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공운송업 영위 종목군. 국내 대표 항공사(Full Service Carrier)로는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이 있으며, 저가항공사(Low Cost Carrier)로는 진에어, 제주항공, 에어부산, 이스타항공, 티웨이항공, 에어서울 등이 있음. 국내 양대 항공사인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이 과점적인 시장점유율을 유지중이나 최근 저가항공사들의 시장점유율도 빠르게 증가하고 있음. 항공/저가항공사의 실적과 주가는 무엇보다 항공수요(여객 및 화물 수요)에 가장 큰 영향을 받으며, 항공수요는 사회, 경제, 계절적 환경 변화에 따라 변동하는 특징이 있음. 이 밖에 항공기 구입에 따른 외화부채로 인해 환율 하락 수혜주로 분류되며, 연료비가 영업비용의 상당부분을 차지하고 있어 유가 하락 수혜주로 분

저가항공사 (LCC) 관련 종목
제주항공 089590

네이버증권 | Fn Guide | NICE평가정보 |
애경그룹 계열의 국내 저가항공사(LCC). 05년8월25일 정기항공운송사업면허 및 노선개설면허를 취득하고 국내 및 국제항공 여객운송업을 주요 사업으로 영위.
동사는 2005년 1월 설립되었으며 목적사업으로 국내외 항공운송업, 항공기 취급업, 관광사업, 통신판매업, 임대업 등을 영위하고 있음. 2021년 2분기 LCC 국내선 탑승객 시장점유율은 73%로, COVID-19 상황 하에서 국제선 운항 제한 및 국내선 확장에 따른 결과로 성장세는 전년 시장상황과 상이함. LCC 최초 기내 좌석 화물 탑재 운송, 무착륙 관광 비행, 국제선 부정기 운항 등 시장상황에 맞게 시장에 대응 중임.
2021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43% 감소, 영업손실은 12.9% 증가, 당기순손실은 18.8% 감소. 코로나19사태의 여파로 항공운항이 감소하며 동사의 전반적인 매출이 감소. 한편 리스비 등 고정비용의 영향으로 영업손실과 당기순손실 기조가 유지됨. 무착륙 관광비행 등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며 시장상황에 대응하고 있으나 영업적자폭은 확대되었음.
AK홀딩스 006840

네이버증권 | Fn Guide | NICE평가정보 |
(주)제주항공을 자회사로 보유. (주)제주항공은 2005년1월 설립되어, 2005년8월 정기항공운송사업면허를 취득하고 국내 및 국제항공 여객운송업을 영위중.
2012년 9월 인적분할을 통해 제조사업부문을 신설회사 애경유화에 승계하고 지주회사로 전환하면서 AK홀딩스로 상호를 변경함. 지주회사로 주요 매출은 배당금 수익, 상표권 수익, 경영자문수수료 수익으로 구성되어 있음. 종속회사가 영위하는 주요사업부문은 화학부문(애경유화,에이케이켐텍 등), 생활용품화장품부문(애경산업 등), 항공운송부문(제주항공, 모두락), 백화점부문(AK Plaza) 등이 있음.
2021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19.1% 증가, 영업손실은 10.5% 감소, 당기순손실은 38.6% 감소. 생활용품, 항공운송, 백화점부문 등에서의 수익성 회복세를 시현하고 있어 지난해 같은기간 대비 적자 폭 축소된 모습. 코로나19로 인한 글로벌 경기 둔화에 따라 화학부문을 제외한 동사의 주요 종속회사들(항공,여행,백화점 등)의 급격한 실적 개선은 어려울 전망이나 점차 회복될 것으로 기대.
에어부산 298690

네이버증권 | Fn Guide | NICE평가정보 |
금호아시아나그룹 계열의 저가 항공사. 08년6월 국토해양부로부터 정기항공운송면허를 취득하여 국내 및 국제항공 여객운송업을 영위.
동사는 2007년 8월 31일 부산국제항공으로 출범하여 2018년 12월 27일 주식을 상장였으며 국내ㆍ외 항공운송업을 주 업무로 하고 있음. 영남권에서 높은 점유율을 갖고 있으며, 점유율은 2021년 3분기 김해공항발 국내선, 국제선 각각 28.8%, 84.6%를 기록하고 있음. 동사는 코로나19 종식에 발맞춘 국제선 재운항을 과제로 삼고, 취항지별 여행수요 회복 가능성을 고려해 노선 복항 시나리오를 구축하고 있음.
2021년 9월 전년동기 대비 별도기준 매출액은 23.1% 감소, 영업손실은 11.7% 증가, 당기순손실은 57.8% 증가. 동사는 2021년 3분기 국내선 총 20,914편, 여객 약 323만명, 국제선 총 160편, 여객 약1만6천명의 운송실적을 기록하였음. 코로나19로 여객 수요의 부진이 지속되고 있지만 향후 백신 보급 및 국가별 입국제한 조치가 완화되면 여객수요의 회복과 함께 전체 시장은 성장세를 되찾을 것으로 예상됨.
아시아나항공 020560

