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차산업 수혜주 개요
4차산업이란 제조업과 정보통신기술(ICT)을 융합해 기업의 경쟁력을 제고하는 차세대 산업임. 로봇이나 인공지능(AI)을 통해 생산설비 및 개별기기 자체가 제품과 상황에 따라 능동적으로 작업 방식을 결정하며 생산효율을 극대화 하는 방식으로 차세대 산업혁명으로 불리고 있음. 4차산업 구현을 위해 스마트센서, 자동화 로봇, 빅데이터처리, 데이터 보안, 5세대 통신, 인공지능 등 수많은 부가적 요소가 필요한 상황임. 다만, 종목군 특성상 4차산업 관련 실적 증대 효과가 미미하거나 불확실한 종목들도 부각되고 있기 때문에 투자자들의 각별한 주의가 필요해 보임.
4차산업 수혜주 관련 종목
로보로보 215100
로보로보 네이버 증권보기 | 로보로보 FN GUIDE 종목분석 보기 |
교육용로봇 제조, 판매업체. 초등학생 및 유아를 위한 교육용로봇, 로봇용 학습소프트웨어, 관련 교재 등 교육에 사용되는 로봇 및 부수제품을 생산/판매. 4차 산업혁명을 대비한 로봇 코딩교구(유아로, 코딩스토리 등) 생산, 판매.
주요 제품은 교육용로봇, 로봇용 학습소프트웨어, 관련 교재 등 교육에 사용되는 로봇 및 부수제품을 연구개발, 제조, 판매하고 있음. 국내 방과후학교 교육 서비스 제공(생명 과학 및 코딩 분야)을 담당하는 ‘주식회사 러닝온’, 관련 위탁서비스업을 담당하고 있는 ‘주식회사 씨디에이에듀’라는 두 종속기업으로 구성된 교육용 로봇 기업임. 국내외 탄탄한 판매 인프라를 확보하며 명실상부한 교육용 로봇 업계의 선두업체로 자리매김하고 있음.
2021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101.4% 증가, 영업이익은 42.6% 증가, 당기순이익은 60.4% 증가. 기존 제품과 더불어 새로운 제품 로보키트RS, 키로(Kiro) 신제품 출시 및 공급 등으로 영업 시장 안정화를 추진할 예정이며 국내외 SNS 마케팅 활성화 노력중임. 코딩 전용 교구 코딩스토리는 국내 방과후 학교 시장에서 400개교 납품 성과를 달성하였으며, 해외 수출을 위한 준비 작업도 착수 중임.
에스넷 038680
에스넷 네이버 증권보기 | 에스넷 FN GUIDE 종목분석 보기 |
네트워크통합을 근간으로 하는 소프트네트워크 솔루션 전문업체. 삼성전자 네트워크사업부에서 분사한 기업으로 삼성전자의 사물인터넷(IoT) 투자 확대 방침에 따른 수혜 기대감.
1999년 삼성 네트워크사업부문에서 분리하여 설립되었으며, 네트워크 통합시스템 구축 및 자문, 유지보수를 주요 사업으로 영위함. 2002년 미국 CISCO사로부터 Gold 파트너를 자격을 취득한 이래 현재까지 CISCO사의 다양한 제품군을 국내외에 안정적으로 공급하고 있음. 동사의 SDN은 다양한 애플리케이션과 연동하여 효율성 및 자동화를 가능하게 하며 세계 SND 시장 규모는 연평균 50% 이상 성장이 전망됨.
2021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7.3% 증가, 영업손실은 192.1% 증가, 당기순손실은 275.1% 증가. 주력인 용역과 제품매출 모두 견조한 성장세를 보였으나 원가율이 악화되었고 판관비 등 비용도 상승하여 영업손실 및 순손실이 확대됨. 동사는 AI 전문조직을 신설하여 네트워크통합(NI)에서 보안, 데이터, 시스템통합(SI)로 사업 영역을 확대해 왔으며 ICT 인프라 전 영역에 AI를 적용할 계획임.
휴림로봇 090710
휴림로봇 네이버 증권보기 | 휴림로봇 FN GUIDE 종목분석 보기 |
지능형 로봇 제조 및 판매업체. 지능형(AI) 기능 강화 로봇 개발 및 재난, 수술용 로봇 시장 진출계획 등으로 4차산업 수혜주로 시장에서 부각.
동사는 1999년 11월 29일에 법인전환 형태로 설립되었으며, 2006년 12월 5일 로봇업체로는 최초로 코스닥시장에 상장되었음. 동사의 연결대상 종속회사는 2019년 1분기 신규 연결된 '(주)인웍스로봇'을 포함하여 4개사가 있음. 최근 IT기술과 융합하여 네트워크를 통한 기능분산, 가상공간 내의 동작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로봇, 소프트웨어의 로봇에까지 진화하여 유비쿼터스 시대의 핵심적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됨.
2021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20% 증가, 영업손실은 21.5% 감소, 당기순이익 적자전환(영업외수지 악화). 직각좌표 로봇등 제조업 로봇은 물론 스마트한 퍼스널 로봇 '테미' 등 서비스 로봇 내수 매출 증가로 외형 성장함. 동사의 로봇 '테미’는 안드로이드 기반의 커스터마이징이 용이하고 높은 완성도와 뛰어난 성능, 가격 경쟁력을 가진 오픈 플랫폼으로 실질적인 상용화가 가능한 서비스 로봇이 될 것으로 전망됨.
아진엑스텍 059120
아진엑스텍 네이버 증권보기 | 아진엑스텍 FN GUIDE 종목분석 보기 |
4차산업 중 하나인 로봇의 핵심부품(모션제어칩)을 제조.
1997년 12월 29일에 주식회사 아진전자산업으로 설립됨. 2001년에 주식회사 아진엑스텍으로상호를 변경하였음. 동사는 2013년 7월 1일 한국거래소가 개설한 코넥스 시장에주식을 상장했으며, 2014년 7월 24일 코스닥 시장으로 이전 상장하였음. 반도체 장비 및 스마트폰 장비와 같은 제조 및 검사 자동화 장비의 제어기 국산화 전문기업, 제조용 로봇 제어기 전문기업임.
2021년 9월 전년동기 대비 별도기준 매출액은 85.3% 증가, 영업이익은 149.3% 증가, 당기순이익은 78.7% 증가. 원가율이 크게 상승했으나 매출 증가 폭이 더 커 영업이익과 당기순이익은 증가함. 대리점 매출 비중이 소폭 증가함. GMC 부분이 반도체 장비 시장, 스마트폰 장비 시장 부분에 진출하여 매출이 다변화 하고 있어 외부적 요인에 의한 위험이 보완되고 있음.
TPC 048770
TPC 네이버 증권보기 | TPC FN GUIDE 종목분석 보기 |
종합 자동화 시스템 전문업체. 4차산업과 관련된 3D 프린팅 및 협동 로봇 연계 "스마트 팩토리 융합솔루션" 사업을 추진하고 있는 점이 시장에서 부각.
동사는 1979년 1월 22일에 단해공압공업 주식회사 로 설립. 1999년 12월 상호를 주식회사 TPC메카트로닉스로 변경함. 동사는 공장 자동화부품을 생산하는 공압사업부, 전동 모터 및 리니어모터를 활용한 릭교로봇을 생산하는 모션사업부를 운영 중. 신규사업으로서 3D프린터 전략팀과 협동로봇 전략팀을 운영. 로봇솔루션파트는 미국 Rethink Robotics사와 대만 Quanta Storage사의 제품을 국내 시장에 판매.
2021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6% 감소, 영업이익은 29.1% 감소, 당기순이익은 181.4% 증가. 매출액 감소에도 불구하고 원가율 개선, 그리고 판관비 인건비 등 비용 절감 노력에 힘입어 영업이익은 소폭 증가함. 동사는 개인 및 SOHO등을 타겟으로 최우수 국산기술을 보유한 애니웍스와 사업제휴를 체결하여 자체 3D프린터를 개발하여 기존 전국적 사업 인프라를 활용한 시장 조기선점에 집중하고 있음.
