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수출 규제 국산화 개요
일본이 한국에 대한 반도체·디스플레이 핵심 소재 3가지(에칭가스(고순도 불화수소), 포토레지스트(PR·반도체 감광액), 플루오린 폴리이미드(FPI)) 수출 제한 조치를 발표한 가운데, 백색국가(화이트리스트·수출심사 간소화 우대국가)에서도 제외하기로 결정. 이에 공급망 재편, 소재·부품·장비 국산화 움직임에 따른 관련주로 시장에서 부각되는 종목군.
일본 수출 규제 국산화 관련 종목
동진쎄미켐 005290
동진쎄미켐 네이버 증권보기 | 동진쎄미켐 FN GUIDE 종목분석 보기 |
감광액과 발포제 생산/판매업체. D램 반도체 공정에 사용되는 KrF(불화크립톤)와 ArF(불화아르곤) 포토레지스트의 개발을 완료. 日 반도체 소재 수출 규제로 소재 관련 국산화에 따른 수혜 기대.
1973년 법입설립되어 반도체 및 TFT-LCD 노광공정에 사용되는 포토레지스트 관련 전자재료사업과 산업용 기초소재인 발포제 사업을 영위함. 반도체, 평판디스플레이용 감광액과 박리액, 세척액, 식각액, 태양전지용 전극 Paste 등 전자재료를 제조업체에 납품함. 신발밑창, 장판지 등 건설자재, 자동차 내장제에 주로 사용되는 산업용 기초소재인 발포제를 국내외 화학회사에 주로 납품하고 있음.
2021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19.1% 증가, 영업이익은 3.8% 감소, 당기순이익은 4.8% 감소. 해외시장 확대을 위해 중국, 미국, 대만, 일본 등에서 지속적으로 해외에서의 브랜드 마케팅도 진행하고 있음. 이차전지 관련 독자적 바인더 용해 기술과 최적화된 고밀도 도전재 분산 기술을 응용한 고출력, 고용량 도전재 슬러리를 제품화하였고 차세대 재료인 CNT 도전재, 실리콘 음극재 개발에 힘쓰고 있음.
에스앤에스텍 101490
에스앤에스텍 네이버 증권보기 | 에스앤에스텍 FN GUIDE 종목분석 보기 |
블랭크 마스크 제조업체. 반도체 파운드리 부문 극자외선(EUV)용 블랭크 마스크를 일본 호야가 독점 생산중이며, 이에 포토마스크의 원재료인 블랭크 마스크를 제조중인 동사가 시장에서 부각.
동사는 반도체 및 TFT LCD 생산에 쓰이는, 노광 공정의 핵심 재료인 포토마스크의 원재료로서 패턴이 노광되기 전 마스크인 블랭크 마스크 제조 및 판매를 영위하고 있음. System LSI, LCD, OLED 등 국내 고부가가치 확대와 중국 패널업체 전방 산업 투자 확대에 대응하여 제품 및 고객 확대를 위해 노력 중. 블랭크마스크 상품이 매출의 99% 이상 차지하고 있으며, 중국 패널업체 수요 확대를 위한 신규 공장을 증설함.
2021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4.5% 증가, 영업이익은 16.5% 감소, 당기순이익은 1.6% 증가. 수출 매출은 증가했으나, 내수 매출은 감소함. 스마트기기와 반도체 시장의 꾸준한 성장 등에 힘입어 블랭크 마스크 산업도 지속적인 성장이 전망됨. 시장 확대를 위해 적극적으로 대응하고 있으며 차세대 반도체 노광 기술을 위한 소재기술의 개발 및 양산화를 위해서 역량을 집중 중임.
에디슨EV 136510
에디슨EV 네이버 증권보기 | 에디슨EV FN GUIDE 종목분석 보기 |
일본이 독과점한 휴대폰 터치패널을 구성하는데 필요한 투명전극(ITO)을 기존과 다르게 구리(Cu)를 이용한 방식으로 개발. 소재를 구성하는 각종 첨가제 등의 물질 또한 국산화.
