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RNA(메신저 리보핵산) 테마 개요
mRNA(메신저 리보핵산)는 핵 안에 있는 DNA의 유전정보를 세포질 안의 리보솜에 전달하는 RNA로 2개의 DNA사슬 가운데 한쪽 사슬 위의 염기배열을 주형(鑄型)으로 리보뉴클레오시드삼인산을 기질(基質)로 하여 RNA중합효소(RNA폴리머라아제)의 작용으로 합성. mRNA 기반 코로나19 백신에 대한 관심이 집중되면서 부각. mRNA 기반 코로나19 백신은 코로나19의 특이 스파이크 단백질을 만드는 유전자를 RNA 형태로 만들어 우리 몸에 투여하는 백신으로 화이자와 모더나 제품이 이에 속함.
mRNA(메신저 리보핵산) 관련 종목
올릭스 226950
올릭스 네이버 증권보기 | 올릭스 FN GUIDE 종목분석 보기 |
자회사 엠큐렉스가 코로나19 관련 mRNA 백신과 치료제 개발 사업을 영위중임.
동사는 2010년 2월 26일 설립되었으며 RNA간섭 플랫폼 기술을 기반으로 기존 치료제가 접근하기 어려운 질환에 대한 치료제의 개발 등을 주요 사업으로 영위하고 있음. RNA간섭기술은 질병의 원인이 되는 유전자 발현 및 단백질 생성을 효율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 현실화된 기술임. siRNA 국소 투여 치료제 분야에서 글로벌 경쟁기업과 견주어 손색이 없는 경쟁력을 갖추고 있음.
2021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128% 증가, 영업손실은 56.8% 증가, 당기순손실은 91.9% 증가. 매출액이 증가했으나, 인건비 및 경상연구개발비가 크게 증가하며 수익성이 악화, 영업적자는 더욱 증가하였음. 기존 탈모 치료제의 부작용 및 불편을 해소할 수 있는 신개념 치료제를 연구 개발 중으로, 1회 투여 시 장기 (3주 이상) 효력 유지를 확인함으로써 빠르게 영향력을 확대해나갈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됨.
파미셀 005690
파미셀 네이버 증권보기 | 파미셀 FN GUIDE 종목분석 보기 |
케미컬 사업부문을 통해 mRNA 핵심원료로 사용되는 mPEG를 생산/판매하고 있는 점이 시장에서 부각.
1968년 설립되어 1988년 상장. 줄기세포 치료제 등 의 제조 및 판매, 연구개발 등을 위한 바이오사업과 친환경 난연제를 주요 사업으로 영위. 세계 최초의 줄기세포치료제를 개발한 바이오 제약 전문기업이며 바이오사업부, 바이오케미컬사업부 등 2개의 사업부를 두고 있음. 컨소시엄 구성, 공동 연구 등 대기업과 연계한 지속적인 연구개발을 통해 신소재 제품 개발을 계속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새로운 매출을 계속 발굴 중에 있음.
2021년 9월 전년동기 대비 별도기준 매출액은 35.8% 증가, 영업이익은 39.1% 증가, 당기순이익은 67.8% 증가. 주요 사업인 케미컬사업부문에서 매출액이 크게 증가하여, 원가율 상승에도 불구하고 영업이익 또한 비교적 큰폭으로 증가함. 코로나19로 인하여 바이러스 진단키트, 감염병 진단시약의 수요 증가세가 확산됨에 따라 동사의 뉴클레오시드 매출 확대에 우호적인 시장환경 지속되고 있음.
한미약품 128940
한미약품 네이버 증권보기 | 한미약품 FN GUIDE 종목분석 보기 |
21년6월 동사와 녹십자, 에스티팜 등 3개 기업이 주축이 되고 한국혁신의약품컨소시엄이 지원하는 K-mRNA 컨소시엄을 결성. K-mRNA 컨소시엄은 2022년까지 국산 mRNA 기술을 확보해 전 국민이 1인당 2회 접종 가능한 1억 도스 분량의 코로나19 백신을 생산할 계획.
의약품 제조 및 판매를 주 사업목적으로 하고 있으며 주요 제품으로는 고혈압치료제(아모디핀), 복합고혈압치료제(아모잘탄) 등이 있음. 원료의약품 제조 및 판매업을 영위하는 한미정밀화학 및 의약품 제조 및 판매업 영위 업체 북경한미약품유한공사를 주요 자회사로 보유하고 있음. 호중구감소증 치료제 롤론티스 및 얀센에 기술 이전한 비만치료제 HM12525A, NASH 치료제 HM15211 임상에 따른 파이프라인 경쟁력을 확보함.