드림어스컴퍼니 060570
드림어스컴퍼니 네이버 증권보기 | 드림어스컴퍼니 FN GUIDE 종목분석 보기 |
SK텔레콤 인공지능(AI) 스피커 '누구' 개발과정에 참여하는 등 SK그룹 4차산업 투자 수혜주로 시장에서 부각. 주요 제품, 상품으로는 고음질 휴대용 오디오 플레이어(아스텔앤컨 등), AI스피커 등임.
동사는 1999년 1월 20일 설립되었으며 2003년 12월 19일 코스닥시장에 주식을 상장함. 온라인 음악 서비스, 음반 및 디지털 콘텐츠 유통, 아티스트 MD, 공연 사업, 고음질 오디오 플레이어 및 인공지능 스피커 제조/판매 등을 영위하고 있음. 2018년 12월 서비스를 시작한 FLO는 개인 맞춤형 음악 추천 서비스와 UX를 강점으로 가지며, 출시 1년 만에 국내 Top-Tier 음원 플랫폼으로 발돋움함.
2021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9.4% 증가, 영업이익 흑자전환, 당기순손실은 87.6% 감소. 매출증가와 각종 비용 감소로 수익성 개선이 지속됨. 따라서 영업이익이 증가했고 당기순이익 적자폭이 크게 개선됨. 동사는 2018년부터 음악 제작사들(SM, JYP)로부터 확보한 유통권을 기반으로 사업을 추진하고 있음. JTBC등과의 음악 유통 사업 추진은 유관 사업 시너지를 강화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판단하고 있음.
DSC인베스트먼트 241520
DSC인베스트먼트 네이버 증권보기 | DSC인베스트먼트 FN GUIDE 종목분석 보기 |
벤처캐피탈인 중소기업창업투자회사. 4차산업 관련 벤처기업에 투자.
2012년 1월 설립된 동사는 중소·벤처기업에 대한 투자금융을 제공하는 벤처캐피탈 회사임. 투자조합 등의 결성을 통해 업무집행조합원으로서 운영 및 관리를 담당하고 있으며, 조합자금의 투자집행을 통해 중소·벤처기업 투자를 주력으로 하고 있음. 2021년 9월말 현재 동사가 운영중인 투자조합은 총 16개로 운영자산(AUM) 기준 6,982억원을 기록하고 있음. 주요 출자사는 한국모태펀드, 성장사다리펀드, 한국산업은행 등임.
지분법이익과 관리보수 등 투자조합으로부터 발생하는 수익의 확대와 단기매매증권평가이익이 늘어남에 따라 2021년 3분기 누적 영업수익은 전년동기 대비 14.1% 증가함. 조합지분법손실이 크게 늘어남에 따라 영업이익은 전년동기 대비 14.7% 감소한 91.1억원을 기록함. 컬리, 무신사, 직방 등 유니콘 기업에 일찌감치 투자해오면서 '유니콘 족집게'로 평가 받는 동사는 최근 콩스튜디오에 추가 투자함.
어보브반도체 102120
어보브반도체 네이버 증권보기 | 어보브반도체 FN GUIDE 종목분석 보기 |
반도체 칩(Microcontroller Unit) 생산/설계 팹리스 업체. 사물인터넷(IoT) 서비스에 적합한 비콘 칩 개발에 성공한 점이 시장에서 부각.
동사는 비메모리 반도체 중 가전,전기 제품에 두뇌 역할을 하는 반도체 칩인Microcontroller Unit(이하 MCU)를 설계, 생산하는 팹리스 기업임. 팹리스 회사의 특성상 제조는 파운드리 회사 및 후공정 회사에 외주를 주고 있으며, 당사는 핵심 설계 및 외주 생산관리를 통해 제품을 제조하고 있음. 연결대상 종속회사인 ABOV HK은 홍콩에 법인 소재지를 두고, 주로 중국에 판매를 하는 당사의 중국 판매법인임.
2021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12.6% 증가, 영업이익은 26.9% 감소, 당기순이익은 37.2% 감소. 반도체 공급 부족 및 생산단가 증가로 제조원가가 크게 증가하였고 이러한 원가 상승분을 판매가로 이전하지 못하면서 수익성이 악화됨. 최근 원팩을 인수하여 SK하이닉스 뿐만 아니라 삼성전자 반도체 테스트 일감도 확보할 수 있게 되면서 추후 실적이 개선될 것으로 예상됨.
LG전자 066570
LG전자 네이버 증권보기 | LG전자 FN GUIDE 종목분석 보기 |
스마트 가전 및 인공지능 가전, 스마트 홈 등 4차산업, 스마트홈 시대 주도주로 시장에서 부각.
동사와 종속기업의 주요사업부문은 Home Appliance & Air 솔루션, Home Entertainment, Mobile Communications, Vehicle component 솔루션 등 6개로 구분. OLED TV는 초슬림, 월페이퍼, 롤러블 TV 등 지속적인 혁신 제품 출시로 프리미엄 시장을 지속 선도하고 있음. 디스플레이 오디오와 내비게이션 영역에서는 동사의 디스플레이 및 소프트웨어 역량을 활용하여 제품 차별화중.
2021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32.1% 증가, 영업이익은 4.7% 증가, 당기순이익은 41.9% 감소. H&A(가전)은 코로나바이러스가 재확산된 일부 지역에서 수요가 주춤하였으나, 미국, 유럽 등 프리미엄 비중이 높은 선진시장에서의 판매 호조로 높은 수익성을 보여줌. 각종 지원금 및 자산 가격 상승 등으로 소비양극화가 심화되면서, 프리미엄 제품의 수요층이 넓어지고 있음.
이스트소프트 047560
이스트소프트 네이버 증권보기 | 이스트소프트 FN GUIDE 종목분석 보기 |
인터넷 소프트웨어 사업 영위 업체. 4차산업 인공지능 프로젝트 국책과제(지능형 인터랙션 기술 연구개발)를 수행하고 있는 점이 시장에서 부각.
동사와 주요 종속회사는 소프트웨어 사업, 보안사업, 포털사업, 게임사업/커머스/금융 등, 기타 인공지능(AI) 기반 신규사업 등을 영위하고 있음. '알툴즈'를 필두로 다양한 분야의 소프트웨어를 개발/판매하고 있으며 3,000만 명 이상의 개인 사용자와 정부 기관, 교육기관, 기업을 고객으로 확보중. '인공지능 기술 컨설팅', 클라우드 협업 플랫폼 '팀업’, 인공지능 시각 기술을 활용한 카메라앱 '피크닉' 등을 제공중.
2021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11.8% 증가, 영업이익은 124.8% 증가, 당기순이익은 214.5% 증가. 매출 증가와 비용 절감 등으로 수익성이 개선됨. 따라서 영업이익과 당기순이익 모두 증가함. 동사는 주요 검색 DB 업체와 제휴를 통해 검색 서비스 및 상품을 다양화함. 줌인터넷은 웹사이트 첫 화면이나 각 서비스 섹션의 화면에 광고가 노출되는 상품인 디스플레이 광고(DA) 판매를 수익도 창출하고 있음.
한컴MDS 086960
한컴MDS 네이버 증권보기 | 한컴MDS FN GUIDE 종목분석 보기 |
임베디드(Embedded) 솔루션 전문업체. 4차산업 혁명의 핵심인 융합과 스마트화를 위한 솔루션을 보유하고 있는 점이 시장에서 부각. 20년7월 4차 산업 중심의 지능형 사업부문 (IoT, AI, 보안, 테스팅/컨설팅 서비스 등)을 분할해 한컴인텔리전스 설립.
동사는 1998년 설립되었으며, 2006년 9월 26일 코스닥 시장에 주식을 상장함. 동사는 고객이 임베디드 시스템을 개발하는데 필요한 임베디드 개발 솔루션과 임베디드 소프트웨어 솔루션과 임베디드 하드웨어 솔루션을 주요 사업으로 하고 있음. AI, IoT, 빅데이터, 통신모듈, 로봇 등 미래 성장산업으로 대표되는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으며, 이러한 솔루션의 집약체인 로봇, 공유주차 서비스를 제공하며 관련 투자를 지속하고 있음.
