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나무 관련주 개요
가상화폐(암호화폐) 거래소 업비트를 운영하는 두나무가 미국 나스닥 상장을 검토중이라는 소식이 전해지면서 시장에서 부각되는 종목군. 두나무는 디지털 자산거래소인 "업비트"와 소셜 트레이딩 기반의 주식 플랫폼 "증권플러스", 비상장 주식 통합거래 플랫폼 "증권플러스 비상장" 등을 서비스중.
두나무 관련 종목
바른손 018700
바른손 네이버 증권보기 | 바른손 FN GUIDE 종목분석 보기 |
두나무 지분을 보유중인 케이큐브1호 벤처투자조합 지분 보유중(2021년 2분기 보고서 기준). 케이큐브1호 벤처투자조합은 두나무 지분 11.1%(보통주 및 우선주 포함) 보유중(2020.12 두나무 연결감사보고서 기준)
동사는 영화, 뷰티, 외식 사업 등을 영위함. 영화 부문은 영화제작 및 투자, 뷰티 부문은 화장품 유통업 등 관련사업, 외식 및 기타 부문은 음식료품 제조판매업, 홈인테리어 도소매업, 시설경비업 등으로 구성됨. 동사는 2019년 개봉해 미국 아카데미 시상식에서 작품상 등을 받은 영화 '기생충'에 투자하며 이름을 알림. 2021년 1분기 기준 매출은 영화 사업 1.4%, 뷰티 부문 89.4%, 기타 부문 9.2%로 구성됨.
2021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55.7% 증가, 영업이익 적자전환, 당기순이익 흑자전환. 매출 확대에도 불구하고 판매비와 관리비의 증가 영향으로 영업이익은 적자로 전환됨. 동사는 지속적인 중소기업과의 협력으로 6000개가 넘는 한국 화장품 브랜드가 모두 졸스에 입점할 수 있도록 힘쓰고 있음. 또한 B2C K-뷰티 옴니 채널 플랫폼을 추가로 선보일 계획임.
DSC인베스트먼트 241520
DSC인베스트먼트 네이버 증권보기 | DSC인베스트먼트 FN GUIDE 종목분석 보기 |
동사가 운용하는 펀드를 통해 두나무 지분을 보유한 것으로 알려지며 시장에서 부각.
2012년 1월 설립된 동사는 중소·벤처기업에 대한 투자금융을 제공하는 벤처캐피탈 회사임. 투자조합 등의 결성을 통해 업무집행조합원으로서 운영 및 관리를 담당하고 있으며, 조합자금의 투자집행을 통해 중소·벤처기업 투자를 주력으로 하고 있음. 2021년 9월말 현재 동사가 운영중인 투자조합은 총 16개로 운영자산(AUM) 기준 6,982억원을 기록하고 있음. 주요 출자사는 한국모태펀드, 성장사다리펀드, 한국산업은행 등임.
지분법이익과 관리보수 등 투자조합으로부터 발생하는 수익의 확대와 단기매매증권평가이익이 늘어남에 따라 2021년 3분기 누적 영업수익은 전년동기 대비 14.1% 증가함. 조합지분법손실이 크게 늘어남에 따라 영업이익은 전년동기 대비 14.7% 감소한 91.1억원을 기록함. 컬리, 무신사, 직방 등 유니콘 기업에 일찌감치 투자해오면서 '유니콘 족집게'로 평가 받는 동사는 최근 콩스튜디오에 추가 투자함.
에이티넘인베스트 021080
에이티넘인베스트 네이버 증권보기 | 에이티넘인베스트 FN GUIDE 종목분석 보기 |
에이티넘고성장기업 투자조합을 통해 국내 가상화폐거래소 업비트를 운영중인 두나무 지분을 보유.
벤처투자 촉진에 관한 법률에 의한 창업자에 대한 투자와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에 따른 경영참영형 사모집합투자기구 운용함. 현재 동사는 4개 투자조합, 약 1조2030억원의 운용자산을 운용중에 있음. 정부 및 주요 출자자들로부터 베스트 벤처캐피탈상, 우수펀드운용상 등을 수상하며 탁월한 운용 성과와 투명한 운용 체계에 있어서 대외적으로 인정을 받은 바 있음.
