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마정보 / / 2022. 1. 4. 08:11

5G 5세대 이동통신 테마 관련 수혜주 대장주 주식 종목 총정리

5G(5세대 이동통신) 테마 개요

5G란 ‘5th 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s’의 약자로 초고대역 주파수를 사용하는 통신 기술임. 5G는 최저 100Mbps에서 최대 20Gbps의 다운로드 속도를 낼 수 있으며, 4G LTE에 비해 70배 이상 빠른 수준임. 또한, 1㎢ 반경 안에서 100만개 기기에 사물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시속 500㎞ 고속열차에서도 자유로운 통신이 가능한 것으로 알려짐. 이에 따라 끊김없이 많은 양의 데이터를 중앙 서버와 주고받아야 하는 자율주행차 및 사물인터넷 분야에서 5G 기술이 빠르게 도입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음.

 

5G(5세대 이동통신)

5G(5세대 이동통신) 관련 종목

LG전자 066570

LG전자-일봉차트

 

LG전자 네이버 증권보기 LG전자 FN GUIDE 종목분석 보기

5G표준에서 핵심적으로 요구되는 80MHz 광대역 주파수 대역폭에서 FDR 기술을 연세대와 공동 개발해 시연 성공. 퀄컴과 공동으로 셀룰러 차량통신 기술 개발 예정. 5G C-V2X 기술을 개발.

 

동사와 종속기업의 주요사업부문은 Home Appliance & Air 솔루션, Home Entertainment, Mobile Communications, Vehicle component 솔루션 등 6개로 구분. OLED TV는 초슬림, 월페이퍼, 롤러블 TV 등 지속적인 혁신 제품 출시로 프리미엄 시장을 지속 선도하고 있음. 디스플레이 오디오와 내비게이션 영역에서는 동사의 디스플레이 및 소프트웨어 역량을 활용하여 제품 차별화중.

 

2021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32.1% 증가, 영업이익은 4.7% 증가, 당기순이익은 41.9% 감소. H&A(가전)은 코로나바이러스가 재확산된 일부 지역에서 수요가 주춤하였으나, 미국, 유럽 등 프리미엄 비중이 높은 선진시장에서의 판매 호조로 높은 수익성을 보여줌.  각종 지원금 및 자산 가격 상승 등으로 소비양극화가 심화되면서, 프리미엄 제품의 수요층이 넓어지고 있음.

 


이수페타시스 007660

이수페타시스-일봉차트

 

이수페타시스 네이버 증권보기 이수페타시스 FN GUIDE 종목분석 보기

Next Generation Network용 PCB 개발. 5G Base Station PCB 개발. 고성능 라우터·스위치용 초고다층 인쇄회로기판(PCB, Printed Circuit Board)을 생산.

 

동사는 1972년 설립돼 2003년 유가증권시장에 상장함. 인쇄회로기판(PCB) 제조와 판매가 동사 주요 사업임. PCB 제조업체 이수엑사보드, 제조업 및 수출입업체 미국법인 ISU Petasys Corp., PCB 제조사 중국법인 ISU Petasys Asia Limited를 연결대상 종속회사로 보유함. 대구광역시에 공장을 운영하고 있으며, 코리아써키트, 인터플렉스 등이 주요 경쟁사임.

 

2021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12.8% 감소, 영업이익은 538.8% 증가, 당기순손실은 11.5% 증가. 내수용 PCB제품은 가격이 하락했으나 수출용 PCB 가격이 상승하였고, 재고자산의 변동으로 인해 비용구조가 개선되었음. IT 산업 기술의 첨단화와 정보통신장비의 고성능화, 디스플레이 등의 수요 증가로 인해 PCB 산업은 지속적으로 발전할 것으로 예상됨.

 


대덕전자 353200

대덕전자-일봉차트

 

대덕전자 네이버 증권보기 대덕전자 FN GUIDE 종목분석 보기

인쇄회로기판(PCB)의 제조 및 판매를 주요사업으로 영위하는 업체. 삼성전자에 통신장비용 PCB(MLB)를 공급하고 있는 점이 시장에서 부각.