2021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9.3% 증가, 영업이익은 13.7% 감소, 당기순이익은 31.1% 감소. 매출은 소폭 증가하고 인건비는 감소했으나 원가부담이 확대되어 영업이익과 당기순이익은 모두 감소함. IT 융합 확산으로 자동차 및 정보기기 시장 비중이 크게 증가하고 있음. 이는 연결기업의 사업 안정성 및 고객 다변화를 위하여 지속적으로 노력하고 있음을 나타내고 있음.
대성창투 027830
대성창투 네이버 증권보기 | 대성창투 FN GUIDE 종목분석 보기 |
창업투자회사. 향후 4차 산업혁명과 관련해 창업과 투자 생태계 조성 관련 수혜 기대.
동사는 벤처캐피탈의 도입초기였던 1987년에 설립되어 중소기업창업자 및 벤처기업에 대한 투자와 창업투자조합의 결성 및 업무의 집행 등을 주 업무로 하고 있음. 2010년 3월 사명을 대성창업투자 주식회사로 변경하였으며 부품소재, 에너지, 환경, ICT산업 및 문화콘텐츠 등에 특화함. 2019년에 투자한 기업인 웹케시, 이노테라피, 수젠텍, 캐리소프트가 코스닥 상장되었으며, 2020년에는 젠큐릭스가 코스닥 시장에 이전상장되었음.
2021년 6월 전년동기 대비 별도기준 매출액은 74.2% 증가, 영업이익 흑자전환, 당기순이익 흑자전환. 주요 영업수익은 투자조합 관련이며 동사가 2021년도 반기 기준 운용중인 조합은 총 14개로 해당 조합을 결성 및 운용하면서 수익을 발생시키고 있음. 현재 피엔에이치테크가 코스닥 시장에 이전 상장되었으며, 715억원(출자약정액 기준)규모의 조합을 결성, 총 3,826억원의 조합을 운용하고 있음.
오픈베이스 049480
오픈베이스 네이버 증권보기 | 오픈베이스 FN GUIDE 종목분석 보기 |
SK그룹 4차산업 투자 진행. SK와 네트워크 보안 및 빅데이터 솔루션 분야에서 협력.
동사는 각종 컴퓨터 및 관련 기자재의 제조/판매업, 각종 컴퓨터 통신장비 제조 판매및 통신 소프트웨어 개발업 등을 영위할 목적으로 1992년 9월 설립됨. 주력 사업부문은 스위치 제품군을 생산하는 네트워킹 솔루션, 스토리지 솔루션 사업 등이 있음. 빅데이터, AI, 디지털 뉴딜, 원격근무 등의 흐름은 클라우드 생태계의 확장을 가속화함. 향후 국내의 코로나 19로 인한 비대면 트렌드 확산은 클라우드 전환 속도를 가속화시킬 전망.
2021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17.9% 증가, 영업이익 흑자전환, 당기순이익 흑자전환. 매출 증가와 판관비 및 각종 비용 절감으로 영업이익과 당기순이익 모두 흑자전환함. IPS/MISP 사업자, 통신사업자, Portal, IDC 등 유/무선 인터넷 기반의 기업군과SKT, KT등ADSL 사업자, 증권사, 은행 등 일반 기업군 그리고, 공공기관 등을 주요 목표시장으로 설정함.
THQ 192410
THQ 네이버 증권보기 | THQ FN GUIDE 종목분석 보기 |
4차산업 관련 5G 인프라 구축이 필수적인 요소로 부각되는 가운데, SK텔레콤, KT, LG유플러스에 안테나를 공급 중.
동사는 안테나사업부와, 관광객을 대상으로 소비를 유도하고 면세점으로부터 송객수수료를 받는 여행사업인 인바운드플랫폼 사업부가 있음. 인바운드 플랫폼 사업은 관광객 대상으로 소비를 유도하는 사업임. 국내의 대형면세점들과 송객계약을 체결하고 유입된 여행객들의 구매액을 기준으로 일정 비율의 마케팅수수료를 받는 인바운드플랫폼 사업과 해외면세점 등의 유통망을 통한 상품판매 사업임.
2021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107.1% 증가, 영업이익 흑자전환, 당기순이익 흑자전환. 2021년 당분기말 기준 안테나 사업부의 매출액은 전년동기 대비 57.7% 증가한 12,488백만원을 시현하였고, 영업이익은 전년동기 대비 168.7% 증가한 1,496백만원을 시현함. 2021년부터는 지속적으로 해외시장 매출이 증가할 것으로 판단하고 5G SmallCell안테나, 친환경안테나 등을 통한 시장확대를 추진함.
우리기술투자 041190
우리기술투자 네이버 증권보기 | 우리기술투자 FN GUIDE 종목분석 보기 |
창업투자회사. 향후 4차 산업혁명과 관련해 창업과 투자 생태계 조성에 대한 기대감에 시장에서 수혜주로 부각.
여신전문금융업법상 신기술사업금융업, 시설대여업 및 할부금융업을 주요사업으로 영위하고 있음. 설립후 국내 벤처산업 전반(정보통신, 반도체, 소프트웨어, 바이오, 환경등)에 걸친 꾸준한 투자활동으로 1998년 부터 2007년까지 평균 납입자본수익률이 25%를 상회하며 성장해왔음. 스톤브릿지디지털PEF의 인크로스(주) 일부 매각을 통한 이익 배분과 장기 부실채권의 회수를 진행하였음.
2021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2023.5% 증가, 영업이익은 2306.4% 증가, 당기순이익은 2308.2% 증가. 영업수익의 전부문의 성장세가 두드러지며 외형은 크게 확대되며, 영업이익 또한 성장세를 유지함. 국내외 경기가 위축되는 상황에서 혁신이 가능한 벤처기업에 대한 발굴과 투자는 지속적으로 유지하고 시장 상황의 변화에 유연한 대응 속에서 수익 창출의 기회를 모색중임.
모바일어플라이언스 087260
모바일어플라이언스 네이버 증권보기 | 모바일어플라이언스 FN GUIDE 종목분석 보기 |
자동차 관련 전자부품 개발업체. ADAS(첨단운전자보조장치), HUD(헤드업디스플레이), 내비게이션 및 블랙박스 등 자율주행차 관련 사업을 영위하고 있는 점이 4차산업 수혜주로 부각.
동사는 2004년 4월 19일 설립된 스마트자율주행 솔루션 전문기업임. 딥러닝과 빅데이터 기반의 영상인식에 커넥티드 통신모듈이 연동된 플랫폼 제품, 레이더이벤트기록장치, 운전자보조시스템(ADAS), 졸음운전 감지장치, 헤드업디스플레이 (HUD) 등 스마트 자율주행 관련 제품을 생산중임. 주요 고객은 현대모비스와 함께 2014년 부터는 BMW, 아우디를 시작으로 벤츠 등의 글로벌 완성차 업체들임.
2021년 6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23.1% 감소, 영업이익은 69% 감소, 당기순이익은 16.1% 감소. 최근 국내에서도 자율주행 상용화 촉진법안이 본회의를 통과하였고 상용화에 우호적인 환경이 조성되고 있음. 동사는 2021년도에도 BMW, 아우디, 벤츠사로의 해외 수출 물량이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측, 해외 매출 증대를 위하여 회사의 역량을 집중할 예정.
에이디칩스 054630
에이디칩스 네이버 증권보기 | 에이디칩스 FN GUIDE 종목분석 보기 |
사물인터넷(IoT) 기기용 중앙처리장치(CPU)에 내장되는 핵심부품인 ARK 주노-S0과 ARK 주노-S1를 개발함에 따라 4차산업 수혜주로 시장에서 부각.
반도체 설계 및 유통 등을 영위 목적으로 1996년 4월 16일에 설립되어 2001년에 코스닥시장에 주식을 상장함. EISC MCU Core IP 개발/기술하여 사업과 ASSP 개발/판매 및 이를 이용한 보드/시스템 개발 판매하는 SOC사업, 냉동냉장고 제조판매사업, 반도체 유통, 패션사업 등을 영위함. 사업부문별 매출은 냉동냉장사업부문 80%, SOC사업부문 약 12%, 패션잡화부문 8%로 구성되어 있음.