2021년 9월 전년동기 대비 별도기준 매출액은 121.7% 증가, 영업이익은 214.3% 증가, 당기순이익은 224% 증가. 투자조합수익 중 조합관리보수와 조합지분법이익 모두 큰 폭으로 증가하며 외형이 성장했으며, 비용은 대부분 고정비적인 성격을 보여 매출증가폭이 대부분 영업이익으로 이어짐. 위와 같은 요인에 힘입어 동사는 당분기 196억원의 당기순이익을 기록하며, 안정적인 흑자 경영을 유지하고 있음.
대성창투 027830
대성창투 네이버 증권보기 | 대성창투 FN GUIDE 종목분석 보기 |
국내 가상화폐거래소 업비트를 운영중인 두나무에 투자한 것으로 알려지며 관련주로 시장에서 부각.
동사는 벤처캐피탈의 도입초기였던 1987년에 설립되어 중소기업창업자 및 벤처기업에 대한 투자와 창업투자조합의 결성 및 업무의 집행 등을 주 업무로 하고 있음. 2010년 3월 사명을 대성창업투자 주식회사로 변경하였으며 부품소재, 에너지, 환경, ICT산업 및 문화콘텐츠 등에 특화함. 2019년에 투자한 기업인 웹케시, 이노테라피, 수젠텍, 캐리소프트가 코스닥 상장되었으며, 2020년에는 젠큐릭스가 코스닥 시장에 이전상장되었음.
2021년 6월 전년동기 대비 별도기준 매출액은 74.2% 증가, 영업이익 흑자전환, 당기순이익 흑자전환. 주요 영업수익은 투자조합 관련이며 동사가 2021년도 반기 기준 운용중인 조합은 총 14개로 해당 조합을 결성 및 운용하면서 수익을 발생시키고 있음. 현재 피엔에이치테크가 코스닥 시장에 이전 상장되었으며, 715억원(출자약정액 기준)규모의 조합을 결성, 총 3,826억원의 조합을 운용하고 있음.
우리기술투자 041190
우리기술투자 네이버 증권보기 | 우리기술투자 FN GUIDE 종목분석 보기 |
국내 가상화폐거래소 업비트를 운영중인 두나무 지분 7.63%(2021.06 반기보고서 기준, 보통주 및 우선주 포함) 보유중.
여신전문금융업법상 신기술사업금융업, 시설대여업 및 할부금융업을 주요사업으로 영위하고 있음. 설립후 국내 벤처산업 전반(정보통신, 반도체, 소프트웨어, 바이오, 환경등)에 걸친 꾸준한 투자활동으로 1998년 부터 2007년까지 평균 납입자본수익률이 25%를 상회하며 성장해왔음. 스톤브릿지디지털PEF의 인크로스(주) 일부 매각을 통한 이익 배분과 장기 부실채권의 회수를 진행하였음.
2021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2023.5% 증가, 영업이익은 2306.4% 증가, 당기순이익은 2308.2% 증가. 영업수익의 전부문의 성장세가 두드러지며 외형은 크게 확대되며, 영업이익 또한 성장세를 유지함. 국내외 경기가 위축되는 상황에서 혁신이 가능한 벤처기업에 대한 발굴과 투자는 지속적으로 유지하고 시장 상황의 변화에 유연한 대응 속에서 수익 창출의 기회를 모색중임.
카카오 035720
카카오 네이버 증권보기 | 카카오 FN GUIDE 종목분석 보기 |
국내 가상화폐거래소 업비트를 운영중인 두나무 지분(7.6%)을 보유(2021년 9월 분기보고서 기준).
국내 시장 점유율 1위 메신저 카카오톡을 중심으로 커머스, 모빌리티, 페이, 게임, 뮤직, 콘텐츠 등 다양한 영역에서 수익을 창출하고 있음. 2021년 상반기 누적 기준 매출은 플랫폼 부문 51.39%, 콘텐츠 부문 48.61%로 구성됨. 경쟁사 네이버에 비해 해외 사업 실적이 부진하다는 평가를 받아왔으나 최근 웹툰 플랫폼 픽코마가 일본 시장에서 1위를 차지하는 등 개선되고 있음.