 

동사는 인적분할로 설립된 신설회사로 2020년 5월 재상장하였으며 분할 전 회사인 대덕의 사업 중 PCB(인쇄회로기판) 사업부문을 영위하고 있음. 동사는 반도체 및 Mobile 통신기기 등 각 분야에 걸쳐서 첨단 PCB를 공급하고 있음. 4차 산업을 주도할 5G통신, 인공지능, 빅데이터 등의 기술에 요구되는 대용량, 다기능화, 초박판화에 대응하기 위해 선행기술을 확보하여 첨단 제품을 생산하고 있음.

 

2021년 6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213.1% 증가, 영업이익은 231.3% 증가, 당기순이익 흑자전환. 단일영업부문인 PCB의 제조 매출이 크게 증가하였으며 외환차익의 증가, 유형자산처분·손실의 감소 등으로 순이익 또한 크게 증가하였음. Mobile IT와 DATA 센터산업의 발달에 따른 반도체 시장의 성장과 5G Network 확대, 스마트폰의 고성능화 등으로 PCB 산업의 지속적인 성장이 예상됨.

 


THQ 192410

THQ-일봉차트

 

THQ 네이버 증권보기 THQ FN GUIDE 종목분석 보기

통신 및 방송장비 전문 제조업체. SK텔레콤과 KT, LG유플러스에 지속적으로 안테나를 공급하고 있으며, 5G 이동통신 기술 기반의 기지국 안테나 공급.

 

동사는 안테나사업부와, 관광객을 대상으로 소비를 유도하고 면세점으로부터 송객수수료를 받는 여행사업인 인바운드플랫폼 사업부가 있음.   인바운드 플랫폼 사업은 관광객 대상으로 소비를 유도하는 사업임.  국내의 대형면세점들과 송객계약을 체결하고 유입된 여행객들의 구매액을 기준으로 일정 비율의 마케팅수수료를 받는 인바운드플랫폼 사업과 해외면세점 등의 유통망을 통한 상품판매 사업임.

 

2021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107.1% 증가, 영업이익 흑자전환, 당기순이익 흑자전환. 2021년 당분기말 기준 안테나 사업부의 매출액은 전년동기 대비 57.7% 증가한 12,488백만원을 시현하였고, 영업이익은 전년동기 대비 168.7% 증가한 1,496백만원을 시현함. 2021년부터는 지속적으로 해외시장 매출이 증가할 것으로 판단하고 5G SmallCell안테나, 친환경안테나 등을 통한 시장확대를 추진함.

 


이루온 065440

이루온-일봉차트

 

이루온 네이버 증권보기 이루온 FN GUIDE 종목분석 보기

이동통신 솔루션 및 부가서비스 전문업체. 미래부가 진행하고 있는 5G 모바일코어 네트워크 기술 일환인 '네트워크기능가상화(NFV)' 연구개발 신규과제 수행기업으로 선정된 바 있음.

 

동사는 이동통신 솔루션 및 부가서비스 전문기업으로 1998년 창업된 이래 통신산업에서 핵심 솔루션 및 관련 서비스를 지속적으로 공급하고 있음. 한국표준산업분류의 소프트웨어 개발 및 공급업을 주된사업으로 하며 특히 유무선 통신사업분야를 영위하고 있음. 기술력과 다양한 제품군에 대한 실적 레퍼런스를 기반으로 하여 국내 이동통신사업자인 KT 및 LG U+ 등에 이동통신 주요 솔루션 및 시스템을 공급함.

 

2021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24.4% 증가, 영업이익 흑자전환, 당기순이익은 43.3% 감소. 위치기반 모바일 광고의 해외시장을 개척하고 있음. 인도네시아 통신사인 XL telecom과 사업제휴를 통해 사업규모를 점차 확대 중임. 미국의 ACTIFIO사와 총판계약을 체결하여 국내 스토리지 가상화 시장에 진출하였고, 독일 오토쿠니케와 총판계약 체결 이후 IC카드 검수기, 발송기, 분류기 사업을 진행중임. 