동사는 2000년 반도체 및 평판 디스플레이 공정장비 제조업 등을 목적으로 설립했으며, 반도체, 디스플레이 생산과정에서 사용하는 플라즈마 진단장비, 유리기판 검사장비를 생산하고 있음. 플라즈마 진단장비의 경우 높은 점유율을 유지하고 있으며, 동 제품과 관련된 기술에 대한 특허를 보유하고 있어 후발업체의 진입 장벽은 높음. 매출은 전기차사업부 76.62%, 플라즈마검사장비 8.00% 등으로 이루어져 있음.
2021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134.1% 증가, 영업손실은 89.4% 감소, 당기순손실은 13% 감소. 전기차 부문에서 매출액 증가를 보였으나, 그에 따른 원가 증가와 각종 전기차 출시에 투입된 개발비 등이 증가하여 적자 지속. 전기차 전문업체 에디슨모터스와 투자 협약식을 체결. EV Z의 고도화를 통해 전기 승용차, 전기 스포츠유틸리티차량 등을 개발해 전기차 라인업을 확대 예정.
솔브레인홀딩스 036830
솔브레인홀딩스 네이버 증권보기 | 솔브레인홀딩스 FN GUIDE 종목분석 보기 |
액체 형태 고순도 불화수소 양산 기술을 보유하고 있는 업체.
1986년 5월 6일에 대한민국에서 설립됨. 지배기업은 2000년 1월 18일에 KOSDAQ 시장에 상장됨. 다른 회사의 주식을 소유함으로써 그 회사를 지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지주회사 체제로 전환됐으며, 주요 수익원은 자회사 등으로부터 받는 배당금, 경영자문수익, 임대수익 등임. 동사의 사업부문은 지주회사 부문, 디스플레이, 2차전지, 반도체, 그리고 바이오헬스케어 부문으로 나뉨.
2021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84.6% 증가, 영업이익은 209.3% 증가, 당기순이익은 97.7% 감소. 매출원가, 판관비, 인건비 등 주요 비용들이 큰폭의 증가를 했음에도 불구하고 매출 증가가 영업 이익으로 이어짐. 동사는 미국, 말레이시아, 헝가리의 전해액 생산 법인들을 통해 글로벌 2차전지 고객들을 대응 중이며, EV 및 ESS 시장의 성장에 따라 생산설비를 증설 중에 있음.
이녹스첨단소재 272290
이녹스첨단소재 네이버 증권보기 | 이녹스첨단소재 FN GUIDE 종목분석 보기 |
IT소재 회사. 주력제품인 중소형 OLED 공정소재 및 반도체 공정소재의 주된 경쟁업체가 일본 업체들이며, 국산화에 따른 수혜 기대감에 시장에서 부각.
동사는 이녹스로부터 인적분할을 통해 신규 설립되었으며, 2017년 7월 10일 코스닥시장에 상장되었음. 고분자 합성/배합기술을 기반으로하여 FPCB용 소재, 반도체 PKG용 소재, 디스플레이용 OLED 소재등을 개발, 제조 및 판매하는 IT소재 사업을 영위함. 매출은 FPCB용 소재 18.74%, 반도체 PKG용 소재 9.23%, 디스플레이용 OLED 소재 56.12%로 구성됨.
2021년 6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41% 증가, 영업이익은 172.6% 증가, 당기순이익은 264.1% 증가. 비용 증가에도 매출이 큰 폭으로 성장하며 전체 실적이 개선됨. 국내에 세계 최대의 FPCB 소재 생산능력을 갖춘 기업으로, 과점적 인지도와 시장지배력을 바탕으로 기술적 우위와 품질 및 가격면에서 세계최고의 경쟁력을 보유하고 있음. 꾸준한 실적 성장이 기대됨.
켐트로스 220260
켐트로스 네이버 증권보기 | 켐트로스 FN GUIDE 종목분석 보기 |
첨단소재사업(IT소재 및 의약소재 연구 및 생산)과 융합소재사업(폴리머소재 연구 및 생산) 등을 영위하는 업체. 주요 제품으로는 전해액 첨가제, 광개시제, 프로세스케미칼(ADD2, DLMPG04 등), 기능성 첨가제, 원료의약품, 의약중간체, 건축용/광학용/스피커용/부품고정용 폴리머 소재 등. 포토레지스트의 핵심소재 광개시제(PI, Photo initiator)를 생산하고 있는 점이 시장에서 부각.
