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톡스(보툴리눔톡신) 관련 개요
보톡스란 美 제약회사 엘러간이 제조한 근육수축 주사제 제품의 명칭으로, 통상 주름 개선용 주사제로 알려짐. 혐기성 세균인 클로스트리듐 보툴리눔(Clostridium botulinum)에서 추출한 신경 독소 물질 보툴리눔톡신(Botulinum toxin)을 의료에 사용할 수 있도록 정제한 것으로 신경 전달을 차단하여 근육의 과도한 수축을 완화시키는 효과가 있어 현재 얼굴 떨림, 눈꺼풀 경련, 근강직 등의 치료뿐만 아니라 주름 치료, 사각턱 교정술 등 미용적 목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음.
보톡스(보툴리눔톡신) 관련 종목
알에프텍 061040
네이버증권 | Fn Guide | NICE평가정보 |
20년6월 자회사 알에프바이오(20년4월 물적분할)가 세계 최초로 벌꿀에서 보툴리눔균 분리 동정(분리 후 식별) 성공 및 국가관리 번호 부여받음.
1995년 설립되어 현재 IT사업(모바일 기기의 부가장치 제조 및 판매)과 LED사업(LED 조명기기 제조 및 판매)을 영위하고 있음. IT사업은 모바일 기기 부가제품을 연구개발, 생산, 판매하는 기업으로 동사의 기술적 우위 및 해외 현지화 전략을 통해 모바일기기 부가제품을 삼성전자에 ODM 방식으로 공급. 신성장동력으로 히알루론산 필러와 보툴리눔 독소를 활용한 바이오 의약품 등을 연구개발, 제조하고 있음.
2021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19.2% 증가, 영업이익은 0.2% 감소, 당기순이익 흑자전환. 휴대폰 충전기 TA, 데이타 연결 케이블 DLC, 휴대전화의 이동 방송 수신을 위한 안테나 등 주력 제품 호조로 외형 성장, 원가율 상승으로 영업손익은 개선되지 못함. 고부가제품의 개발, 해외 시장 공략 및 원가 경쟁력 증대 등으로 기존 사업을 성장시키고 의약품, 의료기기, 화장품 사업 등 신규 사업을 추진함.
휴온스 243070
네이버증권 | Fn Guide | NICE평가정보 |
기존 휴온스에서 의약품 제조사업이 인적 분할됨에 따라 재상장된 업체. 의약품 제조 및 판매 사업을 영위. 지주회사인 휴온스글로벌이 16년10월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보툴리눔 톡신 제품 '휴톡스'의 수출용 허가를 받았으며, 16년11월 휴온스글로벌로부터 휴톡스의 글로벌 판권을 확보하여 판매 중.
동사는 의약품 및 에스테틱 제품을 판매하는 제약사임. 국소마취제, 점안제를 비롯해 개량신약ㆍ제네릭의약품 등을 국내 병ㆍ의원ㆍ약국에 공급함. 대표적인 제품으로는 비만치료제, 비타민주사제, 면역증강제, 그리고 기타 영양요법 주사제 등을 판매하고 있음. 동사는 특화된 제품력을 기반으로 국내외 유수의 제약기업의 의약품을 생산ㆍ납품하는 수탁(CMO) 사업도 진행하고 있음.
2021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6.2% 증가, 영업이익은 2.4% 증가, 당기순이익은 3.5% 감소. 판관비가 큰 폭으로 증가했음에도 매출 증가와 원가 감소로 영업이익은 증가함. 그러나 관계기업손익 및 금융손익 감소로 당기순이익은 감소함. 동사는 휴온스글로벌(지주회사)과 보툴리눔톡신에 대한 독점판매계약을 체결하였으며, 해외에서 고품질을 인정받아 수출이 늘고 있음.
제테마 216080
네이버증권 | Fn Guide | NICE평가정보 |
피부과용 레이저 의료기기, 보툴리눔 톡신, 필러 등을 개발/제조하는 바이오 벤처업체. 보툴리눔 독소(botulinum toxin)를 활용한 바이오 의약품(biopharmaceuticals) 등을 연구개발 및 제조하고 있음.