 


유비쿼스 264450

유비쿼스-일봉차트

 

유비쿼스 네이버 증권보기 유비쿼스 FN GUIDE 종목분석 보기

통신사업자와 연계하여 5G 서비스의 유선 인프라 장비인 백홀/프론트홀 장비 개발. 5G 전송망 1차 투자 백홀 Acess 장비 공급계약을 수주한 바 있음.

 

2017년  3월 31일 한국거래소 코스닥시장에 재상장되었음. 유선 통신장비 제조업에 포함되는 인터넷 통신 네트워크 장비 전문기업임. 이더넷스위치, FTTH(E-PON, GE-PON, WDM-PON) 솔루션, G.hn 솔루션 등엑세스망장비의 Full Line-up을 갖춘 네트워크장비 전문기업임. 동사는 유선인터넷 데이터전송장비의 제조 및 판매를 주력사업으로 영위하는 기업임.

 

2021년 9월 전년동기 대비 별도기준 매출액은 30.9% 증가, 영업이익은 56.4% 증가, 당기순이익은 62.4% 증가. 국내 환경이 악화된 상황에서 동사는 경쟁력 있는 기술력을 바탕으로 시장점유율을 꾸준히 유지하며 기업시장 및 해외사업을 정비하며 신규 시장 확대를 준비함. 네트워크 장비 시장은 인터넷 가입자 수에 큰 영향을 받고 있으며, 통신사업자의 5G 무선 투자가 이후 10기가 증설 따른 당사의 장비 매출 확대가 예상됨.

 


SK텔레콤 017670

SK텔레콤-일봉차트

 

SK텔레콤 네이버 증권보기 SK텔레콤 FN GUIDE 종목분석 보기

SK그룹 계열의 국내1위 통신사업자. 5G 상용화를 위해 SDN(Software-Defined Networks, 소프트웨어 정의 네트워크)과 NFV(Network Functions Virtualization, 네트워크 기능 가상화) 구현 진행중.

 

동사의 사업은 이동전화, 무선데이터, 정보통신사업 등의 무선통신사업, 전화, 초고속인터넷, 데이터 및 통신망 임대서비스 등을 포함한 유선통신사업, 플랫폼 서비스, 인터넷포털 서비스 등의 기타사업으로 구분됨. 시장점유율은 무선통신사업(MVNO제외) 약 47%, 초고속인터넷부문은 약 29%, IPTV부문은 약 30% 수준임. 연결대상종속회사는 SK텔링크, 11번가 등을 포함한 48개임. 금년중 지주회사와 존속회사로 분할할 예정.

 

2021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5.7% 증가, 영업이익은 16.5% 증가, 당기순이익은 88.4% 증가. 주력인 무선통신부문의 실적 확대와 함께 무선통신 및 커머스 등의 선전으로 영업수익 확대됨. 원가율 또한 개선되며 영업수익성 또한 비교적 큰 폭으로 증가한 모습. 실적 개선을 위해 5G 통신망 구축을 주도하고 빅데이터, AI를 접목한 서비스를 선보이는 등 다방면으로 노력 중임.

 


삼성전자 005930

삼성전자-일봉차트

 

삼성전자 네이버 증권보기 삼성전자 FN GUIDE 종목분석 보기

5G 무선통신용 밀리미터파 무선고주파집적회로(RFIC) 칩 자체 개발에 성공. 18년 노키아, 에릭슨 등과 함께 통신3사 5G 네트워크 장비 공급업체로 선정.

 

한국 및 CE, IM부문 해외 9개 지역총괄과 DS부문 해외 5개 지역총괄, Harman 등 234개의 종속기업으로 구성된 글로벌 전자기업임. 세트사업에는 TV, 냉장고 등을 생산하는 CE부문과 스마트폰, 네트워크시스템, 컴퓨터 등을 생산하는 IM부문이 있음. 부품사업(DS부문)에서는 D램, 낸드 플래쉬, 모바일AP 등의 제품을 생산하는 반도체 사업과 TFT-LCD 및 OLED 디스플레이 패널을 생산하는 DP사업으로 구성됨.

