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VNO(가상이동통신망사업자) 테마 개요
이동통신재판매사업, 저가통신사 등으로 불리는 MVNO(Mobile Virtual Network Operator, 가상이동통신망사업자)는 통신사업자(MNO)가 통신망을 도매대가로 사용하여 이동통신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업을 말함. 즉, 수 조원이 드는 통신 설비를 구축하지 않는 대신 SK텔레콤과 같은 기존 통신사의 설비를 도매가로 빌려 자체적인 이동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업임. 막대한 투자 부담이 없는 만큼 저렴한 요금설계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음. 통신비 인하를 목표로 내건 정부 정책에 따라 선불제는 2011년 7월, 후불제는 10월부터 시작되었음.

MVNO(가상이동통신망사업자) 관련 종목
스카이라이프 053210

스카이라이프 네이버 증권보기 | 스카이라이프 FN GUIDE 종목분석 보기 |
20년10월에 알뜰폰 서비스 '스카이라이프 모바일' 출시.
방송법에 근거한 위성방송서비스를 목적으로 설립되어, 국내 최초로 H.264 기반의 다채널 HD를 사업화하여 국내 HD방송서비스 시장을 선도함. 2015년 국내 최대 UHD 다채널 서비스를 출시하고, 2021년 9월말 기준UHD 6채널, Ultra Audio 2채널 등 총 274채널을 운영하고 있음. 2020년 10월, 알뜰폰과 위성방송,인터넷을 더한 3종 결합상품(TPS) 판매를 통해 TPS사업자로 본격적인 행보를 시작함.
2021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0.3% 감소, 영업이익은 11.1% 감소, 당기순이익은 7.8% 감소. TPS에 집중하면서, 커머스 사업 매출 감소하였고, TPS 가입자 유치 위한 공격적인 마케팅 집행에 따라 영업이익도 전년동기대비 감소함. '코로나19' 등으로 촉발된 비대면 유통채널의 확대 요구로, 디지털마케팅 확대, 온라인 가입프로세스 개선 등 지속적인 시장의 요구에 부응함.
아이즈비전 031310

아이즈비전 네이버 증권보기 | 아이즈비전 FN GUIDE 종목분석 보기 |
알뜰폰(MVNO) 브랜드인 아이즈모바일(EyesMobile) 등을 운영 중.
동사는 알뜰폰 서비스(아이즈모바일)를 제공하고 있으며, 2020년 하반기부터 SKT 위탁대리점 서비스(리봄)도 시작하였음. 우체국 판매를 통하여 중소사업자가 소비자에게 더욱 쉽게 접근할 수 있게 되었으며, 판매증가 및 고객 만족 등을 위해 꾸준하게 우정사업본부와 협력하고 있음. 동사의 매출구성은 통신제조 약83.2%, 모바일사업 약16.7%, 기타 약0.08%로 이루어져있음.
2021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13.8% 증가, 영업이익은 258.9% 증가, 당기순이익은 205.9% 증가. 2021년 9월말 기준 992만명의 가입자를 확보하였으며, 이동전화 전체 가입자 대비 13.8%로 전년 동기 대비 약 30%의 성장세를 보이고 있음. 동사는 최근 신규사업으로 모빌티리 사업에 진출하여 전기 오토바이 및 배터리 공유를 위한 스테이션을 제조, 판매하는 사업을 새롭게 진행하여 성장이 기대됨.
한국정보통신 025770

한국정보통신 네이버 증권보기 | 한국정보통신 FN GUIDE 종목분석 보기 |
데이터 기반 MVNO 사업자. SK텔레콤 네트워크를 이용해 신용카드 결제용 통신서비스를 제공하는 데이터 MVNO 서비스 도매제공 협정을 체결한 바 있음
동사는 1986년 5월 9일에 설립되었으며 1988년 1월 20일 코스닥시장에 상장함. 카드단말기 및 POS시스템이 설치된 100만 가맹점 네트워크와 카드사, 은행, 정유사, 포인트 제공사 등과 연결된 대외 인터페이스, 그리고 이들을 연결하는 VAN시스템을 통해 부가가치를 창출함. 금융VAN산업은 가맹점과 카드사간 결제망시스템을 구축하여 카드사용 승인중계 및 카드전표 매입 업무를 하는 부가통신산업임.
2021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8.8% 증가, 영업이익은 23.7% 증가, 당기순이익은 11.9% 감소. 매출증가에도 불구하고 판관비, 인건비의 증가로 이익율 감소 2021.09.30 금융VAN 사업 관련 특허를 2건 취득하였음. 또한 VAN사업자 최초로 자체 기술연구소를 설립하여 금융VAN 분야 최고 수준의 기술력과 개발경험을 갖추고 있음.
에스원 012750