안면미용 목적의 히알루론산 필러와 보툴리눔 독소를 활용한 바이오 의약품, 조직 봉합 및 안면 고정 리프팅실, 피부과용 전문 레이저 의료기기 등을 연구개발 및 제조. 실의 돌기 모양을 개선하여 시술 시 조직을 과하게 당겨 놓을 필요가 없는 4세대 리프팅실(에피티콘)을 개발하여 스트레스 감소 및 효과 지속시간을 개선함. 히알루론산 필러 부문은 리도카인 성분을 첨가하여 시술 대상자의 통증을 현저히 완화시킨 제품군을 확보하고 있음.
2021년 9월 전년동기 대비 별도기준 매출액은 95.7% 증가, 영업이익 흑자전환, 당기순손실은 90.9% 감소. 2분기부터 필러 주요 판매 지역인 유럽에서의 코로나19 델타 변이 확산 여파로 판매가 주춤했던 영향이 3분기에도 지속되었으나 견조한 매출이 지속되고 있음. 러시아 코로나19 백신 ‘스푸트니크V’의 약 100억원 규모 코로나19 백신 설비 투자가 5월부터 진행 중이며 설비 확보는 조만간 마무리될 예정.
파마리서치 214450
네이버증권 | Fn Guide | NICE평가정보 |
재생바이오 전문업체. 자가재생 촉진제인 PDRN/PN 제조 기술을 확보하고, 해당 소재를 기반으로 한 의약품, 의료기기 및 화장품 등 재생제품을 생산, 판매. 클로스트리디움 보툴리눔 A형 독소 및 보툴리눔 독소를 이용한 바이오 의약품을 제조하는 파마리서치바이오를 종속회사로 보유.
2001년 3월 설립되어 의약품, 의료기기, 화장품 등 재생제품을 생산, 판매하는 재생바이오 전문 제약회사. 인체 고유의 재생 매커니즘을 활성화 및 촉진시키는 물질인 PDRN, PN의 제조기술을 확보하였으며, 국내 공장 설립으로 원재료 조달부터 완제품 제조까지 국산화에 성공. PDRN 및 PN 제조 원천기술을 바탕으로 관절강주사인 콘쥬란 개발, 기능성 화장품 출시, 건강기능식품 등 해당 물질의 적용 범위를 확장.
2021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44.6% 증가, 영업이익은 80.5% 증가, 당기순이익은 63.2% 증가. 매출은 의약품 29.8%, 의료기기 48.8%, 화장품 17.8%, 기타 3.6%로 구성되어있으며 온라인몰, 홈쇼핑 등 다양한 경로를 통해 판매함으로서 매출이 크게 성장하고 있음. 동사는 중국 및 일본 중심의 아시아 시장과 북미 시장을 통한 글로벌 시장진출 계획을 수립하여 해외사업을 진행하고 있음.
휴젤 145020
네이버증권 | Fn Guide | NICE평가정보 |
바이오의약품 전문 업체. 클로스트리디움 보툴리눔(Clostridium botulinum)이라는 미생물(Micro-organism)을 기반으로 A형 보툴리눔 톡신(botulinum toxin type A)을 활용한 바이오의약품을 연구개발, 제조. 주요 사업으로 톡신(Toxin), 필러(Filler), 의료장비, 화장품 등을 영위 중임. 주요 제품으로는 보툴리눔 톡신제제 '보툴렉스', HA필러 '더채움', 바이오 코스메틱 '웰라쥬' 등임.
동사는 2001년 설립된 기업으로, 생물학적제제의 제조및 판매와 의학 및 약학 연구개발업을 주요사업으로 영위하고 있으며 2015년 코스닥 시장에 주권을 상장함. 보툴리눔 톡신제제 '보툴렉스', HA필러 '더채움', 바이오 코스메틱 '웰라쥬' 등의 주요 제품으로 보유하고 있음. 보툴리눔 톡신과 필러를 주력으로 하고 있음. 동사의 매출은 제품 92.21%, 상품 7.79% 등으로 이루어져 있음.
