가 중임. 

 


프레스티지바이오로직스 334970

프레스티지바이오로직스-일봉차트

 

프레스티지바이오로직스 네이버 증권보기 프레스티지바이오로직스 FN GUIDE 종목분석 보기

바이오의약품을 생산하여 공급하는 위탁생산서비스업체. 관계사 프레스티지바이오파마사와의 라이선스계약을 통하여 HD201(허셉틴 바이오시밀러) 및 HD204(아바스틴 바이오시밀러)의 개발에 참여, 전체 개발 과정 중에서 공정 개발 및 품질 관련 분야를 담당.

 

동사는 바이오의약품을 생산하여 공급하는 위탁생산서비스업 및 세포배양공정과 정제공정 등의 연구로 특화된 개발서비스를 제공하는 위탁개발서비스업 을 주 사업으로 영위함. 의약품 위탁패키징업  및 고객 맞춤형 제조환경을 제공하는 위탁엔지니어링서비스을 신사업으로 진행 및 진행예정에 있음. 당사는 COVID-19 백신 중 하나인 러시아 스푸트니크V 백신 원천 기술을 가진 업체로부터원액 제조기술을 이전 받아 백신 CMO 사업을 준비 중.

 

2021년 9월 전년동기 대비 별도기준 매출액은 0% 증가, 영업손실은 39.4% 증가, 당기순손실은 94.6% 증가. 2019년 4월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의약품 제조 및 품질관리기준 적합판정을 획득(KGMP) 하였음. 동사는 2019년 4월 당사의 관계사인 프레스티지바이오파마는 HD201(허셉틴바이오시밀러)의 EMA 품목허가(판매허가)를 신청 및 승인 진행중.

 


LG화학 051910

LG화학-일봉차트

 

LG화학 네이버 증권보기 LG화학 FN GUIDE 종목분석 보기

LG그룹 계열의 국내 대표적인 화학기업으로 17년1월 바이오의약품 전문 제약업체 LG생명과학 흡수합병을 통해 생명과학사업 진출. 류마티스관절염 치료제인 엔브렐과 휴미라의 바이오시밀러를 일본 모치다社와 협력하여 개발하고 있음. 18년6월 류마티스관절염 치료 바이오시밀러 '유셉트'의 국내 판매 실시.

 

동사는 석유화학 사업부문, 전지 사업부문, 첨단소재 사업부문, 생명과학 사업부문, 공통 및 기타부문의 사업을 영위하고 있음. 연결회사는 2020년 12월 1일 전지 사업부문을 단순·물적분할하여 (주)LG에너지솔루션 및 그 종속기업을 설립함. 동사는 양극재, 엔지니어링 소재, IT소재의 경쟁력을 바탕으로 고부가 제품을 중심으로 한 포트폴리오 전환을 추진 중에 있음.

 

2021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49.8% 증가, 영업이익은 153.8% 증가, 당기순이익은 272.1% 증가. 20년 전기에 유리기판 사업 중단 및 LCD 편광판 사업 매각을 결정하였으며, 첨단소재 사업부문의 일부 사업을 공통 및 기타부문으로 재분류. 고부가 제품 비중 확대, 원가 경쟁력 강화 등을 통해 경기 변동에 따른 사업 Risk를 최소화하고 사업의 Fundamental을 강화.

 


프레스티지바이오파마 950210

프레스티지바이오파마-일봉차트

 

프레스티지바이오파마 네이버 증권보기 프레스티지바이오파마 FN GUIDE 종목분석 보기

항체의약품 개발(바이오시밀러 및 항체 기술 기반 신약 개발) 전문 제약회사. 허셉틴 바이오시밀러(HD201), 아바스틴 바이오시밀러(HD204), 휴미라 바이오시밀러(PBP1502) 등 총 10개의 바이오시밀러 파이프라인 보유.

 

동사는 2015년 싱가포르에 설립된 이래, 항체의약품 개발 전문 제약회사로서 바이오시밀러와 항체 신약 개발에 집중해왔으며 2021년 2월 5일자로 한국 유가증권시장에 상장되었으며, 올해는 새롭게 백신사업에도 진출. 동사는 백신사업의 첫 시작으로 코로나19 백신의 위탁생산 컨소시엄에 참여함. 원료의약품 및 완제의약품 CMO업체가 원자재 매입부터 생산, 보관, 최종 포장, 그리고 글로벌 파트너사의 물류창고 배송까지 담당.

 

2021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영업손실은 113.1% 증가, 당기순손실은 2436.4% 증가. 동사는 백신의 위탁생산 사업을 위해 현재 충북 오송에 백신 생산시설을 건립중이며 올해 4월 러시아와 기술이전계약을 체결함. 현재는 스푸트니크 코로나19 백신 생산에 대한 기술이전을 진행하고 있으며, 올해 4분기부터는 백신의 양산을 계획중이며 자체적으로 개발할 수 있도록 관련 연구인력과 시설에 대한 투자를 진행할 계획.