동사는 유기합성기술 및 합성연구 개발 역량을 기반으로 2006년 3월 7일 설립되었으며, IT소재 및 의약소재 등 유기합성분야에서 차별화된 기술과 품질로 고객가치 향상에 기여함. 동사의 주력 제품들은 정밀화학 산업 각 분야에서 필요로 하는 주요 케미칼 소재들로 구성되어 있음. 동사의 제품은 전해액 첨가제로 기본적인 역할(리튬이온의 이동 및 안정성 확보) 뿐 아니라 보조적인 기능을 위해 전해액에 추가로 사용되는 재료임.
2021년 6월 전년동기 대비 별도기준 매출액은 16% 증가, 영업이익 흑자전환, 당기순이익 흑자전환. 원가율 상승에도 불구하고 매출 확대와 판관비 절감 노력에 힘입어 영업이익이 흑자 전환함. 정부가 2050 탄소중립 시나리오를 발표하면서 향후 2차전지 배터리 생산에 필요한 소재 및 부품 관련 수요가 확대될 것으로 기대됨. 실리콘 제품은 기능성 중심의 제품을 중심으로 시장점유율을 확대해 나갈 계획임.
솔브레인 357780
솔브레인 네이버 증권보기 | 솔브레인 FN GUIDE 종목분석 보기 |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공정용 화학재료, 2차전지 소재 등 생산/판매 업체. 액체 형태 고순도 불화수소 양산 기술을 보유.
동사는 인적분할로 설립된 신설회사로 2020년 8월 재상장하였으며 분할 전 회사인 솔브레인홀딩스의 사업 중 반도체 및 전자 관련 화학재료 제조 및 판매 사업부문을 영위하고 있음. 삼성전자, SK하이닉스, LG디스플레이 등 국내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제조사에 공정용 화학 재료 등을 안정적으로 공급. 해외시장 진출을 위하여 중국에 반도체 공정재료 생산 및 판매를 위한 현지법인인 솔브레인(시안)전자재료유한공사 설립.
2021년 6월 연결기준 매출액은 7,585.7억, 영업이익은 1,442.2억, 당기순이익은 1,153.9억을 기록함. 전년동기에 공시된 매출액 2,305억은 분할 후 3개월 동안(2020년 7월 1일부터 9월 30일까지)의 매출으로, 2021년 9월 순액 매출액을 이와 비교한다면 19.7% 증가하였음. 영업이익과 당기순이익 또한 2021년 9월 순액과 전년동기 값을 비교했을 때 각각 6.81% 감소, 11.1% 증가함.
경인양행 012610
경인양행 네이버 증권보기 | 경인양행 FN GUIDE 종목분석 보기 |
염료 전문 제조업체. 포토레지스트의 주요 재료로 알려진 '광개시제(Photo Initiator)'와 'PAG(Photo Acid Generators)' 생산중.
동사는 1977년 10월 설립되어 1995년 유가증권시장에 상장됨. 염료산업 및 사카린을 비롯한 화학산업을 주요사업으로 하며 9개의 계열회사를 보유하고 있음. 고부가가치 산업인 전자재료사업에 진출하는 등 사업다각화를 통한 수익성 향상을 추진 중임. 염료산업은 설비투자 규모가 제지, 화학비료, 시멘트 등과 같은 장치 위주의 대량생산체제보다는 작지만 고도의 기술이 요구되는 산업임.
2021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17.4% 증가, 영업이익은 530.8% 증가, 당기순이익 흑자전환. 원가율 상승에도 불구하고 매출 확대와 판관비 절감 노력에 힘입어 영업이익이 큰 폭으로 증가함. 염료제품 부문의 한국, 중국이 흑자 전환하고, 인도지역 영업이익이 커지며 전사 수익성이 개선됨. 전자재료 소재 사업 강화를 목적으로 2020년 6월 호주 Boron의 지분투자에 호주 연방과학산업연구기구와 공동으로 참여함.