에스원 네이버 증권보기 | 에스원 FN GUIDE 종목분석 보기 |
2013년 9월 SK텔레콤의 망을 임대해 MVNO 사업자 자격증을 취득, 통신서비스와 함께 개인안전ㆍ보안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안심폰 사업을 시작.
동사는 1977년 11월 28일 한국경비실업 주식회사로 설립되었으며 1996년 1월 30일 한국증권거래소에 주식을 상장함. 동사는 종합 안심솔루션 회사로서 보안시스템 서비스, 건물관리 서비스와 콜센터 서비스 및 텔레마케팅 사업부로 구분됨. 연구개발전담부서를 통해 센서, 컨트롤러, 지능형 영상감시 시스템 등을 자체 개발 중임. UWB 레이더 기반의 침입 감지 기술 등 보안분야 첨단기술을 보유.
2021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4.7% 증가, 영업이익은 6.1% 증가, 당기순이익은 8.6% 증가. 시스템, 통합보안 등 각 사업부문에서 매출이 고르게 증가하였고, 주요 비용항목 또한 고르게 증가하며 영업이익도 함께 증가하였음. 스마트 주차관리, 스마트 케어존 서비스에 이어 지난 9월 스마트 건물관리 솔루션 '블루스캔' 서비스를 출시하며 새로운 성장 가능성을 만들어가고 있음.
대성홀딩스 016710

대성홀딩스 네이버 증권보기 | 대성홀딩스 FN GUIDE 종목분석 보기 |
가상이동통신망(MVNO) 사업 진출을 위해 방송통신위원회에 사업권을 신청해 2011년 7월 MVNO사업을 위한 별정4호 등록. 이동통신사와 제휴를 통하여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동통신서비스를 위탁 판매중. MVNO 상품 판매 등을 통해 유통전문기업으로 인지도를 높여나가고 있음. 13년11월 에스원 MVNO 안심폰 총판 계약 체결.
동사는 도시가스 제조 및 공급을 영위할 목적으로 1983년 1월 설립되었으며, 1992년 12월 유가증권시장에 상장되었음. 2009년 물적분할 이후 종속회사에 대한 경영효율성 및 투명성 향상, 지배구조 개선 등의 업무지원을 하며 계열회사의 실질적인 지주회사 역할을 수행 중임. 지배회사인 동사의 주요 사업부는 경영관리 본부, IT사업부 교육콘텐츠사업부로 구성됨.
2021년 6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3.5% 감소, 영업이익은 10.2% 증가, 당기순이익은 23.1% 감소. 경영관리본부는 매출이 소폭 늘었으나 IT 사업부, 교육콘텐츠 사업부 매출이 소폭 감소함. 하지만 비용 증가폭이 커 영업이익은 오히려 증가함. 매년 일정 수준의 매출과 영업이익을 기록하고 있으나 성장이 정체됨. 동사는 새 성장동력을 마련하기 위해 빅데이터 분석 등 신규 분야에서 사업 기회를 모색하고 있음.
세종텔레콤 036630

세종텔레콤 네이버 증권보기 | 세종텔레콤 FN GUIDE 종목분석 보기 |
기간통신사업자로 MVNO(이동통신재판매 또는 알뜰폰) 서비스 사업을 영위. KT와 이동통신재판매(MVNO) 협정을 공식 체결하고 MVNO 서비스를 진행 중.
동사는 기간통신사업자로 유무선전화 등 종합통신서비스 및 전기공사업을 영위함. 신규사업으로는 2019년 인수한 비브릭을 통해 블록체인 관련 투자사업과 동년 인수한 세종큐비즈를 통해 중고휴대폰 유통사업을 각각 하고 있음. 신규사업으로 운영했던 커머스 사업은 전문성 확보를 위해 콘텐츠캐리어를 설립해 2021년 1월 분리함. 2021년 3월 에어코드 인수를 통해 T커머스 플랫폼 개발, 공급 서비스를 시작함.
2021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1.5% 증가, 영업이익 적자전환, 당기순이익 흑자전환. 매출은 소폭 증가했으나 매출원가와 인건비등 비용 증가로 영업이익은 적자전환함. 동사는 국내거주 외국인을 대상으로한 틈새시장 통신 상품, 안심번호서비스 등 수익성이 높은 신규 부가서비스를 지속 개발해 출시하는 다양한 시도를 하고 있어 실적 개선 가능성은 있음.
CJ ENM 035760