 

메모리시장이 호황인 가운데 폴더블폰과 OLED 판매가 늘어나 3분기 매출액은 70조를 넘어서며 사상 최대의 실적을 달성함. 첨단공정 확대와 환율 영향으로 영업이익률도 20%를 넘어섬. 4분기 메모리시장은 당초 예상 대비 부품 수급 이슈 장기화에 따른 수요 리스크 확대가 우려됨. 북미 서버업체들의 반도체 재고가 3분기 대비 30% 이상 축소되며 반도체 재고 소진 속도가 예상을 상회하여 반도체 가격 반등 시점이 앞당겨질 전망임.

 


PI첨단소재 178920

PI첨단소재-일봉차트

 

PI첨단소재 네이버 증권보기 PI첨단소재 FN GUIDE 종목분석 보기

폴리이미드필름(PI필름) 제조업체. 5세대 이동통신(5G) 스마트폰 안테나용 MPI 생산중.

 

동사는 2008년 폴리이미드 필름 및 관련 가공제품의 연구개발, 생산 및 판매를 주 목적으로 하여 설립됨. PI(Polyimide) 필름의 제조를 주요 사업으로 하고 있으며 2014년부터 글로벌 PI 필름 시장 점유율 1위를 유지하고 있음. 경쟁력 있는 가격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춰야 하며, 동사는 꾸준한 공정 능력 향상을 통해 제조원가 절감을 구현하고 있음.

 

2021년 9월 전년동기 대비 별도기준 매출액은 20.9% 증가, 영업이익은 42.3% 증가, 당기순이익은 54% 증가. 동사는 시장점유율 1위로, 동사의 높은 판매량은 구매단가 절감으로 이어지며, 매출 확대에 따른 수익성 향상을 보이며 영업이익은 대폭 증가함. 동사는 연료전지와 같은 미래 시장에서필요로 하는 다수의 용도에 대해 연구 개발을 진행하며 차세대 시장의 도래에 앞서 준비하고 있음.

 


트루윈 105550

트루윈-일봉차트

 

트루윈 네이버 증권보기 트루윈 FN GUIDE 종목분석 보기

19년12월 5G 통신시스템 제품 공급(CNPS 센서 모듈 , GPS 모듈 , UWB IC 外)계약 체결

 

동사는 자동차에 적용되는 IR센서, APS(엑셀레이터 페달센서), BPS(브레이크 페달센서), TPS(엔진공기밸브 센서) 등을 개발, 제조 및 공급하고 있음. 자동차의 전장화에 따른 자동차 전장 제어의 핵심기술인 반도체(Asic)의 설계기술을 보유함. 또한 적외선 열화상 센서 및 카메라 모듈 관련 핵심 원천기술을 보유하고 있음. 매출구성은 제품 54.79%, 상품 7.28%, 기타 37.93%로 이루어져 있음.

 

2021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19.7% 감소, 영업이익 적자전환, 당기순이익 적자전환. 동사와 MOU 체결한 한화시스템이 자체 개발한 지능형 열상엔진모듈 '퀀텀레드(QUANTUM RED)를 주문자상표부착 방식(OEM)을 독점 생산해 공급할 예정임. 주력 매출 품목인 자동차용 센서는 당분기 자동차 시장의 전기차 및 친환경차량의 공급 증가로 인하여 동사 ITEM 중 BPS, SLS 등의 매출이 확대됨.

 


케이엠더블유 032500

케이엠더블유-일봉차트

 

케이엠더블유 네이버 증권보기 케이엠더블유 FN GUIDE 종목분석 보기

전 세계를 대상으로 이동통신 기지국에 장착되는 각종 장비 및 부품류 등을 생산, 판매하는 RF사업을 영위. 5G장비 업계에서 핵심기술로 인정받고 있는 Massive MiMo기술이 적용된 네트워크장비(MMR)와 초소형 필터(Micro Bellows Filter)를 통해 최고의 경쟁우위를 확보.