2021년 9월 전년동기 대비 별도기준 매출액은 37.5% 증가, 영업손실은 202.6% 증가, 당기순손실은 1296.1% 증가. 매출은 증가했으나 원가 부담이 크게 상승하여 영업손실은 오히려 증가하는 모습을 보임. 현재 스마트 주방 가전의 전기 밥솥, 생활가전의 세탁기, 냉장고 등 스마트 가전 제품 그리고 사인패드, 핀 패드, 지폐계수기, 광파오븐레인지, 스마트 스위치 등에 적용되어 개발 및 판매가 진행되고 있음.
삼성에스디에스 018260
삼성에스디에스 네이버 증권보기 | 삼성에스디에스 FN GUIDE 종목분석 보기 |
컨설팅/SI, 아웃소싱 부분의 IT서비스 사업을 영위. 블록체인, AI/애널리틱스, 인텔리전트팩토리, 리테일 매장 혁신, 엔터프라이즈 모빌리티, IoT 등 자체 솔루션을 개발한 점이 시장에서 부각.
동사는 1985년 5월 1일에 설립되었으며, 2014년 11월 14일 한국거래소에 주식을 상장한 공개법인임. 동사가 제공하는 IT서비스는 크게 비즈니스 솔루션과 클라우드&ITO 서비스로 구분됨. 동사는 삼성 관계사를 대상으로 MES(생산관리시스템), ERP(전사적 자원관리 시스템) 등을 성공적으로 구축하는 등 삼성 관계사의 IT서비스 최적화를 지속적으로 지원하고 있음.
2021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21.6% 증가, 영업이익은 12.9% 증가, 당기순이익은 86.9% 증가. 물류서비스를 중심으로 매출액 증가세가 돋보이고 있음. 비용 증가에 따리 영업이익률은 조금 낮아졌지만, 영업이익 자체는 증가하는데 성공함. 삼성 관계사의 IT 경쟁력을 지속 강화하는 한편, 해외 IT서비스 시장 진출에 역량을 집중하고 있음.
큐렉소 060280
큐렉소 네이버 증권보기 | 큐렉소 FN GUIDE 종목분석 보기 |
의료용 로봇 제조/판매업체. 미국 소재 관계사(Think Surgical, Inc.)가 의료용 수술로봇 로보닥(Robodoc)을 생산. 4차산업 관련하여 의료용 로봇 도입 확대가 예상됨에 따라 수혜주로 시장에서 부각.
동사는 1992년 12월 29일 설립되어, 2002년 7월 코스닥 증권시장에 주식을 상장함. 동사의 의료기기사업부문은 정형외과 수술로봇인 티솔루션원, 재활치료로봇인 모닝워크와 기타 의료기기를 판매하며, 무역사업부문은 식품원료를 수입/판매함. 무역사업부의 상품은 발효유 원재료 매출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주요 품목은 치커리(chicory) 식이섬유, 결정과당 등이며, 이외의 매출품목은 과채음료 원재료, 라면 원재료 등임.
2021년 9월 전년동기 대비 별도기준 매출액은 4.7% 증가, 영업손실은 210.6% 증가, 당기순손실은 71.5% 증가. 동사 매출은 전년동기 대비 증가했으나 원가율 및 판관비, 인건비의 지속적인 상승으로 영업손실 및 당기순손실은 확대됨. 영업손실의 지속으로 적자 규모 또한 확대됨. 이자비용이 2,195% 증가하고 법인세 비용 또한 지속적으로 증가하면서 영업손실 폭을 확대함.
셀바스AI 108860
셀바스AI 네이버 증권보기 | 셀바스AI FN GUIDE 종목분석 보기 |
음성지능, 필기지능, 영상지능 등 AI 원천 기술을 보유한 국내 유일의 인공지능 업체로 4차산업 수혜주로 시장에서 부각.
동사는 음성지능, 필기지능, 영상지능 등 핵심기술을 바탕으로 한 다양한 인공지능 솔루션의 연구개발과 판매를 목적으로 1999년에 설립됨. 동사는 최고의 인공지능 핵심기술을 보유하며 스마트 디바이스뿐 아니라 메디컬, 헬스케어, 스마트카, 홈 IoT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함. 셀바스헬스케어는 아큐닉(ACCUNIQ), 힘스(HIMS) 전 사업부문의 제품 고도화를 위한 연구 개발에 대한 투자를 지속적으로 진행하고 있음.
2021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26.9% 증가, 영업이익 흑자전환, 당기순이익은 31.2% 감소. 원가율을 유지와 동시에 매출 확대와 판관비 절감 노력에 힘입어 영업이익이 흑자 전환함. 동사의 인공지능 기반의 HCI 기술(음성인식, 음성합성, 필기지능, 영상지능, 자연어처리 등)은 메디컬, 헬스케어, 교육, 모빌리티 등 그 적용범위가 다양함.
SK텔레콤 017670
SK텔레콤 네이버 증권보기 | SK텔레콤 FN GUIDE 종목분석 보기 |
4차산업 관련 5G 인프라 구축이 필수적인 요소로 부각되며 5G 통신망 투자 기대감이 시장에서 부각.
동사의 사업은 이동전화, 무선데이터, 정보통신사업 등의 무선통신사업, 전화, 초고속인터넷, 데이터 및 통신망 임대서비스 등을 포함한 유선통신사업, 플랫폼 서비스, 인터넷포털 서비스 등의 기타사업으로 구분됨. 시장점유율은 무선통신사업(MVNO제외) 약 47%, 초고속인터넷부문은 약 29%, IPTV부문은 약 30% 수준임. 연결대상종속회사는 SK텔링크, 11번가 등을 포함한 48개임. 금년중 지주회사와 존속회사로 분할할 예정.
2021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5.7% 증가, 영업이익은 16.5% 증가, 당기순이익은 88.4% 증가. 주력인 무선통신부문의 실적 확대와 함께 무선통신 및 커머스 등의 선전으로 영업수익 확대됨. 원가율 또한 개선되며 영업수익성 또한 비교적 큰 폭으로 증가한 모습. 실적 개선을 위해 5G 통신망 구축을 주도하고 빅데이터, AI를 접목한 서비스를 선보이는 등 다방면으로 노력 중임.
삼성전자 005930
삼성전자 네이버 증권보기 | 삼성전자 FN GUIDE 종목분석 보기 |
사물인터넷, 인공지능, 반도체(시스템반도체 포함), 가상현실 등 4차산업과 연관된 사업을 영위하고 있어 4차산업 핵심 수혜주로 시장에서 부각.
한국 및 CE, IM부문 해외 9개 지역총괄과 DS부문 해외 5개 지역총괄, Harman 등 234개의 종속기업으로 구성된 글로벌 전자기업임. 세트사업에는 TV, 냉장고 등을 생산하는 CE부문과 스마트폰, 네트워크시스템, 컴퓨터 등을 생산하는 IM부문이 있음. 부품사업(DS부문)에서는 D램, 낸드 플래쉬, 모바일AP 등의 제품을 생산하는 반도체 사업과 TFT-LCD 및 OLED 디스플레이 패널을 생산하는 DP사업으로 구성됨.
메모리시장이 호황인 가운데 폴더블폰과 OLED 판매가 늘어나 3분기 매출액은 70조를 넘어서며 사상 최대의 실적을 달성함. 첨단공정 확대와 환율 영향으로 영업이익률도 20%를 넘어섬. 4분기 메모리시장은 당초 예상 대비 부품 수급 이슈 장기화에 따른 수요 리스크 확대가 우려됨. 북미 서버업체들의 반도체 재고가 3분기 대비 30% 이상 축소되며 반도체 재고 소진 속도가 예상을 상회하여 반도체 가격 반등 시점이 앞당겨질 전망임.
포스코ICT 022100
포스코ICT 네이버 증권보기 | 포스코ICT FN GUIDE 종목분석 보기 |
IT서비스사업 및 시스템 엔지니어링사업 영위업체. 스마트 팩토리, 스마트 B&C, 스마트 에너지 등 포스코그룹 사업의 스마트화로 인한 수주 확대 기대감이 시장에서 부각.