네이버증권 | Fn Guide | NICE평가정보 |
금호아시아나 그룹 계열의 국내 메이저 항공운송회사. 항공기를 이용하여 여객과 화물을 운송/서비스하는 항공운송사업 및 부대사업(기내면세품 판매, 초과수화물 운송 등)을 영위.
항공운송업은 그 시장의 성격이 매우 상이한 여객과 화물로 나뉘어져 있음. 아시아나항공 등 항공 3사 및 국내 양대 공항공사의 시스템 구축 및 운영 노하우를 기반으로 대외 사업을 영위하고 있으며, 항공/공항IT 전문기업으로서 높은 시장 지위를 확보 아시아나항공은 국내여객 9개 도시, 9개 노선, 국제여객 21개 국가, 64개 도시, 71개 노선과 국제화물 12개 국가, 27개 도시, 25개 노선의 네트워크를 보유
2021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2.1% 감소, 영업손실은 89.5% 감소, 당기순손실은 5.8% 증가. 3분기 국내 및 국제항공 여객 시장 승객수는 전년 동기 대비 17.9% 감소한 2,576만명이며 항공 화물은 전년 동기 대비 20.4% 증가한 257만톤을 기록. 항공 화물의 경우 국제 무역 호조 및 해운 대란에 따른 화물의 항공 물량 전환 등의 요인으로 2021년은 전년 대비 35% 이상의 매출 확대를 전망.
대한항공 003490

네이버증권 | Fn Guide | NICE평가정보 |
한진그룹 계열의 국내 최대 항공운송회사. 항공운송사업(여객사업, 화물사업) 외에도 항공우주사업(항공기 설계 및 제작, 민항기 및 군용기 정비, 위성체 등의 연구·개발 등) 등을 영위.
동사는 2021년 9월말 기준 총 156대의 항공기를 보유하고 국내 13개 도시와 해외 42개국 107개 도시에 취항하여 항공운송사업을 수행하고 있음. 항공운송사업과 더불어 항공기 설계 및 제작, 민항기 및 군용기 정비, 위성체 등의 연구ㆍ개발을 수행하는 항공우주사업 등의 관련 사업을 통해 시너지 효과를 창출하고 있음. 코로나 팬데믹 이후, 공급망 정체 및 긴급성 수요의 증가로 항공화물 시장은 지속 호조세를 보이고 있음.
2021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7.2% 증가, 영업이익 흑자전환, 당기순이익 흑자전환. 화물운송수익 극대화 전략 구사를 통해 영업수익은 별도기준 전년대비 6.9% 증가한 5조 9,275억 원을 기록함. 무인기 부문은 사단정찰용 무인기 양산 납품을 완료하였고 후속 신규 모델인 수직이착륙 무인기 개발하고 있으며, 도심항공모빌리티(UAM) 기술개발에 착수하고, 우주산업 관련 정부 과제를 적극적으로 수행하고 있음.
티웨이항공 091810

네이버증권 | Fn Guide | NICE평가정보 |
국내 대표 저가 항공사(LCC). 10년 9월 국내항공운송사업 운항증명, 11년 7월 국제항공운송사업 운항증명을 각각 취득하여 국내 및 국제항공 여객운송업을 영위. B737-800(NG) 기종 항공기 27대를 보유하고 있으며, 국내 노선 9개 및 국제 노선 66개 포함 총 75개의 노선을 확보.
동사는 2003년 5월 19일에 설립되었으며, 2018년 8월 1일 유가증권시장에 주식을 상장하였음. 동사는 주요 사업으로 항공운송업을 영위하고 있으며, 총 7개의 계열회사가 있음. 동사는 동사만의 차별화된 각종 부가서비스를 제공함. 사는 리스 계약을 통하여 Boeing737-800(NG) 항공기 27대를 보유하고 있으며, 신규노선의 수요창출을 위해 2022년 5대 를 리스할 예정임.
2021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34.8% 감소, 영업손실은 16.9% 증가, 당기순손실은 6.5% 증가. COVID-19의 타격이 여전하며, 매출액을 비롯한 전반적인 실적이 전년 동기 대비 악화된 수준을 보임. 동사는 향후 항공기 신규 도입을 통한 노선 확장, 고객의 편의성을 증대한 다양한 부가서비스 개발 등 항공업 본연에서의 역량 집중을 통해 외형 성장 및 수익성 증대를 도모하고자 함.
진에어 272450

