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마정보 / / 2022. 1. 4. 22:22

SNS 소셜네트워크서비스 테마 관련 수혜주 대장주 주식 종목 총정리

SNS(소셜네트워크서비스) 테마 개요

SNS(소셜네트워크서비스)란 페이스북, 트위터 등 소셜미디어를 통해 온라인상에서 사회적인 네트워크를 형성할 수 있게 하는 서비스임. 단문의 글을 간편하게 올려 쌍방향의 커뮤니케이션이 가능하며, 정보의 확산성이 빠르다는 특징이 있음. 스마트폰 보급 확산과 모바일 인터넷의 대중화로 본격적인 1인 미디어시대를 맞아 그 중요성이 점점 부각되어 새로운 소통트랜드로 빠르게 자리잡고 있으며, 다양한 분야에서 SNS 서비스가 활성화되고 있음.

 

SNS(소셜네트워크서비스)

SNS(소셜네트워크서비스) 관련 종목

NAVER 035420

네이버증권 Fn Guide NICE평가정보

인터넷 검색포털 사이트 네이버 운영업체. 인터넷포털서비스 네이버(한국, 일본)와 글로벌 메신저 LINE(라인), 스노우, 네이버카페 등을 서비스중.

 

동사는 국내 1위 포털 서비스를 기반으로 광고, 쇼핑, 디지털 간편결제 사업을 영위하고 있으며, 공공/금융 분야를 중심으로 클라우드를 비롯한 다양한 IT 인프라 및 기업향 솔루션 제공을 확대해가고 있음. 웹툰, Zepeto, V LIVE 등 다양한 콘텐츠 사업을 통해서도 글로벌 사업 기반을 확장하고 있는 ICT 기업임. 네이버파이낸셜, 네이버 클라우드 등 연결대상 종속회사 76개를 보유함.

 

2021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29% 증가, 영업이익은 9.3% 증가, 당기순이익은 2699.8% 증가. 팬데믹에 따른 비대면 트렌드의 가속화로 전 사업부문 실적이 고르게 성장함. 2021년에는 Wattpad 인수를 통해 글로벌 1위 스토리텔링 플랫폼으로 진화, 원천 IP확보를 통한 IP사업 다각화에 집중하고 있음. 또한 하이브의 자회사인 위버스컴퍼니와 함께 통합 팬십 플랫폼을 출시할 계획임.

 


갤럭시아머니트리 094480

네이버증권 Fn Guide NICE평가정보

효성그룹 계열의 전자결제사업, O2O(Online to Offline)사업 등을 영위하는 업체. 2011년 7월부터 국내 페이스북 이용자를 위한 통합결제시스템을 제공한 경험 보유.

 

동사 사업은 전자결제, O2O, 기타 부문으로 분류됨. 전자결제사업은 휴대폰 결제와 신용카드 결제로 구성됨. O2O 부문은 모바일 상품권과 쿠폰 및 편의점 기반의 결제, 전자민원캐시가 중심이됨. 기타 부문은 종합금융플랫폼인 '머니트리'가 중심임. 휴대폰 소액결제와 신용카드 결제를 사용하는 온라인 가맹점, 상품권을 발행하는 백화점과 모바일 쿠폰을 사용하는 각 브랜드사, 선불결제 충전 서비스를 제공하는 편의점 등이 주요 거래처임.

 

2021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22.4% 증가, 영업이익은 46.4% 감소, 당기순이익 적자전환. 매출은 증가하였으나 매출원가의 대폭 상승으로 인해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감소함. 동사는 당기 중 신설한 종속회사인 갤럭시아메타버스(주)를 통해 블록체인 기반의 NFT 사업을 추진하였으며, 11월 1일 큐레이션 기반 NFT 마켓 플랫폼 '메타갤럭시아'를 런칭함.

 


가비아 079940

네이버증권 Fn Guide NICE평가정보

인터넷 비즈니스를 영위하거나 인터넷 환경이 필요한 기업을 대상으로 인프라 및 솔루션을 서비스로 제공하는 인터넷 인프라 서비스 업체. 인터넷데이터센터(IDC)를 보유해 카카오톡에 서버를 제공하고 있는 케이아이엔엑스(코스닥 상장)를 주요종속회사로 보유.

 

동사는 1999년 설립되었으며 2005년 코스닥증권시장에 상장하여 매매가 개시됨. 동사는 인터넷 비즈니스를 영위하거나 인터넷 환경이 필요한 기업을 대상으로 인프라 및 솔루션을 서비스로 제공하는 인터넷 인프라 서비스업을 영위함. 최초 사업 부문이었던 도메인, 웹호스팅, 홈페이지서비스에서 IaaS 'g클라우드', 클라우드 인프라 운영에 필요한 서비스 전반을 제공하는 '매니지드 서비스' 등으로 영역을 넓히고 있음.