동사는 소프트웨어 개발, 정보처리 및 정보통신서비스업 등을 영위할 목적으로 1989년 11월 15일에 설립되었으며 2000년 11월 28일 코스닥시장에 상장함. 동사와 연결대상 종속회사는 IT서비스 사업과 시스템 엔지니어링 사업을 영위하고 있으며 당사를 포함한 연결대상 회사는 총 5개사임. 4차 산업혁명 시대에 새로운 성장동력을 확보하기 위한 솔루션 사업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음.
2021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18.5% 감소, 영업이익 적자전환, 당기순이익 적자전환. 지배기업 세부 사업부 중 큰 비중을 차지하던 SMART 융합부문의 매출이 크게 감소하였고, 해당 사업부가 적자전환 함에 따라 전사 영업이익 또한 적자로 전환되었음. 향후 리스크가 야기될 수 있는 저수익/비핵심 사업들을 과감히 조정 하는 등 경영체질 강건화 혁신을 추진중에 있음.
알에스오토메이션 140670
알에스오토메이션 네이버 증권보기 | 알에스오토메이션 FN GUIDE 종목분석 보기 |
로봇시스템, 공작기계시스템, 일반 산업용 장비의 모션제어를 위해서 사용되는 4차 산업혁명의 핵심부품인 로봇 모션 제어기 및 드라이브 제품 생산 업체.
동사는 2009년 공장자동화장비의 개발, 생산 및 판매를 목적으로 설립되었으며 주요제품은 MMC-E 로봇 모션제어기, ESS용 전력변환장치(PCS) 등이 있음. 로봇 모션 제어 및 에너지 제어 장치를 제품군으로 보유한 국내 유일의 기업임. 동사가 제공하는 모션제어기 및 드라이브 제품들은 4차 산업혁명 및 이의 근간이 되는 IoT, 로봇, 스마트 팩토리 등의 핵심 장치들임.
2021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35% 증가, 영업이익은 560.4% 증가, 당기순이익 흑자전환. 동사는 에너지 제어장치의 핵심인 파워스텍, 로봇모션부문의 신제품과 출시예정인 제품(지능형 고성능 서보, 25bit 엔코더)을 기반으로 시장확대 추진 중. 최근 국내외 경기는 회복세를 나타내고 있고 특히 미국, 유럽 등 수출 확대와 국내 대기업의 설비투자 확대 등 주요고객과 맞춤형 솔루션 공동개발로 성장을 가속화함.
삼익THK 004380
삼익THK 네이버 증권보기 | 삼익THK FN GUIDE 종목분석 보기 |
메카트로시스템 및 LM시스템 사업 영위 업체. 한국로봇융합연구원, 삼성전자와 다관절로봇을 개발하는 등 산업용 로봇분야의 4차산업 유망 기업으로 시장에서 부각.
동사는 수공용 줄을 생산, 판매할 목적으로 1965년 설립되었으며, 이후 기타 기계 및 장비제품의 제조 및 판매 업종을 추가함. 산업설비자동화, 반도체 제조장비 및 시험장비 등에 필수요소 부품인 LM시스템과 LM가이드, 볼스크류, 서브모터, 감속기 등을 조합한 메카트로시스템 사업을 영위함. 동사는 주력품목인 LM시스템의 각종 적용 기술을 별도 기술지원홈페이지를 통하여 자료를 구축 및 고객 지원을 하고 있음.
2021년 9월 전년동기 대비 별도기준 매출액은 10% 증가, 영업이익은 16.2% 증가, 당기순이익은 47.2% 증가. 글로벌 경제회복에 힘입어 수출 및 설비투자를 중심으로 완만한회복세를 보이며 당기순이익이 대폭 증가하였음. 시장의 기존 상품 발굴, 제품개선 및 개발, 시스템 개발 및 프로세스 개선, 서비스 대응력 확보 등 다양한 마케팅 으로 업무 진행을 전개하며 자동화부품 시장을 선점할 재품 개발 활동 중임.
로보스타 090360
로보스타 네이버 증권보기 | 로보스타 FN GUIDE 종목분석 보기 |
제조용 로봇 및 자동화 장비 개발/생산하는 산업용 로봇 전문업체. 4차 산업혁명으로 인한 로봇 산업 성장 전망에 수혜주로 시장에서 부각.
동사는 1999년 2월에 산업용 로봇 제조업 등을 주 목적으로 설립되었으며, 2011년 10월 17일에 코스닥시장에 상장. 동사는 디스플레이, 자동차 등 다양한 제조현장에서 공정 내 자동화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활용되는 산업용 로봇, FPD장비, IT부품제조장비 등 제조 및 판매를 주요 사업으로 영위함. 동사의 제조용로봇의 주요제품은 이적재용 로봇으로, 시장점유율은 2019년 기준 10.6%를 차지함.
2021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10% 증가, 영업손실은 89.1% 감소, 당기순이익 흑자전환. 매출액 대폭 개선과 판관비 절감을 바탕으로 체질 개선에 성공하며 수익성 개선. 영업손실 대폭 감소하며 당기순이익 흑자전환에 성공함. 주52시간제 도입, 최저입금의 급격한 상승 등 노동환경 변화에 로봇시장이 부각됨에 따라 제조 산업 전반으로 스마트 팩토리, 로봇 적용 확대될 전망으로, 향후 수익성이 기대됨.
KT 030200
KT 네이버 증권보기 | KT FN GUIDE 종목분석 보기 |
4차산업 관련 5G 인프라 구축이 필수적인 요소로 부각되며 5G 통신망 투자 기대감이 시장에서 부각.
동사는 정보통신사업을 영위할 목적으로 1981년 12월 10일에 설립되었으며, 1998년 12월 23일 유가증권시장에 상장하였음. 무선통신, 초고속인터넷, IPTV 등 핵심사업에서의 지속적인 성장 뿐 아니라, IDC, Cloud, AI/DX 등 B2B 성장사업에서도 성과를 창출하며 디지털 플랫폼 기업(Digico.)으로 변화해 나가고 있음. 매출은 ICT 75.7%, 금융 14.54%, 위성방송 2.67% 등으로 구성됨.
2021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3.2% 증가, 영업이익은 27.4% 증가, 당기순이익은 61.3% 증가. 매출액 증가가 판관비, 인건비 등 비용의 증가를 상쇄하면서 영업이익과 당기순이익 모두 상승함. 국내 통신시장은 성숙기에 진입하여 성장이 쉽지 않은 상황임. 성장을 이어가기 위한 전략으로 비통신 사업을 키우고 있음. 모바일 커머스, 디지털 음악사업, 머천다이즈, 보안산업등 다양한 시도를 하고 있음.
모비스 250060
모비스 네이버 증권보기 | 모비스 FN GUIDE 종목분석 보기 |
인공지능 기술을 접목한 지능형 제어 솔루션을 개발하고 있는 점이 시장에서 부각.
동사는 2016년 설립되어 하나금융인수목적 주식회사와 합병을 통해 2017년 코스닥 시장에 상장하였고, 피합병회사인 모비스는 2000년 설립되었음. 동사는 국가 차원에서 수행되는 대형 과학 프로젝트인 빅사이언스 시설물 제어에 필요한 제어시스템 및 장비를 공급하는 사업을 영위하고 있음. 2018년 9월 블록체인 기반한 P2P 광고 플랫폼 및 솔루션 제공을 하는 블록베이스 지분을 획득함.
2021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6.7% 증가, 영업손실은 202.6% 증가, 당기순손실은 27% 증가. 동사의 주요 고객은 포항가속기연구소, 기초과학연구원,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국제 핵융합실험로, 국가핵융합연구소 등 국내외 연구 기관들임. 머신러닝을 적용할 수 있는 산업으로 사업을 확대하기 위해 임상CRO업체인 에이디엠코리아를 자회사로 편입 후 과학기술정책연구원에서 발표한 거대과학 글로벌 산업화전략을 추진.