후성 093370
후성 네이버 증권보기 | 후성 FN GUIDE 종목분석 보기 |
기체 형태 고순도 불화수소의 원재료인 무수불산을 생산하는 업체.
동사는 2006년 11월 23일에 설립되었으며, 2006년 12월 22일 한국거래소 유가증권시장에 상장됨. 동사는 냉매가스, 반도체용 특수가스, 2차전지 전해질 소재 'LiPF6' 를 국내에서 유일하게 전문적으로 제조, 판매하는 업체임. 동사는 '후성폴란드유한회사'를 비롯하여 총 5개의 연결대상 종속회사를 가지고 있으며 기업집단 '후성그룹'에 속해 있는 기업임.
2021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27.3% 증가, 영업이익은 716% 증가, 당기순이익은 1595.5% 증가. 환경규제에 의한 높은 진입장벽과 고도화된 기술, 국내에서는 유일하게 생산, 판매 하는 등 국내 및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제조회사로서 영업이익 극대화를 이뤄냄. 반도체 미세화 및 3D 공정이 도입될 수록 C4F6 및 WF6 수요가 증가하게 됨에 따라 향후 수익이 기대됨.
PI첨단소재 178920
PI첨단소재 네이버 증권보기 | PI첨단소재 FN GUIDE 종목분석 보기 |
폴리이미드필름(PI필름) 제조업체. 日 규제에 따른 국산화 움직임으로 PI필름 및 PI바니쉬 국산화 수혜 전망.
동사는 2008년 폴리이미드 필름 및 관련 가공제품의 연구개발, 생산 및 판매를 주 목적으로 하여 설립됨. PI(Polyimide) 필름의 제조를 주요 사업으로 하고 있으며 2014년부터 글로벌 PI 필름 시장 점유율 1위를 유지하고 있음. 경쟁력 있는 가격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춰야 하며, 동사는 꾸준한 공정 능력 향상을 통해 제조원가 절감을 구현하고 있음.
2021년 9월 전년동기 대비 별도기준 매출액은 20.9% 증가, 영업이익은 42.3% 증가, 당기순이익은 54% 증가. 동사는 시장점유율 1위로, 동사의 높은 판매량은 구매단가 절감으로 이어지며, 매출 확대에 따른 수익성 향상을 보이며 영업이익은 대폭 증가함. 동사는 연료전지와 같은 미래 시장에서필요로 하는 다수의 용도에 대해 연구 개발을 진행하며 차세대 시장의 도래에 앞서 준비하고 있음.
SK머티리얼즈 036490
SK머티리얼즈 네이버 증권보기 | SK머티리얼즈 FN GUIDE 종목분석 보기 |
반도체, 디스플레이, 태양전지 제조 과정에 사용되는 특수가스(NF3, SiH4, WF6 등) 제조/생산 전문업체. 일본이 수출 규제 품목으로 지정한 고순도 불화수소(HF·에칭가스) 국산화 착수.
동사는 1982년 11월에 대백물산 주식회사로 설립되어 1999년 12월 코스닥시장에 상장된 후 세 차례의 상호 변경 후 SK머티리얼즈가 됨. 2021년 10월 29일 합병 승인 이사회를 열어 2021년 12월 1일자로 합병을 완료할 계획임. SK머티리얼즈(주)는 지주사업부문을 제외한 특수 가스 등 사업부문 일체를 물적분할하고, 분할과 동시에 SK(주)가 물적분할 후 존속하는 SK머티리얼즈(주) 지주사업부문을 흡수합병하는 방식임.
2021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23.7% 증가, 영업이익은 23.7% 증가, 당기순이익은 73.5% 증가. 매출액 증가가 판관비, 인건비 등 비용의 증가를 상쇄하면서 영업이익과 당기순이익 모두 상승함. 동사의 각 사업부문별 경쟁사는 거대 다국적 회사들임. SK(주)의 글로벌 투자역량과 SK머티리얼즈(주)의 소재기술 사업화 역량을 결합하여 첨단소재 분야 포트폴리오 혁신 가속화에 박차를 가할 예정임.