2021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28.2% 증가, 영업이익은 54.2% 증가, 당기순이익은 78.2% 증가. 필러 매출은 전년동기 대비 성장. 톡신 유럽 허가는 2021년말 예상되며, 미국/호주/캐나다는 2022년 허가가 기대됨. 톡신 수출 전년 동기대비 성장세 유지. 3분기 식약처의 업무 과부하로 국내 톡신 유통 물량에 대한 국가출하승인 절차 지연되며 내수 매출 감소.
디에스케이 109740
네이버증권 | Fn Guide | NICE평가정보 |
보툴리눔 독소 단백질 치료제 제조 및 판매업을 영위하는 프로톡스를 주요종속회사로 보유.
동사는 디스플레이 장비 및 메카트로닉스 관련 정밀 시스템 제조 사업 등을 영위할 목적으로 1995년 2월 3일에 설립됨. 동사는 기존 사업 영역인 LCD 패널의 PCB Bonding 기술을 접목해 터치패널의 FPC(Flexible Printed Circuit) Auto Bonding System 영업활동 진행 중. FPD 장비 기술을 활용하여 Solar Cell제조에 필요한 장비를 개발하여 태양광 에너지 분야의 사업을 추진 중.
2021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83.9% 증가, 영업손실은 62.7% 감소, 당기순이익 흑자전환. 전년동기 대비 매출액 증가. 특히 장비제조 부문의 실적이 좋았고 지속적인 원가구조 혁신 노력에 의해 매출 증가 대비 매출원가 상승률이 양호. 유상증자를 실시해 자금을 바이오 자회사 '프로톡스'로 흘려보낼 계획으로 향후 바이오 사업에 힘을 싣을 예정.
메디톡스 086900
네이버증권 | Fn Guide | NICE평가정보 |
보톡스로 널리 알려진 보툴리눔 독소 원천기술을 갖고 있는 전문의약품 업체. 주요 사업으로 클로스트리디움 보툴리눔 A형독소 및 보툴리눔 독소를 이용한 바이오 의약품의 연구/개발 및 제조/판매 영위. 주요 제품으로 보툴리눔 독소 제제 기반 제품인 '메디톡신(해외브랜드명 Neuronox, Siax 등)'과 필러 제품인 '뉴라미스' 등. 한편, 20년6월 식약처로부터 메디톡신 3개 제품(메디톡신주·메디톡신주50단위·메디톡신주150단위)에 대한 국내 품목허가 취소 처분을 받음.
동사는 2000년에 설립되어 A형/B형 보톨리늄 독소 단백질 치료제 생산업, 단일클론항체 생산업, 재조합 단백질 생산업, 연구개발 및 연구개발용역업을 영위하고 있음. 얼굴 피부의 주름 완화 성분인 보툴리눔 톡신 제재 의약품을 제조하고 있으며 주력 제품 브랜드는 메디톡신(해외브랜드명 Neuronox)임. 연결대상 종속회사로 의약품 기업인 메디톡스코리아 등 국내 및 일본, 태국 소재 회사 7개사를 보유하고 있음.
2021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30.9% 증가, 영업이익 흑자전환, 당기순이익 흑자전환. 보툴리눔 톡신 제품들의 허가취소 집행정지 및 국가출하승인 획득에 따라 본격화된 톡신 매출이 정상화되면서 매출액 증가하고 영업적자도 벗어남. 보톨리늄 톡신 3종에 대한 허가취소 이슈가 해결되고 4번째 보톨리늄 톡신 파이프라인인 MBA-P01에 대한 임상 3상 승인이 이루어져 향후 실적 개선 기대됨.
휴온스글로벌 084110
네이버증권 | Fn Guide | NICE평가정보 |
21년4월 바이오 사업부문(보툴리눔톡신)을 물적 분할하여 휴온스바이오파마를 신규 설립했으며, 지분 100% 보유.
동사는 지주회사로 전환되어 투자, 브랜드수수료, 경영자문수수료, 임대수익 등 지주회사 사업과 보툴리눔 톡신 제품 사업을 영위함. 분할 후 존속회사인 동사는 분할전 사업부문을 제외한 투자사업부문과 보톡스사업을 영위함과 동시에 지주회사로서의 역할을 수행함. 분할 후 신설회사인 휴온스는 의약품 사업부문 일체를 영위함. 2016년 5월 3일 기업 분할에 따라서 휴온스글로벌로 사명 변경함.