 

1991년 1월에 설립되어 1994년 법인전환 후 2000년 3월에 코스닥시장에 상장한 무선통신장비 전문 제조 기업임. 동사 및 종속회사는 무선통신 기지국에 장착되는 각종 장비 및 부품류 등을 생산, 판매하는 RF사업과 스포츠조명, 실외조명, 실내조명등을 생산, 판매하는 LED사업을 영위하고 있음. 당기말 현재 11개의 연결대상 종속회사를 보유중이며 RF사업은 5G 투자에 따른 수주 선점을 목표로 함.

 

2021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42.3% 감소, 영업이익 적자전환, 당기순이익은 85.7% 감소. 주력 사업 부진이 지속되고 있어 큰 폭의 영업손실이 발생했으나, 대규모 기타손익(대규모 잡이익 발생) 및 금융손익 개선으로 순이익 상태를 유지함. 당기 결산일 이후 R&D 역량 확충을 위해 시설투자(연구소 건축) 금액을 기존 138.4억원에서 144.7억원으로 변경함을 공시함.

 


KT 030200

KT-일봉차트

 

KT 네이버 증권보기 KT FN GUIDE 종목분석 보기

국내 대표적인 종합통신사업자. 5G 이동통신 핵심기술 23건을 세계이동통신표준화기구 3GPP의 5G 표준과제로 반영했으며, 2019년 세계 최초 5G 상용화.

 

동사는 정보통신사업을 영위할 목적으로 1981년 12월 10일에 설립되었으며, 1998년 12월 23일 유가증권시장에 상장하였음. 무선통신, 초고속인터넷, IPTV 등 핵심사업에서의 지속적인 성장 뿐 아니라, IDC, Cloud, AI/DX 등 B2B 성장사업에서도 성과를 창출하며 디지털 플랫폼 기업(Digico.)으로 변화해 나가고 있음. 매출은 ICT 75.7%, 금융 14.54%, 위성방송 2.67% 등으로 구성됨.

 

2021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3.2% 증가, 영업이익은 27.4% 증가, 당기순이익은 61.3% 증가. 매출액 증가가 판관비, 인건비 등 비용의 증가를 상쇄하면서 영업이익과 당기순이익 모두 상승함. 국내 통신시장은 성숙기에 진입하여 성장이 쉽지 않은 상황임. 성장을 이어가기 위한 전략으로 비통신 사업을 키우고 있음.  모바일 커머스, 디지털 음악사업, 머천다이즈, 보안산업등 다양한 시도를 하고 있음.

 


오파스넷 173130

오파스넷-일봉차트

 

오파스넷 네이버 증권보기 오파스넷 FN GUIDE 종목분석 보기

네트워크 통합(Network Integration) 전문업체. 5G 본격화에 고성능 네트워크 장비 수요 증가에 따른 수혜 기대. SK텔레콤 계열사 관련 매출액이 큼.

 

동사는 2004년에 설립되었고, 기업체, 공공기관 및 금융권 네트워크 통합과 다양한 솔루션 공급 등에서 강세를 유지해온 네트워크 통합 전문기업임. 동사는 네트워크 통합 및 시스템 통합을 주요 사업으로 영위하고 있으며, 매출은 용역매출인 네트워크 구축 및 유지보수로 구성되어 있음. 주요 매출처로는 SK그룹 계열사와 삼성전자, 한국거래소, 국민은행, 넥슨, 아모레퍼시픽, 두산 등 국내 주요 대기업을 포함함.

 

2021년 9월 전년동기 대비 별도기준 매출액은 7.3% 감소, 영업이익은 29.7% 감소, 당기순이익은 13.7% 감소. 2021년 9월 기준 수주잔고(향후 예정 매출액)는 약 1,069억원으로써 최대 수주액을 달성하였으나, 네트워크 장비의 구성품인 반도체 수급 문제에 따른 장비 인도 지연 영향으로 매출과 영업이익이 전반적으로 감소함. 동사는 원재료 공급사들의 빠른 정상화로 현재 수주잔고만으로도 작년과 같은 고도 성장이 기대됨.

 


쏠리드 050890

쏠리드-일봉차트

 

쏠리드 네이버 증권보기 쏠리드 FN GUIDE 종목분석 보기

유/무선 네트워크 장비 제조업체. 5G 네트워크 망운용에 소요되는데이터 전송장비에 PON(Passive Optical Network) 기술을 적용한 5G-PON 및 5G-MUX의 장비 개발. 국내용 5G 무선 중계기, 5G RF 중계기 등도 개발.