삼륭물산 014970
삼륭물산 네이버 증권보기 | 삼륭물산 FN GUIDE 종목분석 보기 |
지분 100%를 보유 중인 종속회사 SR테크노팩이 고차단성 필름(EVOH) 'GB-8'을 개발. 에틸렌비닐알콜 필름의 경우 글로벌 기준 일본의 쿠라레이사가 65% 점유하고 나머지 상당수를 니폰고세이가 점유중.
동사는 위생용포장용기를 제조 및 판매할 목적으로 1980년 8월 25일에 설립되어 1992년 12월 22일 코스닥증권시장에 상장함. 동사의 주 사업은 위생용포장용기(액체음료용기) 제조 및 판매를 목적으로 하고 있으며 부 사업으로는 임대업을 겸업하고 있음. 카톤팩시장은 국내 우유시장에 연동하여 움직인다고 할 수 있을 만큼 우유소비량과 매우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음.
2021년 6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2.1% 증가, 영업이익 적자전환, 당기순이익 적자전환. 동사 카톤팩 매출액은 전기보다 17.5% 감소했지만 주요 종속회사인 에스알테크노팩 매출이 16.7% 증가하며 전체 매출 확대를 견인함. 주요 종속회사인 에스알케미칼이 신규 개발한 방오도료의 경우 시 생산된 제품의 홍보에 주력하고 있으며 소형어선, 어구등 위주로하여 영업활동을 전개 중.
일지테크 019540
일지테크 네이버 증권보기 | 일지테크 FN GUIDE 종목분석 보기 |
자동차 차체 부품(REINF SIDE COMPL, Dash Compl 등 각종 Pannel류) 제조 및 판매 업체. 현대자동차의 1차 부품 협력 업체로 CFRP(탄소 섬유 강화 플라스틱) 등 신소재 기술 확보를 추진중.
동사는 자동차 차체를 구성하는 REINF SIDE COMPL 등 각종 PANNEL류를 생산 및 판매하는 자동차 부품 전문기업으로 1986년 설립됨. 동사는 자동차 차체를 구성하는 REINF SIDE COMPL 등 각종 PANNEL류를 생산 및 판매하는 자동차 부품 전문기업으로 1986년 설립됨. 차량의 성능, 안전성, 디자인, 품질, 신기술 등 제품에 대한 만족도를 극대화시킴으로써 경쟁 우위를 가질 수 있게 해주는 산업임.
2021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25.1% 증가, 영업손실은 74% 감소, 당기순손실은 82.1% 감소. 매출액이 크게 증가하고 비용은 적게 증가하는 등을 통해 수익성이 개선되며 영업이익은 흑자전환 하는데 성공하였음. 동사는 Hot stamping, 레이저 용접 기술, 마그네슘 합금, Clad metal, CFRP 고주파소입기술 등의 분야에서 경쟁력 확보를 위하여 노력하고 있음.
송원산업 004430
송원산업 네이버 증권보기 | 송원산업 FN GUIDE 종목분석 보기 |
포토레지스트 핵심원료인 감광성 고분자 제조 방법 특허권을 취득한 점이 시장에서 부각.
동사는 1965년 화학제품의 제조, 가공 및 판매를 위해 송원산업주식회사로 설립되었으며, 1977년 유가증권시장에 상장됨. 동사의 주사업은 폴리머 안정제 및 코팅제, 연료첨가제 등 화학제품 제조, 가공 및 판매이며, PVC안정제, 가소제, 고흡수성수지 등 합성수지 사업 또한 영위 중임. 폴리머안정제는 OLEFIN계 및 STYRENE계 수지 등에 사용되고 있으며, 동사가 20% 이상의 세계시장 수요점유율을 차지하고 있음.