에이스테크 088800
에이스테크 네이버 증권보기 | 에이스테크 FN GUIDE 종목분석 보기 |
안전주행 보조시스템(ADAS) 차량용 레이더 기술 보유, 주력 제품이 안테나, RRH 등으로 국내외 통신사 5G CAPEX 집행 본격화에 따른 4차산업 수혜가 기대됨.
2006년 에이스테크놀로지에서 인적분할해 에이스안테나로 설립 후, 2010년 에이스테크놀로지와 분할합병을 통해 현재 사명으로 변경. 사업분야는 모바일 네트워크 관련 장비사업으로, 기지국 안테나, 기지국용 RF장비, 모바일 디바이스용 안테나 그리고 RF 커넥터 등임. 신규사업으로 레이더, 유도무기체계,지휘통신체계,위성통신,데이터링크등의 방산용안테나 부문에 2008년부터 개발업체로 참여하여 매출이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음.
2021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6.5% 증가, 영업손실은 45.6% 감소, 당기순손실은 76.9% 감소. RF부품 사업호조에도 기지국안테나 제품 부진으로 외형 성장은 크지 않았으며, 판관비 통제에도 불구하고 영업손실 및 순손실을 보이며 적자 구조가 지속됨. 상용 기술보다 한단계 높은 기술력 확보로 시장 선도, 시장을 선도하는 신기술 제품개발로 고객욕구 충족 등의 판매전략을 보유하고 있음.
SBI인베스트먼트 019550
SBI인베스트먼트 네이버 증권보기 | SBI인베스트먼트 FN GUIDE 종목분석 보기 |
창업투자회사. 향후 4차 산업혁명과 관련해 창업과 투자 생태계 조성에 대한 기대감.
동사는 중소기업창업지원법에 근거하여 중소창업기업에 대한 투자 지원과 창업투자조합의 결성 등을 영위할 목적으로 1986년 11월 24일에 설립됨. 1989년 9월에 벤처캐피탈 업계 최초로 코스닥시장에 상장되어 코스닥시장에서 매매가 개시함. 동사의 주요 사업 분야는 창업자 및 벤처기업에 대한 투자, 창업투자조합의 결성 및 업무의 집행, 사모투자전문회사(PEF)의 설립 및 운용, 기업인수합병(M&A) 등임.
2021년 9월 전년동기 대비 별도기준 매출액은 35.7% 증가, 영업이익은 47.3% 증가, 당기순이익은 47.1% 증가. 포트폴리오의 산업별 구성은 기존 IT 업종 위주의 투자에서 생명공학, 환경, 엔터테인먼트 등의 업종으로 투자가 다양화되는 양상을 보이고 있음. 기업의 경영, 마케팅, 재무 관리의 전반에 걸쳐 조언을 하거나 정보를 제공하여 경영위기시 추가적인 자금공급 외에도 외부전문가의 활용 등을 통하여 투자기업을 육성함.
드림시큐리티 203650
드림시큐리티 네이버 증권보기 | 드림시큐리티 FN GUIDE 종목분석 보기 |
보안 솔루션 전문업체. 4차산업 혁명 핵심 중 하나인 보안 플랫폼 사업이 부각되면서 시장에서 수혜주로 부각.
동사는 자체 보유한 기술력 및 전문인력을 통해 행정, 공공기관, 금융기관, 일반업체 등 다양한 기관에 PKI/인증, 유선보안, 무선보안, 전자문서 보안 분야 등의 솔루션 공급 및 SI 사업을 영위함. 동사의 제품과 서비스는 대부분 정보보안산업의 정보보안제품 중 시스템 보안, 정보유출방지 및 암호인증분야에 집중되어 있음. 대체인증 수단의 필요성이 커지면서 FIDO 기반의 생체인증 기술을 개발하여 FIDO 글로벌 공인인증을 획득함.
2021년 6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24.6% 증가, 영업이익은 57% 증가, 당기순이익은 118.9% 증가. 5G 서비스 환경에서 프라이버시가 보장되는 자기통제형 분산 디지털 신원 관리 및 보안 기술 개발을 진행하며 추후 매출이 기대됨. 동사는 글로벌 웹브라우저의 비표준웹기술 지원중단(Npapi중단)에 대응해 논액티브X(Non ActiveX) 기반의 인증 기술을 개발하고 있음.
NAVER 035420
NAVER 네이버 증권보기 | NAVER FN GUIDE 종목분석 보기 |
자율주행, 로보틱스, 인공지능기반 대화시스템 등 4차 산업혁명 관련 연구를 가장 적극적으로 추진.
동사는 국내 1위 포털 서비스를 기반으로 광고, 쇼핑, 디지털 간편결제 사업을 영위하고 있으며, 공공/금융 분야를 중심으로 클라우드를 비롯한 다양한 IT 인프라 및 기업향 솔루션 제공을 확대해가고 있음. 웹툰, Zepeto, V LIVE 등 다양한 콘텐츠 사업을 통해서도 글로벌 사업 기반을 확장하고 있는 ICT 기업임. 네이버파이낸셜, 네이버 클라우드 등 연결대상 종속회사 76개를 보유함.
2021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29% 증가, 영업이익은 9.3% 증가, 당기순이익은 2699.8% 증가. 팬데믹에 따른 비대면 트렌드의 가속화로 전 사업부문 실적이 고르게 성장함. 2021년에는 Wattpad 인수를 통해 글로벌 1위 스토리텔링 플랫폼으로 진화, 원천 IP확보를 통한 IP사업 다각화에 집중하고 있음. 또한 하이브의 자회사인 위버스컴퍼니와 함께 통합 팬십 플랫폼을 출시할 계획임.
LG유플러스 032640
LG유플러스 네이버 증권보기 | LG유플러스 FN GUIDE 종목분석 보기 |
4차산업 관련 5G 인프라 구축이 필수적인 요소로 부각되며 5G 통신망 투자 기대감에 시장에서 부각.
동사는 LG그룹 계열사로 무선, 스마트홈, 기업서비스 시장의 통신 사업을 영위함. 엘지헬리보진, 아인텔레서비스, 미디어로그 등을 연결대상 종속회사로 보유함. 2021년 2분기 별도 기준 서비스수익 중 무선서비스 비중은 57.7%, 스마트홈 22.0%, 기업인프라 15.9%, 전화 서비스 수익은 4.4%임. 2021년 2분기 말 기준 시장 점유율은 무선서비스 24%, 초고속인터넷 20.5%, IPTV 25.7% 등임.
2021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3.4% 증가, 영업이익은 15.5% 증가, 당기순이익은 10.8% 감소. 매출 증가가 판매비와 관리비, 인건비 및 복리후생비 등 주요 비용 증가를 상쇄하며 수익이 증가함. 자사주 1000억원어치 매입 계획을 발표하고 중간배당을 도입하는 등 주주 환원 정책도 이어가고 있음. 콘텐츠 사업 투자를 늘리는 등 비통신 매출 비중을 2025년 30%로 끌어올리기 위해 노력 중임.
TS인베스트먼트 246690
TS인베스트먼트 네이버 증권보기 | TS인베스트먼트 FN GUIDE 종목분석 보기 |
창업투자회사. 향후 4차 산업혁명과 관련해 창업과 투자 생태계 조성에 대한 기대감.
2008년 설립된 동사는 중소기업창업투자회사로서 창업자 및 벤처기업에 대한 투자, 중소기업창업투자조합 결성 및 운용을 주요사업으로 영위함. 기업구조조정전문회사에서 중기창업투자회사로 전환 후 지속적으로 중소벤처 M&A펀드를 결성, 운용하며 전문성을 확보함. 2019년 4월 스타트업 전문 투자회사인 뉴패러다임인베스트먼트를 인수함. 2021년 9월말 현재 운영 중인 조합은 12개로 운영자산(AUM)은 8,241억원을 기록하고 있음.