CJENM 네이버 증권보기 | CJENM FN GUIDE 종목분석 보기 |
동사가 최대주주로 있는 CJ헬로비전이 MVNO(헬로모바일) 서비스중.
동사는 1994년 12월 종합유선방송사업과 홈쇼핑 프로그램의 제작공급 및 도소매업을 목적으로 실립되어 1999년 11월 코스닥시장에 상장함. 동사는 방송채널사용사업자로서 현재 tvN, Mnet, OCN, Olive, XtvN, Tooniverse 등의 채널을 운영하고 있음. 커머스사업은 Live TV와 T커머스, CJ몰(CJmall)을 운영함. 또한 오프라인 매장 스타일온에어 등을 통해 다양한 쇼핑 수요에 대응하고 있음.
2021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4.5% 증가, 영업이익은 45.1% 증가, 당기순이익은 92.7% 증가. 주요 비용의 증가에도 불구하고 매출 확대와 원가율 하락에 힘입어 영업이익이 증가세가 지속됨. 동사가 보유한 채널은 트렌디한 예능 콘텐츠 및 화제성 높은 드라마의 연속적인 흥행으로, 영향력 높은 채널로 자리매김 하고 있음. 전 세계적으로 인기를 끌고 있는 K-POP의 선전에 음악/콘서트사업 부문도 성장세임.
LG헬로비전 037560

LG헬로비전 네이버 증권보기 | LG헬로비전 FN GUIDE 종목분석 보기 |
종합유선방송사업자(MSO). 2012년부터 "헬로모바일"이라는 서비스명으로 MVNO 서비스중.
동사는 1995년 3월 종합유선방송법에 의해 설립되어 종합유선방송국 운영사업, 별정통신사업과 부가통신사업 등을 주요사업으로 영위하고 있음. 2019년 12월에 LG유플러스가 동사의 지분을 50% 취득하여 최대주주가 됨. 동사는 종합유선방송사업자로서 전국 23개 권역에 방송설비를 갖추고 PP(Program Provider)가 생산하는 프로그램을 플랫폼과 네트워크를 통해 가입자에게 직접 전달하는 케이블TV 서비스를 제공함.
2021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0.7% 증가, 영업이익은 21.1% 증가, 당기순이익은 25.8% 증가. 매출 소폭 증가와 더불어 판관비 절감 노력에 힘입어 영업이익이 늘어남. 2022년 11월부터 국내 서비스를 개시하는 디스니플러스가 동사의 케이블TV 서비스와 연동되어 가입자 증가가 기대됨. LG유플러스에 인수된 이후 브로드밴드와 합병 완료하여 유료방송시장 내 경쟁력이 높아질 전망임.
인스코비 006490

인스코비 네이버 증권보기 | 인스코비 FN GUIDE 종목분석 보기 |
당사와 자회사인 (주)프리텔레콤은 이통 3사의 모든 이동통신망을 제공하는 알뜰폰 사업자임. 당사는 freeT LGU+알뜰폰서비스를 제공중이며, (주)프리텔레콤은 freeT KT, SKT알뜰폰 서비스를 제공중.
동사는 1970년 2월 설립되어 MVNO(알뜰폰), 스마트그리드, 시계 제조 및 판매, 바이오 관련 사업을 주요 사업으로 하고 있음. 녹색성장과 관련된 그린에너지 사업으로 스마트그리드사업을 영위하고 있으며 손목시계(오딘, 돌핀 등)제조 및 유통, 바이오사업, MVNO(알뜰폰)사업 등을 영위하고 있음. 동사의 자회사인 프리텔레콤은 국내에서 유일하게 이동통신 3사의 모든 이동통신망을 제공하는 알뜰폰 사업자임.
2021년 6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22.8% 증가, 영업손실 확대, 당기순이익은 496.5% 증가. 알뜰폰 가입자 수 증가 등 MVNO부문의 선전 영향으로 외형 비교적 큰 폭으로 확대된 모습. 반면, 원가율이 큰 폭으로 상승한 여파로 수익성은 다시 악화된 상황. 향후 발전 가능성 측면에서는 스마트그리스부문에 대한 지속적인 투자 필요할 것으로 판단됨.
'테마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농업 테마 관련 수혜주 대장주 주식 종목 총정리 (0) | 2021.12.25 |
---|---|
건강기능식품 테마 관련 수혜주 대장주 주식 종목 총정리 (0) | 2021.12.25 |
크래프톤 테마 관련 수혜주 대장주 관련 종목 정리 (0) | 2021.12.25 |
mRNA 메신저 리보핵산 테마 관련 수혜주 대장주 주식 종목 총정리 (0) | 2021.12.25 |
백신여권 테마 관련 수혜주 대장주 주식 종목 총정리 (0) | 2021.12.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