2021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18.3% 증가, 영업이익은 38.1% 증가, 당기순이익은 87.2% 증가. 산업용 및 기능성 화학제품의 판매 호조로 비교적 양호한 매출을 기록하였으며, 판관비 급증에도 불구하고 원가율 하락 영향으로 수익성 또한 상승세. 중국, 인도, 미국 등 석유화학 공장 신설과 관련해 수요 증가가 예상되며 수익성 또한 확대될 것으로 기대.
디이엔티 079810
디이엔티 네이버 증권보기 | 디이엔티 FN GUIDE 종목분석 보기 |
CFRP(탄소섬유 강화 플라스틱) 공정 및 가공기술 개발사업 관련 국책과제를 진행.
동사는 LCD, PDP, OLED 등 디스플레이산업에서 중요한 핵심기술인 공정기술과 장비기술을 근간으로 하여 검사장비를 개발, 생산/제작 및 판매하는 종합 장비 제조 업체임. PDP Prober는 가격경쟁력과 우수한 기술 및 품질경쟁력으로 중국업체에 수주를 받아 납품하는 등 해외시장에도 진출하고 있음. LCD 제품에 국한하지 않고 태양광장비, 2차 전지, AMOLED장비 등 신제품 개발을 최우선 목표를 가지고 연구개발에 투자중임.
2021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55.8% 증가, 영업손실은 69.3% 감소, 당기순손실은 75% 감소. 동사는 국내 유일의 ‘레이저 노칭’ 장비 공급 업체로 2차전지 제조 필수템으로 수혜받을 전망임. LG화학의 2차전지 CAPA 증설에 따라 동사 수주량도 동반 증가가 예상됨. 각국 정부의 전기차 구매 유도 정책으로 전기차 판매량 급증, 2차전지 시장 또한 2021년 수요가 공급을 상회하며 고성장이 예상
케이피엠테크 042040
케이피엠테크 네이버 증권보기 | 케이피엠테크 FN GUIDE 종목분석 보기 |
알루미늄 파우치필름 제조 전문업체인 BTL첨단소재 지분 보유. 日 파우치필름 수출규제 확대 우려 속 반사이익 기대.
동사는 약품사업본부, 기계사업본부로 구성되어 있으며 기타 사업으로 신약을 연구 개발하는 제약 및 바이오 부문을 영위하고 있음. 알리코제약 및 비보존과 임상시험용 위약품 위탁생산계약을 체결하여 임상시험용 외용제를 생산하고 있음. 표면처리약품 및 도금설비의 주요 수요층이 되는 전방산업은 PCB 산업으로서, 첨단 전자산업 분야와 직결되는 핵심 전자부품의 필수산업으로 관련 산업과 함께 동반 성장함.
2021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54.8% 증가, 영업손실은 12% 감소, 당기순손실은 4.4% 증가. 원가율 상승과 판관비 증가에도 불구하고 매출 확대에 힘입어 영업적자폭이 축소됨. 동사와 텔콘RF제약은 미국 바이오기업 휴머니젠으로부터 코로나19 치료제 렌질루맙의 국내 판권을 공동으로 확보하고 2021년 7월21일부터 국내 임상(제1상)을 진행중임.
율촌화학 008730
율촌화학 네이버 증권보기 | 율촌화학 FN GUIDE 종목분석 보기 |
국내 화학기업 가운데 유일하게 배터리 파우치필름을 대량 생산해 중국에 납품. 日 파우치필름 수출규제 확대 우려 속 반사이익 기대감에 시장에서 부각.
1973년 5월 설립하여 식품 및 생활용품 포장재부터 산업 소재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포장재를 생산하는 농심 계열사의 종합 포장회사임. 친환경 기업이념을 실천하고자 최첨단 용제회수 설비를 도입 가동하고 있으며, 잉크자동조색장치를 활용함으로써 선명하고 차별화된 인쇄품질의 포장재를 생산하고 있음. 사업 다각화 차원에서 경기도 안산의 연포공장 내에 소재 생산 공장을 추가 증설하여 사업구조를 견고히 하고 있음.