2021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48.9% 증가, 영업이익은 59.5% 증가, 당기순이익은 281.5% 증가. 매출의 증가가 비용의 증가를 상쇄하며 영업이익과 당기순이익이 큰 폭으로 증가함. 비대면 경제의 성장과 4차 산업혁명에 힙임어 지속 성장이 기대됨. 블록체인 등 미래 기술에도 선제적으로 투자하고 있다는 것도 긍정적인 전망을 뒷받침. 그러나 타 IT 기업 대비 낮은 영업이익률은 단점으로 꼽힘.
코오롱 002020
코오롱 네이버 증권보기 | 코오롱 FN GUIDE 종목분석 보기 |
증손자회사 코오롱인베스트먼트가 국내 가상화폐거래소 업비트를 운영중인 두나무 지분을 보유.
동사는 1957년 설립되어 1975년 유가증권 시장에 상장했으며, 2009년말 인적분할하여 주요 사업부문을 코오롱인더스트리로 포괄이전하고 투자사업과 임대사업만을 전담하는 지주회사임. 주된 사업은 자회사의 사업내용 경영지도/정리/육성하는 지주사업, 브랜드 상표권 등 지적재산권의 라이센스 사업, 부동산, 각종 용역사업 등. 연결대상 종속법인으로 코오롱글로벌, 코오롱베니트, 코오롱제약 등 3개 주요 종속회사를 포함한 16개사를 보유함.
2021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17.3% 증가, 영업이익은 32.7% 증가, 당기순이익은 28.7% 증가. 유통 및 제약, 건설사업부문의 선전으로 매출액이 증가하였으며, 판관비 비중 감소 영향으로 수익성은 비교적 큰 폭으로 증가한 모습. 전체 매출의 약 50% 육박하는 유통사업부문의 지속적인 성장 여부가 동사 실적 상승세 지속의 열쇠가 될 것으로 판단됨.
한화투자증권 003530
한화투자증권 네이버 증권보기 | 한화투자증권 FN GUIDE 종목분석 보기 |
핀테크 성장세 대응을 위해 신기술 보유회사 중장기 투자 목적으로 두나무 주식회사 주식 2,069,450주(6.14%)를 583.29억원에 신규로 취득해서 보유중임. 두나무 지분 6.14% 보유중(21년3분기보고서 기준).
동사는 매매, 위탁매매, 집합투자업, 투자자문/일임업, 신탁업 등을 영위하고 있으며, 현재 한화자산운용이 최대주주 (지분율 46.08%) 임. 당분기말 현재 본점 이외에 46개 지점이 있으며, 종속회사로 데이터애널리틱스랩, PineTree증권(베트남), ZHARYK ZHOL(카자흐스탄,부동산투자) 등이 있음. 2019년 7월 1천억원 규모의 3자배정 유상증자 실시하였으며, 이를 통해 자기자본 규모 1조원 이상의 중대형사가 되었음.
2021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영업이익 150.7% 증가, 당기순이익 153.9% 증가. 3분기 누적 기준 WM본부는 개인고객자산 증가로 순영업수익 1,807억원(YoY+49.9%) 기록하고, 트레이딩본부도 주식운용 성과로 인해 772억원(YoY+295.9%) 달성하며 실적 견인. IB본부도 국내 PF 중심 실적이 견조하게 증가하며 순영업수익 702억원(YoY+56.0%) 달성하면서 동사 3분기 누적 최대실적 기록하였음.
TS인베스트먼트 246690
TS인베스트먼트 네이버 증권보기 | TS인베스트먼트 FN GUIDE 종목분석 보기 |
동사가 운용하는 펀드를 통해 두나무 지분을 보유한 것으로 알려지며 시장에서 부각.
2008년 설립된 동사는 중소기업창업투자회사로서 창업자 및 벤처기업에 대한 투자, 중소기업창업투자조합 결성 및 운용을 주요사업으로 영위함. 기업구조조정전문회사에서 중기창업투자회사로 전환 후 지속적으로 중소벤처 M&A펀드를 결성, 운용하며 전문성을 확보함. 2019년 4월 스타트업 전문 투자회사인 뉴패러다임인베스트먼트를 인수함. 2021년 9월말 현재 운영 중인 조합은 12개로 운영자산(AUM)은 8,241억원을 기록하고 있음.