네이버증권 | Fn Guide | NICE평가정보 |
한진그룹 계열의 저가항공사. 국내 대표 저비용항공사(LCC)로 제주 노선들로 구성된 국내선과 동남아와 일본노선 중심의 국제선 노선 운용.
동사는 2008년 1월 23일 설립되어, 2008년 4월 5일 정기항공운송사업면허 및 노선개설면허를 취득하고 항공운송업을 영위하고 있음. 동사는 항공운송산업에 속한 회사로서 항공기를 이용한 운송 서비스를 주요 상품으로 하여 소비자에게 판매하고 있음. 동사는 예약, 발권 등의 기능을 통해 생산과 판매가 일어나는 무형의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기 때문에 재고가 잔존하지 않음.
2021년 9월 전년동기 대비 별도기준 매출액은 23.9% 감소, 영업손실은 9.5% 증가, 당기순손실은 20.3% 증가. 동사의 서비스는 항공기로 제공되며, 3분기 기준 동사는 리스계약을 통하여 BOEING 737-800를 19대, BOEING 777-200를 4대, 총 23대를 보유함. 4분기 이후 해외 코로나19 와 입국 제한 완화 상황 등을 주시하여 수요회복에 맞춰 지방공항에도 노선을 개설 및 운영할 계획임.
티웨이홀딩스 004870

네이버증권 | Fn Guide | NICE평가정보 |
저가항공사 티웨이항공의 최대주주. 티웨이항공은 2010년9월 국내항공운송사업면허와 2011년7월 국제항공운수사업면허를 취득하고 국내 및 국제항공 여객운송업 영위.
동사는 1945년 10월 (주)태화고무공업사로 설립되어 1977년 6월 유가증권 시장에 상장됨. 자체사업으로 건설 현장에서 연약지반 보강을 위해 사용되는 PHC파일의 제조, 유통하고 있음. 2020년 6월 대내외적인 환경악화로 인하여 반도체사업부문을 중단함. 연결대상 종속회사로는 국내외 항공운송업을 하는 저가항공사인 주식회사 티웨이항공과 항공운송 관련 지상조업 사업을 하는 주식회사 티웨이에어서비스 2개가 존재함.
2021년 6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43.9% 감소, 영업손실은 9.7% 증가, 당기순손실은 23% 감소.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으로 인하여 감소된 국제선 여객 수요의 회복이 늦어지는 것이 실적 악화의 주된 요인임. 동사는 향후 항공기 신규 도입을 통한 노선 확장, 고객의 편의성을 증대한 다양한 부가서비스 개발 등 항공업 본연에서의 역량 집중을 통해 외형 성장 및 수익성 증대를 도모하고자 함.
한진칼 180640

네이버증권 | Fn Guide | NICE평가정보 |
대한항공으로부터 인적분할해 신설된 지주회사. 대한한공 지분 및 진에어 지분 보유. (주)진에어는 2008년1월 설립되어, 2008년4월 정기항공운송사업면허를 취득하고 국내 및 국제항공 여객운송업을 영위.
동사는 2013년 8월 1일을 분할기준일로 대한항공으로부터 인적분할 방식으로 설립되었으며, 2013년 9월 16일 유가증권시장에 주권을 상장함. 동사는 지주회사로서 다른 회사의 주식을 소유한 회사로 법적기준 이상으로 해당회사의 주식(의결권)을 보유함으로써 그 회사에 대하여 실질적인 지배권을 취득하는 것을 사업의 목적으로 하는 회사임. 주요 종속회사로 대한항공, 한진 등이 있음.
2021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15.5% 감소, 영업손실은 1.2% 감소, 당기순손실은 59.2% 감소. 2021년 3분기 동사 화물사업 노선수익은 1조 6,503억원을 달성하며 전분기에 기록한 역대 분기 최대 실적을 경신함. 2021년 3분기 도쿄 올림픽 개최, 가을학기 미국 유학생 이동 증가 등의 영향으로 국제선 수송 실적이 전년 동기 대비 대폭 개선됨.
'테마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마트폰 게임 테마 관련 수혜주 대장주 주식 종목 총정리 (0) | 2022.01.17 |
---|---|
일자리 취업 테마 관련 수혜주 대장주 주식 종목 총정리 (0) | 2022.01.17 |
슈퍼박테리아 테마 관련 수혜주 대장주 주식 종목 총정리 (0) | 2022.01.16 |
폐기물처리 테마 관련 수혜주 대장주 주식 종목 총정리 (0) | 2022.01.15 |
수소차 연료전지 부품 충전소 테마 관련 수혜주 대장주 주식 종목 총정리 (0) | 2022.01.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