2021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6.8% 증가, 영업이익은 1070.6% 증가, 당기순이익 흑자전환. 주요 제품으로는 복합고지혈증치료제 '로수젯', 복합고혈압치료제 '아모잘탄', 역류성식도염치료제 '에소메졸' 등이 있으며 지속적인 수요로 매출이 증가하고 있음. 동사는 2020년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 할당대상업체로 최초 지정되어 2021년 에너지사용과 온실가스배출 절감을 이루어갈 계획임.
삼양홀딩스 000070
삼양홀딩스 네이버 증권보기 | 삼양홀딩스 FN GUIDE 종목분석 보기 |
올릭스의 자회사 엠큐렉스와 mRNA 기반 코로나19 백신 개발을 위해 기술적 상호 협력을 약속하는 양해각서(MOU) 체결. 삼양홀딩스(舊 삼양바이오팜)가 mRNA 등 핵산 약물 등을 전달하는 혁신적인 기술을 개발중.
동사는 다른 회사의 주식을 소유함으로써 그 회사 지배를 목적으로 하는 지주사업과 투자 및 임대사업 등을 영위하는 사업지주회사임. (주)삼양사, 삼남석유화학(주) 등을 포함하여 6개의 자회사를 두고 있음. 연결대상 종속회사들이 영위하는 사업으로는 식품부문(삼양사, 삼양에프앤비), 화학부문(삼양사, 삼양패키징 등), 기타부문(삼양데이타시스템 등)이 있으며, 삼양사의 사업은 크게 식품부문, 화학부문으로 나뉨.
2021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26.6% 증가, 영업이익은 147.2% 증가, 당기순이익은 249.9% 증가. 원가율 상승과 판관비 증가에도 불구하고 매출 확대에 힘입어 영업이익 및 당기순이익이 큰폭으로 증가함. 식품 부문에서 구매, 생산, 판매 및 사후관리에 이르는 토탈 솔루션 제공 강화를 통해 신규사업 진출 및 신시장 개척에 힘쓰고 있음. 다양한 수익창출을 위해 노력 중임.
올리패스 244460
올리패스 네이버 증권보기 | 올리패스 FN GUIDE 종목분석 보기 |
올리패스PNA 플랫폼을 통해 pre-mRNA의 스플라이싱(splicing) 과정에서 특정 엑슨(exon)을 결손시킴으로써 단백질 생성과 억제를 조절할 수 있는 엑슨 스킵핑(skipping) 원천기술을 보유.
동사는 2006년 11월에 설립되어 세포투과성이 우수한 올리고뉴클레오티드를 만드는 고유의 플랫폼 기술을 기반기술로 확보하고 RNA 치료제 신약개발을 주력사업으로 영위하고 있음. 제약 사업은 작성기준일 현재 모든 개발 중인 제품이 임상시험 또는 임상시험 진입 전 단계이며, 화장품 사업은 외주위탁 생산을 하여 생산품목이 매우 다양함. 연결대상 종속회사는 작성일 기준 3개이며, 2019년 9월 20일 코스닥 시장에 상장함.
2021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76.1% 감소, 영업손실은 0.4% 증가, 당기순손실은 6.6% 감소. RNA 치료제 기술은 플랫폼화하기 용이하며 새로운 파이프라인 개발이 가능하여 경기변동에 큰 영향 없이 기술수출 및 공동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그 규모가 매년 증가하는 추세임. 당사는 글로벌 잠재 고객 리스트를 보유/관리 하고 있으며 이를 활용하여 기술수출의 가능성을 극대화하고 있음.
한미사이언스 008930
한미사이언스 네이버 증권보기 | 한미사이언스 FN GUIDE 종목분석 보기 |
21년5월 코로나19 DNA 백신 개발 및 자회사를 통해 mRNA의 주요 원료로 사용되는 플라스미드(Plasmid) DNA를 위탁 생산하는 진원생명과학과 메신저리보핵산(mRNA) 백신 생산기반 및 글로벌 비즈니스 네트워크 구축을 위한 포괄적 협약 체결.