2021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10.7% 증가, 영업이익은 8.9% 감소, 당기순이익은 33.7% 감소. 다양한 영업전략 및 시장 확보로 매출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나 그만큼 비용이 증가하여 수익성은 소폭 하락하였음. 코로나19 백신 CMO사업을 위해 휴메딕스는 휴온스글로벌 컨소시엄을 통해 러시아 코로나19 백신 '스푸트니크V(Sputnik V)'의 CMO 사업에 참여 하고 있음.
대웅제약 069620
네이버증권 | Fn Guide | NICE평가정보 |
의약품 생산 및 판매사업을 영위하는 제약업체. 18년5월 美 FDA로부터 보툴리눔 톡신 제제인 '나보타'의 제조시설에 대한 승인 획득. 美 파트너사인 에볼루스를 통해 美 시장에 진출.
동사는 2002년 10월 주식회사 대웅이 사업부문을 인적 분할하여 설립되었으며, 종속회사는 의약품 제조 및 판매업을 영위하는 주요종속회사인 한올바이오파마를 포함한 총 13개 회사로 구성. 의약품 제조 및 판매를 영위하고 있으며, 주요제품은 우루사, 알비스, 올메텍, 임팩타민, 넥시움 등 다양한 용도의 의약품으로 구성됨. 영업사원에 대한 디테일 능력향상, 제품차별화 포인트, 선진 마케팅기법 교육 등을 통해 판매를 강화하고 있음.
2021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7.8% 증가, 영업이익은 674.4% 증가, 당기순손실은 25.3% 증가. 우루사, 루피어, 안플원 등 자체개발 제품의 지속적인 매출을 바탕으로 크레젯, 포시가, 다이아벡스, 릭시아나 등의 매출이 증가하였음. 전문의약품은 의약전문지 등을 통한 광고 및 세미나를 실시하고 일반의약품은 매출 증가를 위해 소비자 인식 및 브랜드 네임 강화를 지속하고 있음.
한국비엔씨 256840
네이버증권 | Fn Guide | NICE평가정보 |
식약처로부터 자체 개발한 보톡스(보툴리눔톡신) 비에녹스주 20년1월 수출허가 획득. 비에녹스주는 현재 국내 임상 진행중.
동사는 2007년 8월 설립되었으며, 더말필러(Dermal Filler) 등 미용성형용 의료기기, 창상피복재 등 수술, 시술용 의료기기를 개발 및 생산하고 있음. 더말필러 등 메조테라피제품, 유착방지재, 콜라겐흡수성창상피복재와 콜라겐조직보충재의 4가지 의료기기 제품군이 주된 매출을 발생시키고 있음. 2019년 12월 1일 엔에이치스팩11호와 합병하여 코스닥시장에 상장함.
2021년 9월 전년동기 대비 별도기준 매출액은 27.9% 증가, 영업이익 적자전환, 당기순이익 적자전환. 더마 코스메틱 아이스트(I.st) 중국 위생허가를 취득하며 수출 확대가 예상되며, 톡신 비에녹스도 지난 2021년 6월부터 수출 개시되며 양호한 매출을 보임. 미용성형의료시장에서 의료한류(K-Medi) 바람을 일으키며, 빠른 속도로 해외시장에 진출하고 있음. 당사 또한 내수보다 해외시장에서 성장율이 높을 것으로 예상 됨.
'테마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건설기계 테마 관련 수혜주 대장주 주식 종목 총정리 (0) | 2022.01.11 |
---|---|
제4이동통신 테마 관련 수혜주 대장주 주식 종목 총정리 (0) | 2022.01.11 |
원격진료(U-Healthcare) 테마 관련 수혜주 대장주 주식 종목 총정리 (0) | 2022.01.10 |
시멘트 레미콘 테마 관련 수혜주 대장주 주식 종목 총정리 (0) | 2022.01.10 |
의료기기 테마 관련 수혜주 대장주 주식 종목 총정리 (0) | 2022.01.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