2021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3.9% 증가, 영업이익은 63.6% 감소, 당기순이익은 62.5% 감소. 안정적 성장 흐름 유지하고 있으나, PP Resin을 비롯한 Pet Film 등 원재료가 유가에 밀접하게 영향을 받고 있어 수익성은 크게 하락. 오랜 포장재 제조 경험과 축적된 기술을 BOPP 등 포장소재의 제조 기술과 접목하여 고품질의 기능성 포장소재 개발과 차별화된 포장재 경쟁력 확보에 주력하고 있음.
램테크놀러지 171010
램테크놀러지 네이버 증권보기 | 램테크놀러지 FN GUIDE 종목분석 보기 |
IT기초 화학약품 전문업체. 주로 반도체나 디스플레이 산업 공정 중에 쓰이는 식각액과 박리액, 세정액, 증착액, 용해액 HYCL품, 불산계 제품 등을 제조, 판매하는 업체로 불화수소의 액체 형태인 불산 등을 생산. 19년7월 유해화학물질(불산 등 6종) 영업판매업 허가 승인. SK하이닉스에 불화수소 공급.
동사는 2001년 10월에 설립되어, 반도체용 식각액, 박리액 및 기타 IT 분야 화학소재 등 전방 산업별 핵심 공정 중 사용되는 프로세스 케미컬 제조사업을 주력으로 하고 있음. 반도체를 시작으로 디스플레이, LCD, OLED, 2차전지, 태양전지 분야 화학 약품 공급으로 사업을 확장해 왔으며, SK하이닉스, 삼성SDI, 매그나칩, ELK 등 고객사에 공급함. 매출구성은 식각액 41%, HYCL폼이 22%로 이루어져 있음.
2021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4.5% 증가, 영업이익은 80.9% 증가, 당기순이익은 64.8% 증가. 연구개발과의 지속적인 신제품 개발 및 기술경쟁력을 바탕으로 고품질의 제품을 공급하고 있으며, 반도체 수급 이슈에도 불구하고 동사 제품에 대한 글로벌 고객사의 꾸준한 수요가 지속됨. 원가 개선 활동 등의 경영효율화를 통해 실적 성장세를 유지.
한화솔루션 009830
한화솔루션 네이버 증권보기 | 한화솔루션 FN GUIDE 종목분석 보기 |
고부가가치 화학 소재이며 일본 기업이 독점공급하던 자일릴렌 디이소시아네이트(XDI)의 국산화에 성공한 점이 시장에서 부각.
동사는 1965년 8월 설립된 한국화성공업을 전신으로 하고 있으며, 2020년 1월 한화케미칼, 한화큐셀앤드첨단소재를 통합하며 사명을 변경함. 케미칼 부문(석유화학산업 기반 제품 생산), 큐셀 부문(글로벌 그린에너지 토털 솔루션), 첨단소재 부문(경량복합소재, 태양광소재, 전자소재 생산)으로 구성됨. 2021년 4월 경영효율 제고 및 사업경쟁력 강화를 위해 한화갤러리아(유통 서비스)와 한화도시개발(부동산 개발 사업)을 흡수합병함.
2021년 6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23.2% 증가, 영업이익은 60.9% 증가, 당기순이익은 186.3% 증가. 원가율 상승과 판관비 증가에도 불구하고 매출 확대에 힘입어 영업이익이 증가함. 태양광 부문이 전년동기 대비 적자전환하였으나 원료 부문의 영업이익이 크게 증가하여 수익성이 개선됨. 태양광 부문은 신재생에너지로 급성장하고 있어 태양광 소재 /신기술 연구개발과 외형 성장이 기대됨.
'테마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태양광에너지 테마 관련 수혜주 대장주 주식 종목 총정리 (0) | 2022.01.02 |
---|---|
바이오인식 생체인식 테마 관련 수혜주 대장주 주식 종목 총정리 (0) | 2022.01.02 |
생명보험 테마 관련 수혜주 대장주 주식 종목 총정리 (0) | 2021.12.31 |
온실가스 탄소배출권 테마 관련 수혜주 대장주 주식 종목 총정리 (0) | 2021.12.31 |
석유화학 테마 관련 수혜주 대장주 주식 종목 총정리 (0) | 2021.12.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