투자주식처분이익과 성과보수가 줄었으나, 조합관리보수와 지분법이익이 늘어남에 따라 3분기 누적 영업수익은 전년동기 대비 15.6% 증가함. 판관비 증가에도 불구하고 외형확대에 따른 고정비용 부담완화로 영업이익도 소폭 늘어남. 신규투자 기준으로 2015년부터는 ICT서비스, 바이오/의료가 주요업종임. 2020년 6월에 1,230억원 규모의 엑시트제2호펀드, 12월에는 국민연금 등의 출자로 1,193억원 규모의 M&A성장조합을 결성함.
코오롱인더 120110
코오롱인더 네이버 증권보기 | 코오롱인더 FN GUIDE 종목분석 보기 |
손자회사 코오롱인베스트먼트가 국내 가상화폐거래소 업비트를 운영중인 두나무 지분을 보유.
동사는 코오롱의 제조사업부문이 분할되어 신설된 제조회사로 2010년 1월 5일자로 분할 등기를 완료함. 사업특성상 산업자재군, 화학소재군, 필름/전자재료군, 패션군, 의류소재 등의 5개 사업군으로 나뉘며 산업자재군이 가장 큰 매출 비중을 차지함. 세계 최초로 폴더블 디스플레이의 핵심 부품인 윈도우 커버용 투명폴리이미드 필름(CPI®)을 생산 및 판매하고 있음.
2021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17.8% 증가, 영업이익은 171.8% 증가, 당기순이익은 6.2% 감소. 영업이익이 두 배 이상 증가하였으나 투자부동산처분이익 감소 등으로 인해 순이익은 소폭 감소하였음. 경량화 소재인 엔지니어링플라스틱 사용량이 늘어남에 따라 향후 친환경차량 부품소재 시장이 빠르게 성장할 것으로 기대됨. 국내 최초로 수소연료전지의 핵심 소재인 PEM 양산 설비를 갖추고 수소사업에 진출함.
신성이엔지 011930
신성이엔지 네이버 증권보기 | 신성이엔지 FN GUIDE 종목분석 보기 |
우리기술투자 지분 9.00% (2021년 반기보고서 기준) 보유중. 우리기술투자는 국내 가상화폐거래소 업비트를 운영중인 두나무 지분 7.6%(2020.12 두나무 연결감사보고서 기준, 보통주 및 우선주 포함) 보유중.
1977년도에 신성기업사로 설립. 2008년도에는 인적분할해 주식회사 신성이엔지및 신성에프에이를 신규로 설립함. 2009년도에는 에너지 전문기업으로 등록하여 태양전지 사업을 본격화 함에 따라 2011년도에는 신성솔라에너지로 사명을 변경. 현재 클린환경 사업부문, 재생에너지 사업부문을 주요 사업으로 영위하고 있으며 클린환경 부문의 클린룸은 반도체, 디스플레이, 이차전지등 전방산업의 설비투자와 밀접한 관련이 있음.
2021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18.5% 감소, 영업이익 적자전환, 당기순이익 적자전환. 매출액이 감소함과 동시에 판매비와관리비는 소폭 증가하여 수익성이 악화, 결국 영업이익은 적자전환하였음. 고정비 성격이 강한 급여 등이 항목 때문으로 풀이됨. 클린환경 사업부문의 경ㅇ, 주요 고객사의 이차전지 관련 생산시설이 헝가리, 폴란드 등 동유럽에 건설됨에 따라 이차전지 드라이룸 해외 매출이 증가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음.
'테마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수산 테마 관련 수혜주 대장주 주식 종목 총정리 (0) | 2021.12.26 |
---|---|
LED장비 테마 관련 수혜주 대장주 주식 종목 총정리 (0) | 2021.12.26 |
바이오시밀러 복제 바이오의약품 테마 관련 수혜주 대장주 주식 종목 총정리 (0) | 2021.12.26 |
RFID / NFC 테마 관련 수혜주 대장주 주식 종목 총정리 (0) | 2021.12.26 |
골판지 제조 테마 관련 수혜주 대장주 주식 종목 총정리 (0) | 2021.12.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