동사는 2011년 5월 지주회사로의 전환을 승인받았으며, 국내 회사의 사업 내용을 지배하는 것을 주된 사업으로 하는 회사임. 헬스케어 분야의 연구 역량을 강화하고 새로운 가치 창출을 하는 사회지주회사로서 생물학적 의약품 등의 제조, 수출 및 판매업 등의 사업을 영위함. 동사는 한미약품, 제이브이엠, 온라인팜, 에르무루스, 일본한미약품, Hanmi Europe Ltd., 한미유한공사 등을 자회사로 두고 있음.
2021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7.5% 증가, 영업이익은 29.3% 증가, 당기순이익은 451.8% 증가. 전반적으로 대부분의 사업부에서 매출액이 증가하였고, 이를 필두로 수익성이 개선되어 영업이익이 증가하였음. 특히 상품매출이 큰 폭으로 증가함. 각 사업부문의 경쟁력 확보 및 시너지를 통해 계열사 및 자회사 전체가 동반성장할 수 있는 비전 제시에 최선을 다하고 있음.
녹십자 006280
녹십자 네이버 증권보기 | 녹십자 FN GUIDE 종목분석 보기 |
21년6월 동사와 한미약품, 에스티팜 등 3개 기업이 주축이 되고 한국혁신의약품컨소시엄이 지원하는 K-mRNA 컨소시엄을 결성. K-mRNA 컨소시엄은 2022년까지 국산 mRNA 기술을 확보해 전 국민이 1인당 2회 접종 가능한 1억 도스 분량의 코로나19 백신을 생산할 계획.
동사는 혈액제제와 백신제제를 비롯해 전문의약품, OTC제제 등의 의약품을 제조 및 판매하는 제약사로, 1969년 설립되어 1989년 유가증권시장에 상장됨. 동사의 사업 품목은 혈액제제, 백신제제, 전문의약품, 일반의약품 등이 종합적으로 구성되어 있음. 주요 거래처는 종합병원, 의원, 시약도매상, 약국, 적십자 등임. 동사는 핵심사업으로서 혈액제제, 백신제제, 유전자재조합제제의 대형 수출품목 육성과 신규 시장 개척을 목표로 함.
2021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4.4% 증가, 영업이익은 20.8% 증가, 당기순이익은 7.9% 증가. 헌터증후군치료제 '헌터라제'는 중국과 일본에서 허가를 획득하였고, 최근 혈우병치료제인 '그린진에프'가 중국 국가약품감독관리국에 품목허가를 획득함. 동사 혈액제제는 2021년 2월 면역글로블린 10% IVIG 미국허가 신청을 완료하였으며, 백신제제는 독감백신과 수두백신의 수출이 증가 중임.
이연제약 102460
이연제약 네이버 증권보기 | 이연제약 FN GUIDE 종목분석 보기 |
완제의약품(항생제, 소염제 등) 및 원료의약품(ABK, SKD 등) 등의 제품을 생산, 판매하는 중견 제약업체. 2021년 6월 말 완공 예정인 충주공장에서는 플라스미드 DNA, 바이럴 벡터, mRNA 기반의 유전자 치료제 및 백신과 유전자재조합·항체의약품이 생산될 예정. 아이진이 동사와 mRNA 백신 공동개발을 제의해 진행 중에 있으며, 엠디뮨과 mRNA 백신과 치료제 공동 개발도 추진할 예정.
동사는 1964년 설립 이후 전문의약품과 원료의약품의 제조 및 판매를 주요 영업으로 하고 있음. 동사는 오리지널 진단제의약품, 제네릭 전문의약품, 특화된 원료의약품을 통해 지속적인 성장을 하고 있으며, 각 부문의 차별화된 Marketing을 통해 우수한 수익성을 기록하고 있음. 동사는 제품력에 대한 인지도 제고, 영업인력의 생산성 증가, 진입장벽이 높은 고부가가치 원료의약품 생산을 통해 우수한 수익성이 지속될 것으로 판단됨.
2021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9.7% 증가, 영업이익은 21.1% 감소, 당기순이익은 79.7% 증가. 동사의 매출은 크게 처방의약품, 오리지널의약품(조영제) 및 원료의약품으로 구성되어 안정적인 성장과 수익을 실현하고 있음. 신약 파이프라인들은 충주공장과 연계하여 개발되고 있으며 충주 바이오공장은 2021년 6월에, 케미칼 공장은 2021년 11월 준공을 완료, GMP 인증 및 상용 가동을 준비 중에 있음.