 

2021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17.6% 증가, 영업이익은 14.3% 증가, 당기순이익은 16.5% 증가. 원가 및 각종 비용은 증가했으나 매출액 증가폭이 더 커 영업이익과 당기순이익 모두 증가함. 동사가 제공하는 서비스는 1회 구매로 완료되지 않고, 매년 연장되는 성격을 갖고 있어 비용 관리에 성공하면 연장 매출을 기초로 안정적인 성장이 가능할 것으로 보임.

 


유엔젤 072130

네이버증권 Fn Guide NICE평가정보

국내외 유ㆍ무선 통신사업자 및 단말제조사 등에게 지능망, 메세징, 해외 RBT 서비스, 유아교육 스마트러닝 및 스마트 금융 솔루션 등을 개발/공급하는 통신 종합 솔루션 업체.

 

동사는 1999년 7월 14일에 설립되었으며, 2003년 7월 1일 유가증권시장에 상장함. 국내외 유ㆍ무선 통신사업자 및 단말제조사 등에게 지능망, 메세징, 해외 RBT 서비스, 유아교육 스마트러닝 및 스마트 금융 솔루션 을 개발 및 공급하는 것을 주요 사업으로 함. 연결대상 종속회사들이 영위하는 사업으로는 이동통신 관련 서비스 및 컨텐츠 제작 공급업이 있음.

 

2021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27.6% 증가, 영업이익 흑자전환, 당기순이익 흑자전환. 동사의 자체 영업력과 기술력을 활용하여 SKT, KT 등의 이동통신사, SKB, KT 등의 유선사업자, 삼성전자 등의 제조사와 같은 다양한 사업자에게 소프트웨어를 개발ㆍ공급ㆍ서비스하고 있음. 진보되고 있는 통신기술 발전 속도에 맞추어 고객 요구사항에 대해 최대한 만족할 수 있는 솔루션 및 서비스의 공급 추진 중임.

 


아프리카TV 067160

네이버증권 Fn Guide NICE평가정보

Afreeca TV를 중심으로 인터넷 기반 서비스를 제공하는 업체. 1인 멀티미디어 플랫폼 “AfreecaTV”를 중심으로 국내 개인방송 시장에서 독보적 입지를 확보.

 

동사의 주요사업은 1인 미디어 플랫폼인 'AfreecaTV'의 강력한 커뮤니티를 기반으로 별풍선 구독 등 기부경제선물 문화를 선도하고 있음. 매출은 기부경제선물로 구성된 플랫폼 매출과 광고매출으로 구분되며, 광고매출은 배너, 프리롤 등 플랫폼 내 광고상품을 판매하는 '플랫폼 광고'와 라이브방송 및 영상제작 등의 '콘텐츠형 광고'로 구성됨. 핵심사업인 'AfreecaTV' 서비스로 국내외 시장을 공략하고 있음.

 

2021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44.5% 증가, 영업이익은 93.1% 증가, 당기순이익은 101.6% 증가. 동사는 참여자 중심의 서비스와 기술개발, 콘텐츠/플랫폼의 확장, 신입BJ 육성 및 지원, 콘텐츠의 질적 향상 및 플랫폼 확장(TV, 오프라인) 등을 통해 리더십 강화중임. 미국, 일본, 대만, 태국, 홍콩, 베트남 등 주요 거점을 중심으로 글로벌 1인 미디어 플랫폼 서비스로 성장하기 위하여 노력중임.

 


이루온 065440

네이버증권 Fn Guide NICE평가정보

유무선통신 솔루션개발 업체. 모바일 영상, 화상통화등 다수 영상 솔루션 보유. 모바일 실시간 영상 및 UCC 중계 시스템 관련 특허 보유.

 

동사는 이동통신 솔루션 및 부가서비스 전문기업으로 1998년 창업된 이래 통신산업에서 핵심 솔루션 및 관련 서비스를 지속적으로 공급하고 있음. 한국표준산업분류의 소프트웨어 개발 및 공급업을 주된사업으로 하며 특히 유무선 통신사업분야를 영위하고 있음. 기술력과 다양한 제품군에 대한 실적 레퍼런스를 기반으로 하여 국내 이동통신사업자인 KT 및 LG U+ 등에 이동통신 주요 솔루션 및 시스템을 공급함.

 

2021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24.4% 증가, 영업이익 흑자전환, 당기순이익은 43.3% 감소. 위치기반 모바일 광고의 해외시장을 개척하고 있음. 인도네시아 통신사인 XL telecom과 사업제휴를 통해 사업규모를 점차 확대 중임. 미국의 ACTIFIO사와 총판계약을 체결하여 국내 스토리지 가상화 시장에 진출하였고, 독일 오토쿠니케와 총판계약 체결 이후 IC카드 검수기, 발송기, 분류기 사업을 진행중임. 

 


젬백스링크 064800

네이버증권 Fn Guide NICE평가정보

양방향 메시징 시스템 관련 특허 보유. IP Push(IP기반의 메시징)솔루션을 개발하여, 현재 스마트 기기를 중심으로 금융, 커머스 등에 솔루션을 보급.