 

1998년 11월 5일에 설립되어 이동통신 및 유선통신 관련 네트워크 장비의 제조 개발 등의 사업을 영위하고 있음. 국내 이동통신 3사를 모두 고객으로 확보하고 유무선 통신의 액세스 및 코어 영역에 속하는 장비인 중계기와 유선전송장비를 주로 공급함. 주력 수출 품목인 DAS의 시장 규모는 2016~2026년 사이 CAGR 12.1%의 견조한 성장 추세가 이어질 것으로 전망됨. 

 

2021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10.2% 증가, 영업손실은 38.1% 감소, 당기순손실은 20.6% 감소. 비교적 견조한 수준의 매출액 성장을 보였으나 원가 상승폭이 더 컸던 결과 판관비 등 비용 통제에도 불구하고 영업손실 및 순손실 상태를 지속함. 당기중 신사업진행을 위한 연구개발투자를 위해 (주)쏠리드랩스에 110억원을 추가 투자했으며 취득후 지분율은 100% 임.

 


기가레인 049080

기가레인-일봉차트

 

기가레인 네이버 증권보기 기가레인 FN GUIDE 종목분석 보기

RF통신부품(RF케이블 조립체, RF커넥터) 제조업체. 국내 1위 모바일 RF커넥티비티 공급사이며, 국내 유일 4.5G, 5G 네트워크인프라 대응(6GHz+) RF 역량 보유.

 

동사는 RF통신부품 및 반도체 장비 제조사업을 주요 사업으로 영위하고 있음. 동사의 RF통신부품은 주요 모바일 기기 및 기지국장비에 사용되고 있으며, 당사의 반도체 장비는 LED 등 반도체 제작 공정에 사용되고 있음. 동사는 지속적인 기술, 인력 및 시설 투자를 통하여 선도 수준의 RF 통신 관련 기술과, 반도체 공정 장비 관련 기술력을 확보하려 노력하고 있음.

 

2021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35.5% 증가, 영업이익 흑자전환, 당기순이익 흑자전환. 군수시장의 경우 국내 최초의 RF케이블  커넥터 국산화 업체라는 지위를 바탕으로 국내 시장에서는 강력한 경쟁력을 보유하고 있음. 동사는 지속적인 기술, 인력 및 시설 투자를 통하여 선도 수준의 RF 통신 관련 기술과, 반도체 공정 장비 관련 기술력을 확보함.

 


와이팜 332570

와이팜-일봉차트

 

와이팜 네이버 증권보기 와이팜 FN GUIDE 종목분석 보기

무선통신용 고효율 전력증폭기 제조업체. 5G 단말기용 전력증폭기 등을 생산하고 있으며, 주 매출처는 삼성전자임.

 

동사는 이동통신용 단말기에 탑재되는 전력증폭기 모듈(PAM)을 개발, 제조 및 판매를 주사업으로 영위. 휴대폰 부품 중 PAM를 포함한 RF FEM 시장은 각 휴대폰 메이커별로 일부 업체가 과점적으로 공급하고 있는 형태. 주로 해외 글로벌 기업들이 주를 이루고 있으며 국내 기업으로는 동사가 유일. 사업 다변화의 일환으로 스마트카 분야에 진출하여 2019년부터 LG이노텍과 거래를 시작했으며, 현재 선도적인 위치를 점하고 있음.

 

2021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46.2% 증가, 영업이익 흑자전환, 당기순이익 적자전환. 전방시장 회복에 따라 매출이 회복세를 보였으나, 전분기 금융자산평가이익 효과가 제외되고 금융비용이 급증하면서 수익성이 악화됨. 삼성전자와 협력적인 관계 속에서 중저가 모델, 플래그십 모델까지 확대할 수 있는 기반이 마련되어 있어 향후 매출 회복과 성장이 예상됨.