아미노로직스 074430
아미노로직스 네이버 증권보기 | 아미노로직스 FN GUIDE 종목분석 보기 |
비천연 아미노산 제조와 원료의약품 판매를 주요사업으로 영위하는 업체로 세계 첫 아미노산 자동화 기술을 확보한 점이 시장에서 부각. RNA는 DNA로부터 필요한 유전정보를 전달받아 단백질을 생산하는 역할을 하며, RNA 정보는 필요한 아미노산을 소환해 단백질을 만듬.
동사는 1997년 9월 3일자로 설립되었으며, 2004년 6월 2일에 코스닥시장 상장을 승인 받아 회사의 주식이 2004년 6월 4일자로 상장되어 코스닥시장에서 매매가 개시함. 2009년 9월 23일자 임시주주총회를 통하여 회사의 상호가 에이로직스에서 아미노로직스로 변경됨. 동사의 영업부문은 원료의약품 유통사업부문, 아미노산 사업부문, IT사업부문(기타)으로 구분되어 있음.
2021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22% 증가, 영업이익은 30% 증가, 당기순이익은 433.9% 증가. 현재 연구개발을 통해 다른 고부가가치 아미노산 품목들의 생산 기술을 확보함으로써, 아미노산사업의 높은 수준의 매출 성장을 기대중. 동사의 비천연아미노산 사업부문은 고객사의 PO(주문서)에 맞춰 전문생산 시설을 갖춘 외부 업체에서 위탁생산되며, 수주에서 납품까지의 기간이 비교적 짧은 단기 수주 방식으로 이루어짐.
나이벡 138610
나이벡 네이버 증권보기 | 나이벡 FN GUIDE 종목분석 보기 |
펩타이드 의약품 및 펩타이드 융합바이오 소재 등을 개발 및 제조/판매하는 업체. 글로벌 제약사 및 바이오텍과 mRNA 등 유전자 약물 전달체(NIPEP-TPP)에 대한 물질 이전 계약을 체결한 바 있으며, 과거 美 모더나의 mRNA 방식의 코로나19 백신 전달 플랫폼 기술 논의 사실이 시장에서 부각.
펩타이드를 기반으로 하는 플랫폼 사업을 비롯하여 펩타이드 의약품 사업을 영위하고 있으며, 펩타이드 융합바이오 소재, 조직재생용 바이오소재, 구강보건제품 등을 제품화하여 제조 판매하고 있음. 주요 제품으로는 펩타이드 융합바이오소재, 치과용 골이식재, 콜라겐바이오소재, 치과용 항생연고, 치과용 컨디셔너와 치아미백제 등이 있음. 펩타이드 원천 기술력을 바탕으로 국내 및 미국에 이어 유럽에서도 재생치료 관련 특허 등록을 완료.
2021년 9월 전년동기 대비 별도기준 매출액은 168.9% 증가, 영업손실은 8.5% 감소, 당기순손실은 51.7% 증가. 국내외 매출 증가로 외형은 성장했으나 신약개발에 따른 연구비 증대와 이자비용 증가 등으로 수익성이 악화됨. 바이오 재생 소재 부문은 2020년 11월 중국에 판매 품목 허가를 획득하였으며 본격적인 매출 인식 기대. 브라질, 호주 등 해외시장 진출에 노력 중.
에스티팜 237690
에스티팜 네이버 증권보기 | 에스티팜 FN GUIDE 종목분석 보기 |
스위스 제네반트로부터 LNP 기술을 도입해 한국, 일본을 포함한 아시아 12개국에서 사용 권리를 확보. mRNA 약물 전달의 핵심기술인 자체 LNP 플랫폼 (SmartLNP™)도 자체 개발하여 특허 출원 중이며, 21년4월에는 Covid-19 백신 용도의 LNP 플랫폼기술을 도입, 21년6월 COVID-19 mRNA 백신 자체 개발을 본격 선언하였으며 21년4분기 내 임상1상 IND(임상시험계획신청) 제출을 추진중.
동사는 2008년 8월 18일 유켐 주식회사로 설립되어, 2010년 9월 30일 삼천리제약을 흡수합병하면서 상호를 에스티팜으로 변경하였음. 동사는 근간이 되는 원료의약품 CDMO사업 분야를 확장하여, 신규사업 영역으로서 새로운 치료제 분야인 핵산치료제로 진출하였음. 현재 아시아 1위, 글로벌 3위 내의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oligonucleotide)제조 CDMO의 경쟁력을 보유하고 있음.