 

동사는 무선인터넷서비스 전문기업으로 주로 무선 인터넷 기반 인프라에서 포털, 각종 서비스 다운로드 및 전송 인프라 등을 가능케하는 솔루션 사업을 영위함. 이동통신사의 다양한 인프라 및 서비스 플랫폼에 대한 SI 운영 및 유지보수 사업, B2B 대상의 ASP 사업 등을 수행하고 있음. 중저가에서 고가 브랜드까지 다양한 해외 명품 브랜드를 수입하여 소비자의 소비 패턴을 분석하여 탄력적으로 소비자의 수요에 대응하고 있음.

 

2021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13.7% 증가, 영업이익은 3.8% 감소, 당기순이익은 111.2% 증가. 해외 명품 수입 판매 사업 호조로 견조한 외형 성장을 보였고, 대규모 지분법 이익을 인식하여 순손익이 대폭 개선됨. 명품 산업의 소비계층의 다변화해 감에 따라 국내 명품시장 규모는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으며, 동사 또한 꾸준한 성장을 통해 실적개선이 이루어 질 것으로 예상함.

 


인포뱅크 039290

네이버증권 Fn Guide NICE평가정보

양방향 미디어 서비스를 통한 문자 투표기술을 보유.

 

동사는 유무선 및 방송 통신네트워크 소프트웨어 개발 및 서비스사업을 영위할 목적으로 1995년 6월 14일에 설립되었음. 스마트카 서비스 부문은 커넥티드 카 솔루션 구축 기술을 토대로 자율주행 이동체 관제 플랫폼 사업을 선도하고 있음. 주요 종속회사는 서비스사업(기업용메시징서비스, 양방향미디어서비스, 스마트카 서비스 등)과 기타사업(S/W 개발 및 솔루션등) 을 진행.

 

2021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14.7% 증가, 영업이익은 400% 증가, 당기순이익은 223.4% 증가. 매출액 증가가 영업 이익 증가, 당기순이익 증가로 이어짐. 주력사업인 모바일메시징서비스의 대부분의 매출을 차지하는 기업형 문자메시지서비스의 주요고객은 농협정보시스템, 카카오뱅크, 네이버 등  IT 기업 및 유통 관련 기업으로 안정적인 고정거래처임.

 


카카오 035720

네이버증권 Fn Guide NICE평가정보

모바일 메신저 "카카오톡" 등을 서비스중.

 

국내 시장 점유율 1위 메신저 카카오톡을 중심으로 커머스, 모빌리티, 페이, 게임, 뮤직, 콘텐츠 등 다양한 영역에서 수익을 창출하고 있음. 2021년 상반기 누적 기준 매출은 플랫폼 부문 51.39%, 콘텐츠 부문 48.61%로 구성됨. 경쟁사 네이버에 비해 해외 사업 실적이 부진하다는 평가를 받아왔으나 최근 웹툰 플랫폼 픽코마가 일본 시장에서 1위를 차지하는 등 개선되고 있음. 

 

2021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48.9% 증가, 영업이익은 59.5% 증가, 당기순이익은 281.5% 증가. 매출의 증가가 비용의 증가를 상쇄하며 영업이익과 당기순이익이 큰 폭으로 증가함. 비대면 경제의 성장과 4차 산업혁명에 힙임어 지속 성장이 기대됨. 블록체인 등 미래 기술에도 선제적으로 투자하고 있다는 것도 긍정적인 전망을 뒷받침. 그러나 타 IT 기업 대비 낮은 영업이익률은 단점으로 꼽힘.

 


NHN벅스 104200

네이버증권 Fn Guide NICE평가정보

온라인음악서비스 및 디지털음원유통 등을 주요사업으로 영위. 음악방송 "세이캐스트" 등의 SNS운영사업 등을 영위.

 

동사는 온라인 음원서비스 및 음원유통을 목적으로 2002년 6월에 설립되었으며, 2010년 4월 인터넷 사업을 영위하는 네오위즈인터넷을 흡수합병함. 음악포털 `벅스`를 통해 디지털 음원서비스(B2C) 및 음원유통(B2B) 사업을 영위하고 있으며, 음악방송 `세이캐스트`를 운영. 2018년 1월에 국내 음원 서비스 업체 중 처음으로 ‘AAC(Advanced Audio Coding) 256kbps 이상’의 음질 서비스를 도입.

 

2021년 9월 전년동기 대비 별도기준 매출액은 4.7% 감소, 영업이익은 21.7% 감소, 당기순손실은 7681.1% 증가. 권리자들의 다각적인 노력 등으로 질적, 양적 성장을 저해했던 불법 음악시장이 점진적으로 축소되고 있어 향후 디지털 음원시장의 성장 가능성은 더욱 증대될 것. 스마트TV 및 신규 플랫폼에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출시하는 등 멀티플랫폼 전략을 강화하고 있음. 이는 가입자 증대와 고객 로열티를 견인할 것으로 예상.

 

  • 네이버 블로그 공유
  • 네이버 밴드 공유
  • 페이스북 공유
  • 카카오스토리 공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