 


알테오젠 196170

알테오젠-일봉차트

 

알테오젠 네이버 증권보기 알테오젠 FN GUIDE 종목분석 보기

바이오시밀러(동등바이오의약품), 바이오베터(개량 바이오신약) 관련 연구 개발업체. 주요제품은 성장호르몬 바이오베터, 엔브렐 바이오시밀러, 허셉틴 바이오시밀러, 휴미라 바이오시밀러, 아일리아 바이오시밀러 등.

 

동사는 2008년 설립되어 2014년 기술특례로 코스닥 시장에 상장한 바이오기업임. 항체약물 융합(ADC) 기술등을 활용한 기존 바이오의약품을 개선하는 바이오베터 사업과, 이머징 마켓을 타겟으로 아일리아, 허셉틴 등 바이오시밀러 개발 사업을 영위중. 원천기술로 ADC 기술(NexMabTM), 바이오의약품의 반감기를 증가시키는 NexPTM 융합 기술, 정맥주사를 피하주사 제형으로 변경시키는 hybrozyme 기술 등을 보유.

 

2021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34% 감소, 영업이익 적자전환, 당기순이익 적자전환. 동사의 기반기술인 NexP™ 융합 기술, NexMab™ ADC 기술 및 Hybrozyme™기술을 활용하여 추가 파이프라인을 개발하기 위한 연구개발 활동을 지속하고 있음. 난이도가 있어 경쟁이 치열하지 않으면서도 선두 주자와의 개발 격차가 크지 않은 Factor VIIa에 주목을 하고 이의 지속형 바이오베터를 개발하고 있음.

 


셀루메드 049180

셀루메드-일봉차트

 

셀루메드 네이버 증권보기 셀루메드 FN GUIDE 종목분석 보기

바이오시밀러 사업 영위 업체. rhBMP2를 원료로 한 골이식용복합재료에 대한 임상시험 승인을 식약청으로부터 허가 받아 국내 의료기관에서 임상시험을 마쳤으며, 식약처의 품목허가 등록을 통해 판매 중.

 

동사의 사업부문은 의료기기, 바이오로직스, 코스메슈티컬로 분류됨. 의료기기사업은 탈회골(DBM), 합성 고분자 무릎연골(BMG) 등을 연구·개발하는 조직공학과 인공무릎관절, 동종이식재 취급 분야로 나뉨. 바이오로직스 부문의 주요 제품으로는 골형성 단백질 rhBMP2와 히알루론산 기반의 활액대체재 Viscoseal Syringe가 있음. 단풍나무 수액으로 만든 기능성 화장품을 중국 내 2000여개의 화장품 전문 유통채널에 납품함.

 

2021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50.9% 증가, 영업이익은 226.3% 증가, 당기순이익 흑자전환. 원가율은 상승했으나 매출액 증가 및 판관비 감소로 수익성이 확대됨. 따라서 영업이익과 당기순이익 모두 증가함. 동사는 인체조직 중 주로 뼈와 건을 대체할 수 있는 재료 및 제품개발에 매진하고 있으며, 조직을 이루는 주요한 요소로 성장인자 중 하나인 골형성 단백질의 대량 발현 시스템을 구축한 상태임.

 


이수앱지스 086890

이수앱지스-일봉차트

 

이수앱지스 네이버 증권보기 이수앱지스 FN GUIDE 종목분석 보기

심혈관질환 재발 또는 이를 예방하기 위해 혈전형성을 억제하는 항체치료제인 클로티냅(국내 최초의 항체의약품 바이오시밀러)을 생산하여 판매중. 발작성야간혈색소뇨증 치료제 바이오시밀러 ISU305 연구/개발 진행중.

 

2001년 설립된 동사는 바이오의약품의 연구개발을 주요사업으로 영위하고 있는 이수그룹 계열회사임. 혈전형성을 억제하는 항체치료제인 클로티냅, 유전성 희귀질환인 고셔병과 파브리병을 치료하기 위한 효소치료제인 애브서틴과 파바갈을 개발하여 판매 중임. 현재 후속 제품 4개가 진행 중에 있음. 바이오의약품 개발 사업 외에 세계의 희귀의약품을 국내도입과 판매 사업을 진행하고 있으며 2018년부터 윌슨병 치료제 트리엔탑을 판매 중임.

 

2021년 9월 전년동기 대비 별도기준 매출액은 23.3% 증가, 영업손실은 47.8% 감소, 당기순손실은 26.9% 감소. 클로티냅, 애브서틴 및 파바갈 3종에 대한 수요 증가로 매출은 꾸준히 성장함에 따라 수익성이 개선되어 가고 있음. 암 및 뇌신경 관련 난치성 질환에 대한 신약개발에 대해 꾸준히 연구 개발하고 있고 면역학에 대한 인재 확보 등으로 신약개발에 대한 연구투자를 지속적으로 확대하고 있음.

 

  • 네이버 블로그 공유
  • 네이버 밴드 공유
  • 페이스북 공유
  • 카카오스토리 공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