2021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49.2% 증가, 영업이익 흑자전환, 당기순이익 흑자전환. 판관비, 인건비등 비용의 증가에도 불구하고, 매출이 증가하며 영업 이익이 큰폭으로 확대됨. 동사는 축적한 기술 노하우와 경험을 바탕으로, 올리고 API의 출발물질인 Amidites에서 최종 API까지 신약에 필요한 원료를 원스탑으로 공급 가능한 세계 유일의 올리고 API CDMO임.
셀루메드 049180
셀루메드 네이버 증권보기 | 셀루메드 FN GUIDE 종목분석 보기 |
mRNA 방식 백신 임상에 들어가는 아이진에 BMP 재조합 단백질 원료를 제공하고 함께 국책과제 등을 수행중. BMP 재조합 기술을 기반으로 mRNA 백신 원료 공급 기대감 부각.
동사의 사업부문은 의료기기, 바이오로직스, 코스메슈티컬로 분류됨. 의료기기사업은 탈회골(DBM), 합성 고분자 무릎연골(BMG) 등을 연구·개발하는 조직공학과 인공무릎관절, 동종이식재 취급 분야로 나뉨. 바이오로직스 부문의 주요 제품으로는 골형성 단백질 rhBMP2와 히알루론산 기반의 활액대체재 Viscoseal Syringe가 있음. 단풍나무 수액으로 만든 기능성 화장품을 중국 내 2000여개의 화장품 전문 유통채널에 납품함.
2021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50.9% 증가, 영업이익은 226.3% 증가, 당기순이익 흑자전환. 원가율은 상승했으나 매출액 증가 및 판관비 감소로 수익성이 확대됨. 따라서 영업이익과 당기순이익 모두 증가함. 동사는 인체조직 중 주로 뼈와 건을 대체할 수 있는 재료 및 제품개발에 매진하고 있으며, 조직을 이루는 주요한 요소로 성장인자 중 하나인 골형성 단백질의 대량 발현 시스템을 구축한 상태임.
서린바이오 038070
서린바이오 네이버 증권보기 | 서린바이오 FN GUIDE 종목분석 보기 |
바이오 연구개발 및 생산 관련 Total Solutions를 제공하는 바이오 인프라 전문 업체. mRNA 합성서비스를 공급중이며, mRNA 백신 개발 단계나 위탁생산시에 합성서비스가 사용될 수 있어 관련주로 시장에서 부각.
동사는 1984년에 서린과학으로 설립되어 2000년 현재의 사명으로 사명변경하였으며 2005년에 코스닥 시장에 주권을 상장함. 사람이나 다른 생물체에서 유래된 것을 원료로 하여 제조한 바이오의약품을 연구개발하는 바이오인프라 사업과, 치매조기진단키트, 헬스케어, 위생/살균 솔루션 사업을 영위함. 연결대상 기업으로 피부미용기기 제조업체인 서린메디케어, 발효화장품 전문회사인 제노자임, 소독물 생성기 제조기업 에코트리메디칼 등이 있음.
2021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33.3% 증가, 영업이익은 120.7% 증가, 당기순이익은 376.4% 증가. 생명공학부문 매출 및 이익 성장 지속중으로 실적 견인하고 있음. 헬스케어 부문 당분기 영업이익 적자전환. 2022년 출시 목표로 혈액 microRNA를 이용한 치매조기진단키트와 임신중독진단키트를 개발 중임. 21년 7월 제놀루션과 NGS기반 코로나변이 유전자 자동분석시스템 사업협약을 체결함.
엔지켐생명과학 183490
엔지켐생명과학 네이버 증권보기 | 엔지켐생명과학 FN GUIDE 종목분석 보기 |
mRNA 백신 생산·공급을 목표로 mRNA 백신 위탁생산(CMO) 사업 진출 예정. 충북 오송 부지면적 5,300평에 완전자동화 mRNA 백신공장을 건설할 계획이며, mRNA 백신 원료인 지질 CMO 사업에도 진출.
동사의 사업부문은 글로벌신약개발 사업부문과 원료의약품 사업부문 2가지로 구성되어 있음. 글로벌신약개발 사업부문은 신약물질 EC-18의 작용기전을 활용한 다양한 파이프라인을 발견하고, 한국과 미국에서 코로나바이러스(COVID-19) 호중구감소에 대한 임상2상시험을 진행. 동사와 라이센싱 계약을 맺을 파트너들은 모두 글로벌 또는 해당 국가에서 의약품 마케팅을 위한 인력, 조직, 영업망 및 노하우 등을 확보하고 있는 제약사임.