투자주식처분이익과 성과보수가 줄었으나, 조합관리보수와 지분법이익이 늘어남에 따라 3분기 누적 영업수익은 전년동기 대비 15.6% 증가함. 판관비 증가에도 불구하고 외형확대에 따른 고정비용 부담완화로 영업이익도 소폭 늘어남. 신규투자 기준으로 2015년부터는 ICT서비스, 바이오/의료가 주요업종임. 2020년 6월에 1,230억원 규모의 엑시트제2호펀드, 12월에는 국민연금 등의 출자로 1,193억원 규모의 M&A성장조합을 결성함.
디지탈옵틱 106520
디지탈옵틱 네이버 증권보기 | 디지탈옵틱 FN GUIDE 종목분석 보기 |
지능형 서비스 로봇 개발, 판매, 로봇모듈 사업을 영위중인 퓨처로봇 지분 보유.
동사는 2000년 3월 14일 비구면광학렌즈 설계 및 양산기술을 바탕으로 휴대폰용 카메라렌즈 등에 적용되는 이미지용 광학계 시스템 등 모든 광응용시스템의 개발 및 생산을 주 영업 목적으로 설립됨. 비구면 광학 렌즈 원천 설계 및 양산기술을 동시 보유한 전문회사로서 차량용 렌즈와 프로젝션 방식의 디스플레이용광학투사계 렌즈의 개발과 제조,판매등을 주요 사업으로 영위하고 있음.
2021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32.1% 감소, 영업손실은 9.5% 증가, 당기순손실은 35.5% 감소. 동사의 최대주주인 ㈜노블바이오는 진단시약 분야와 생명과학 분야의 친환경적이고 혁신적인 기술개발로 급변하는 시장의 흐름에 맞추어 빠르게 성장하고 있음. 최대주주 최근 총판권계약 및 공동사업화 MOU를 체결. 코로나19 검체채취용 수송배지 키트 관련 수익을 극대화할 수 있는 매출 신장을 기대할 수 있을 전망
지엔씨에너지 119850
지엔씨에너지 네이버 증권보기 | 지엔씨에너지 FN GUIDE 종목분석 보기 |
비상용 발전기사업을 주력으로 영위하는 업체. IDC(인터넷데이터센터) 및 R&D센터 건설 증가에 따른 비상 전력설비 수요 증가 기대감으로 4차산업 동반 성장주로 시장에서 부각.
동사는 1989년 개인사업자로 창립하여, 1993년 법인 전환 하였으며, 2013년 한국거래소 코스닥상장에 주식을 상장함. 주력사업부는 비상 및 상용 발전기사업에 해당. IDC 및 R&D센터, 발전소 및 플랜트, 대형복합쇼핑몰, 주택 등 다양한 수요처를 확보 및 안정적인 수익을 창출. 연결대상 회사인 지엔원에너지가 영위하는 주요사업은 수소에너지를 이용하여 전기를 생산하는 연료전지사업의 설계와 시공을 주 업종으로 하고 있음.
2021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7.7% 감소, 영업이익은 1.5% 감소, 당기순이익은 5% 감소. 매출액 감소와 판매비와 관리비의 증가로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소폭으로 감소함. 당기순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흑자전환에 성공함. 최근에는 새롭게 신재생에너지로 인정 받는 수열 냉난방 시스템 관련 연구와 수주를 위한 영업 활동을 활발히 진행하고 있음.
롯데정보통신 286940
롯데정보통신 네이버 증권보기 | 롯데정보통신 FN GUIDE 종목분석 보기 |
롯데그룹 계열의 SM(System Management) 및 SI(System Integration) 전문 업체. AI, 빅데이터, 블록체인, IoT, 클라우드 컴퓨팅 등 4차 산업혁명,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관련분야 신사업 추진중.
동사와 연결종속회사가 영위하고 있는 사업은 SM(System management)사업 및 SI(System Integration)사업으로 구성되어 있음. 동사의 SM사업은 롯데 그룹 내 유통, 식품, 화학, 서비스 등의 다양한 산업군의 IT시스템을 안정적으로 운영하고 있음. 동사의 SI사업은 SM사업 경험을 기반으로 영업ㆍ제안 역량을 집중하여 SOC, 금융, 민간 기업의 SI사업과 ASP사업에도 영역을 확장하고 있음.
2021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8.1% 증가, 영업이익은 30% 증가, 당기순이익은 40.9% 증가. SI사업의 매출은 574,390(백만원) 이며 전체 사업의 83.32%를 구성하고 있고, 나머지 16.68%는 SM사업 매출임. SI사업의 경우 4차 산업혁명 중심사업인 빅데이터, 클라우드 컴퓨팅, 스마트 팩토리, 스마트 로지스틱스, 메타버스 등 신성장 사업에 집중하고 있음.
인피니트헬스케어 071200
인피니트헬스케어-일봉차트
인피니트헬스케어 네이버 증권보기 | 인피니트헬스케어 FN GUIDE 종목분석 보기 |
의료영상 저장 전송 시스템(PACS) 솔루션 전문업체. 스마트 헬스케어 기기 등 4차산업 혁명을 견인할 유망 시험인증 서비스 활성화 계획 수혜주로 시장에서 부각.
동사는 2002년 주식회사 메디페이스와 주식회사 쓰리디메드의 신설합병을 통해 설립된 회사로, 의료용 소프트웨어를 판매하고 유지보수하는 서비스를 주요사업으로 영위하고 있음. 국내 PACS 시장 점유율 1위 기업임. PACS는 의료기기에서 획득한 영상을 의료 표준에 따라 디지털화하여 저장, 전송 및 관리하는 시스템임. 당사의 국내 및 해외 종속회사는 총 11개이며, 이 중 국내 법인은 2개, 해외 법인은 9개를 보유하고 있음.
2021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8.8% 증가, 영업이익은 12.3% 감소, 당기순이익은 215.4% 증가. 정보보안의 위협을 효과적으로 인지하고 통제할 수 있도록 국제정보보호경영시스템 ISO/IEC 27001 인증을 취득하여 이와 같은 시장의 추세에 대한 준비를 하고 있음. 현재 건강보험심사평가원 등재 병원 현황 기준으로 상급종합병원급 시장 75%, 종합병원급 시장 70%의 압도적인 점유율을 유지하고 있음.
SGA솔루션즈 184230
SGA솔루션즈 네이버 증권보기 | SGA솔루션즈 FN GUIDE 종목분석 보기 |
통합보안 솔루션업체. 생체정보를 통한 본인인증 방식인 이른바 '파이도(FIDO) 인증 클라우드' 사업을 추진중.
동사는 보안운영체제, 응용보안 및 전자문서 솔루션 사업, 엔드포인트 보안의 정보보안 사업, 모토로라솔루션 무전솔루션판매를 통한 물리보안 사업을 진행중임. 정보보안은 네트워크 보안 시스템 개발, 시스템보안 솔루션 개발 분야의 매출 비중이 높음. '패치체이서(Patch Chaser)'는 자사의 패치관리시스템으로 국내 최초로 CC인증을 획득하였으며, 현재 공공기관 시장에서 높은 점유율을 차지함.
2021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39.1% 감소, 영업이익은 3180% 증가, 당기순손실은 1.5% 증가. 매출의 감소에도 매출원가와 판관비의 절감노력에 힘입어 영업이익은 대폭 성장에 성공함. 강화되는 시스템 보안 관련 법규 및 산업 규정으로 인해 시스템보안 시장의 규모는 더욱 증가될 것으로 예상됨. 2020년 시행된 전자문서 및 전자거래기본법 일부개정으로 동사의 강력한 위치를 공고히 할 것으로 예상됨.
SK 034730
SK 네이버 증권보기 | SK FN GUIDE 종목분석 보기 |
SK그룹 4차산업 투자 진행중. 사물인터넷(IoT), 빅데이터, 클라우드, 인공지능을 결합한 종합 스마트팩토리 솔루션 ‘스칼라’를 만들어 중국 홍하이그룹 충칭공장 프린터 생산설비를 구축하는 등 스마트팩토리 본격 성장 기대감이 시장에서 부각.