2021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24.6% 감소, 영업손실은 24.8% 증가, 당기순손실은 56.7% 증가. 원료의약품 사업부문에는 세파항생제 합성기술, 비세파 원료합성기술과 MRI & CT조영제 합성기술로 현재까지 40여종이 넘는 제품들을 개발함. 내수 중심에서 수출 위주로 매출변화를 위해 EU GMP인증을 득했으며, 순차적으로 미국 cGMP 승인을 위한 준비 중.
진원생명과학 011000
진원생명과학 네이버 증권보기 | 진원생명과학 FN GUIDE 종목분석 보기 |
유전자 치료제 위탁생산(CMO) 기업. 미국 자회사 'VGXI'를 통해 유전자 치료제의 핵심 원료인 '플라스미드(Plasmid) DNA'를 위탁생산하는 cGMP급 공장을 보유. Plasmid DNA는 유전자 치료제의 주류인 바이러스 전달체 생산의 핵심 원재료일 뿐 아니라 mRNA의 주요 원료로 사용됨.
동사는 초기에 의류용 심지 전문 제조와 판매를 목적으로 1976년에 설립되어 1987년 유가증권시장에 상장함. 주요 목적사업은 생명공학을 이용한 의약품 개발 등으로 확장한 상태이며 핵산 기반 바이오 신약과 항염증 치료 신약 등의 신약 개발 사업을 진행하고 있음. 당분기말 현재 CMO 제조 및 생산, 심지 제조 및 생산을 영위하는 2개의 연결대상종속회사를 보유중임.
2021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3.4% 감소, 영업손실은 65.2% 증가, 당기순손실은 49.6% 증가. 제약 사업과 패브릭 사업 모두 적자를 시현중임. 매출이 소폭 감소하였고 판관비가 증가하여 영업손실 증가함. 2020년 4월에 미국 FDA에 코로나19 감염 방지 코 스프레이 치료제인 GLS-1200의 2상 임상시험을 승인 받고 현재 임상시험 진행중.
아이진 185490
아이진 네이버 증권보기 | 아이진 FN GUIDE 종목분석 보기 |
노화 관련 성인 질환의 예방 및 치료 의약품 연구개발을 주요사업으로 하는 바이오의약품 생산업체. LNP 기술 대신 면역증강제로 개발된 양이온성 리포좀을 mRNA 전달체로 개량한 코로나19 백신을 개발 중이며, 동물실험에서 모더나 백신과 유사한 수준의 중화항체 형성을 확인.
동사는 2000년 설립되었으며 신약 연구 개발을 전문적으로 수행하는 벤처기업으로서 2013년 코넥스시장에 상장, 2015년 기술특례로 코스닥 이전상장함. 허혈성 질환 중 당뇨망막증, 욕창, 창상, 그리고 심근허혈/재관류 손상치료제를 개발 중이며, 자궁경부암 백신과 대상포진 백신에 대한 연구도 진행중. 재무구조 개선을 위해 2017년부터 바이오 IT 시스템 사업을 시작했으며 2018년부터는 의약품 도매와 건강기능식품 사업 개시함.
2021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2.8% 감소, 영업손실은 121.9% 증가, 당기순손실은 0.5% 감소. 동사는 바이오의약품 분야 중에서도 노화 관련 성인 질환의 예방 및 치료 의약품 연구개발에 집중하고 있음. 동사는 향후 AERAS* Gate 1 진입을 위한 기초 데이터를 확보하여 전임상 및 임상 단계를 비영리 생명공학 그룹인 AERAS로부터 국제적인 지원을 받아 결핵 백신을 개발할 계획임.
'테마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MVNO 가상이동통신망사업자 테마 관련 수혜주 대장주 주식 종목 총정리 (0) | 2021.12.25 |
---|---|
크래프톤 테마 관련 수혜주 대장주 관련 종목 정리 (0) | 2021.12.25 |
백신여권 테마 관련 수혜주 대장주 주식 종목 총정리 (0) | 2021.12.25 |
LCD장비 테마 관련 수혜주 대장주 주식 종목 총정리 (0) | 2021.12.25 |
2차전지 LFP 리튬인산철 테마 관련 수혜주 대장주 주식 종목 총정리 (0) | 2021.12.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