1991년 설립, 2009년 유가증권 상장. 2015년 8월 (구)SK주식회사를 흡수합병하고 사명을 SK C&C에서 SK주식회사로 변경하였으며, SK그룹의 지주사임. 주요 사업은 별도 재무제표 기준으로 자회사의 제반사업 내용을 관리하는 지주사업 및 IT서비스 등을 영위하는 사업부문으로 구분됨. 연결대상 종속회사는 SK이노베이션, SK텔레콤, SK네트웍스, SKC, SK머티리얼즈, SK바이오팜, SK E&S 등 총 349개사임.
SK E&S, SK실트론, SK팜테코 등 비상장 자회사들의 실적 개선으로 상반기 매출액은 전년동기 대비 8.9% 증가했으며, 영업이익은 대규모 흑자로 전환됨. SK이노베이션은 10월 1일을 기일로 배터리 사업 부문과 E&P 사업 부문을 물적 분할하기로 결정함. 동사가 신주를 발행해 SK머티리얼즈 주식과 교환하는 형태로 흡수합병할 계획임. SK머티리얼즈가 특수가스 등 사업 부문을 물적 분할한 후 존속 지주 부문이 동사와 합병함.
유니퀘스트 077500
유니퀘스트 네이버 증권보기 | 유니퀘스트 FN GUIDE 종목분석 보기 |
비메모리 및 메모리 반도체를 이용한 솔루션 공급업체. 모바일 및 전장, 헬스케어 제조 등을 영위하는 드림텍 지분 보유.
비메모리반도체 솔루션 공급사업을 영위할 목적으로 1993년 개인회사로 시작하여 1995년 11월 법인으로 전환함. 해외 유수의 비메모리 반도체 제조사로부터 우수한 반도체를 국내시장에 공급할 수 있는 대리점계약을 통해 반도체를 포함한 기술지원, 교육 등 토탈솔루션사업을 영위함. 2021년 6월말 현재 종속회사는 AI매틱스(ADAS솔루션) 1개사임. 창업투자조합 3곳에 투자함. 드림텍, 나무가, 드림텍과 AI매틱스을 계열회사로 둠.
반도체 유통부문의 호조로 3분기 누적 매출액은 전년동기 대비 53.0% 늘었으며, 고정비용 부담 감소로 영업이익은 전년동기의 3배 이상으로 급증함. 계열사에 대한 지분법이익도 대폭 증가함. 산업용장비 부문의 경우 DDR4 메모리 테스트장비에 들어가는 비메모리 반도체에 대한 높은 수요로 매출이 크게 증가함. 자회사 에이아이매틱스가 모빌리티 전용 사물인터넷 통신솔루션 전문기업 아이오티링크, 차량관제솔루션 전문기업 이트레이스를 인수함.
대성엘텍 025440
대성엘텍 네이버 증권보기 | 대성엘텍 FN GUIDE 종목분석 보기 |
17년9월 '4차 산업혁명시대 글로벌 경쟁력 확보를 위한 스마트 모듈형 IVI플랫폼 및 핵심기술 개발' 국책과제 선정.
동사는 1979년 대성정밀로 설립됐다가 1999년 대성엘텍으로 상호변경하였으며, 1995년 코스닥 시장에 상장됨. 카오디오, 앰프 등 자동차용 멀티미디어 제품을 주력으로 생산함. 주요 고객인 현대모비스에 납품한 제품은 최종적으로 완성차 메이커인 현대/기아차에 판매됨. 알파인에 납품한 제품은 일본 도요타, 미국 크라이슬러 등 글로벌 자동차 브랜드에 판매되고 있음.
2021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13.2% 증가, 영업손실은 6050% 증가, 당기순손실은 610.7% 증가. 외형 확대 영향에도 불구하고 원가의 동반 성장으로 영업손실의 적자폭은 확대됨. 동사는 차량용 멀티미디어 상품을 개발하고 있으며, 기존 WIN CE OS를 탑재한 제품군에서 안드로이드 기반의 차량 멀티미디어 복합 제품군으로 확대 개발 진행중임.
푸른기술 094940
푸른기술 네이버 증권보기 | 푸른기술 FN GUIDE 종목분석 보기 |
무인 자동화기기관련 제품을 생산하고 있는 점이 4차산업 수혜주로 시장에 부각.
1997년 7월 26일에 설립됨. 2007년 9월 14일에 주식을 코스닥시장에 상장함. 모듈사업에서 시스템 사업으로 수직계열화를 통한 사업규모를 확장하는 방향으로 사업을 진행하고 있음. 동사의 사업은 정밀 메카트로닉스 기술과 인식 기술을 바탕으로 한 금융자동화(금융&VAN), 역무자동화(철도&지하철) 및 특수단말시스템(On-Line 단말기&Kiosk) 분야를 기반으로 함.
2021년 6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43% 증가, 영업손실은 146.3% 증가, 당기순이익 흑자전환. 현재 금융자동화가 비중이 약 매출의 39%로 가장 크며, 한국전자금융 등에 보급형 CD등 및 북미시장에 ATM등을 공급하고 있음. 역무자동화의 공격적 영업을 통하여 국내외 시장에서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으며, 신규사업분야로 협동로봇 및 의료로봇의 개발을 통하여 사업의 영역을 확대하고 있음.
알서포트 131370
알서포트 네이버 증권보기 | 알서포트 FN GUIDE 종목분석 보기 |
원격지원 소프트웨어(SW)분야에서 한국과 일본 시장 1위 원격 소프트웨어 개발업체라는 점이 시장에서 부각.
동사는 2010년 7월 20일 설립되어 2013년 12월 20일을 합병기일로 하여 알서포트(주)와 합병하였으며, 상호를 알서포트(주)로 변경함. 동사와 종속회사는 원격 소프트웨어 개발 및 공급 (원격 지원 및 제어 솔루션) 사업을 영위하고 있음. 동사는 세계 최초의 안드로이드기반 모바일 원격지원 솔루션인 리모트콜 모바일팩을 출시하여 신규 시장을 리드하고 있음.
2021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14.5% 증가, 영업이익은 12% 증가, 당기순이익 흑자전환. COVID-19로 인한 비대면 산업의 급성장 등에 힘입어 매출액 및 영업이익이 눈에 띄게 증가함. 동사는 현재 Cash cow 역할을 하고 있는 B2B 분야에 대한 사업을 강화하고, 동시에 B2C 사업을 확대하여 사업적인 안정성과 성장성을 목표로 함.
비트컴퓨터 032850
비트컴퓨터 네이버 증권보기 | 비트컴퓨터 FN GUIDE 종목분석 보기 |
의료정보사업 및 디지털헬스케어사업, IT교육사업 영위업체. 스마트 헬스케어 기기 등 4차산업 혁명을 견인할 유망 시험인증 서비스 활성화 계획 수혜 기대.
동사는 1983년 8월 15일에 설립되었으며 1997년 7월 4일 코스닥시장에 상장됨. 주요 사업으로는 의료정보사업, 디지털헬스케어사업 및 IT교육사업을 영위하고 있음. 2016년 의료법 개정으로 의료기관도 클라우드 도입이 허용되며, 다양하고 고도화되는 IT인프라의 도입에 대한 수요가 증가함. 의료정보사업은 그 특성상 타 사업분야에 비해 경기변동에 영향을 적게 받음.
2021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4.2% 증가, 영업이익은 27% 증가, 당기순이익은 4.5% 증가. 매출증가와 매출원가 감소 노력에 힘입어 영업이익 개선을 이루어 냄. 2020년 11월 개인건강기록(PHR) 중심의 통합 의료정보 플랫폼 구축 사업을 완료함. 서비스 수준에 대한 소비자의 관심 증대, 의료 패러다임의 변화 등 의료서비스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어 매출이 확대될 전망임.
'테마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율주행차 테마 관련 수혜주 대장주 주식 종목 총정리 (0) | 2022.01.09 |
---|---|
은행 테마 관련 수혜주 대장주 주식 종목 총정리 (0) | 2022.01.09 |
치매 테마 관련 수혜주 대장주 주식 종목 총정리 (0) | 2022.01.08 |
MLCC 적층세라믹콘덴서 테마 관련 수혜주 대장주 주식 종목 총정리 (0) | 2022.01.08 |
증권사 테마 관련 수혜주 대장주 주식 종목 총정리 (0) | 2022.01.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