 


에이스테크 088800

에이스테크-일봉차트

 

에이스테크 네이버 증권보기 에이스테크 FN GUIDE 종목분석 보기

고주파부품(RF), RRH(Remote radio head), 기지국안테나, 모바일안테나, 중계기 등의 무선통신사업을 영위하는 업체. RF장비는 데이터의 양과 그 처리속도가 증가할수록 더 많은 수가 요구되므로 5G 개화시 수혜가 기대됨.

 

2006년 에이스테크놀로지에서 인적분할해 에이스안테나로 설립 후, 2010년 에이스테크놀로지와 분할합병을 통해 현재 사명으로 변경. 사업분야는 모바일 네트워크 관련 장비사업으로, 기지국 안테나, 기지국용 RF장비, 모바일 디바이스용 안테나 그리고 RF 커넥터 등임. 신규사업으로 레이더, 유도무기체계,지휘통신체계,위성통신,데이터링크등의 방산용안테나 부문에 2008년부터 개발업체로 참여하여 매출이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음.

 

2021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6.5% 증가, 영업손실은 45.6% 감소, 당기순손실은 76.9% 감소. RF부품 사업호조에도 기지국안테나 제품 부진으로 외형 성장은 크지 않았으며, 판관비 통제에도 불구하고 영업손실 및 순손실을 보이며 적자 구조가 지속됨. 상용 기술보다 한단계 높은 기술력 확보로 시장 선도, 시장을 선도하는 신기술 제품개발로 고객욕구 충족 등의 판매전략을 보유하고 있음.

 


RFHIC 218410

RFHIC-일봉차트

 

RFHIC 네이버 증권보기 RFHIC FN GUIDE 종목분석 보기

5G 시대 고주파수 사용으로 GaN 트랜지스터 및 통신용 GaN전력증폭기 사용 범위 확대로 수혜 전망. 5G 통신용 제품(5G GaN MMIC, 5G Front-End Module) 개발중.

 

1999년 08월 20일에 법인 형태로 설립되었으며 2017년 09월 01일 코스닥시장에 기업공개를 실시함. 동사는 경쟁사보다 먼저 미래 산업의 변화를 예측하여 신소재인 질화갈륨(Gallium Nitride, 이하 GaN)을 이용한 제품 개발 및 상용화를 시도하였음.  중소기업이지만 비교적 짧은 기간 안에 시장을 공략할 수 있었던 이유는 GaN이라는 신소재를 이용한 무선 주파수 전력 증폭기를 개발했기 때문임.

 

2021년 6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45.7% 증가, 영업이익 흑자전환, 당기순이익은 112.7% 증가. 동사의 GaN 전력증폭기는 LDMOS 전력증폭기에 비해 효율은 10% 정도 높으며, 제품 크기는 최대 절반임.  전 세계 기지국 시장에 확대 적용되고 있음.  동사의 기술을 활용해 5G를 비롯한 차세대 이동통신기술, 위성 통신(Sat-com), 방위산업 등 다양한 분야에 진출할 계획임. 

 


와이솔 122990

와이솔-일봉차트

 

와이솔 네이버 증권보기 와이솔 FN GUIDE 종목분석 보기

휴대폰에 채용되는 SAW Filter, Duplexer 및 RF Module 제품 등을 생산/판매. 5G용 SAW 제품 및 RF 모듈 부품을 양산 중이며, 전장시장 및 NB-IoT 시장에도 성공적으로 진입.

 

동사는 2008년 6월 20일 설립됐으며, 2010년 9월 10일 코스닥시장에 상장됨. 자체 기술을 바탕으로 개발한 SAW필터, 듀플렉서, 블루투스모듈 등 RF솔루션 제품을 국내외 휴대폰 제조업체에게 공급하는 것을 주력사업으 영위함. 해외에 4개(천진위성전자, WISOL HANOI, WISOL JAPAN, LEAD TECHNO), 국내 1개(플러스) 등 총 5개의 계열회사를 가지고 있음.

 

2021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9.6% 증가, 영업이익은 26.3% 감소, 당기순이익은 92.5% 증가. SAW 사업은 전방산업인 휴대폰 산업이 2010년부터 스마트폰 출시이후 통신시스템의 발전에 따라 그 수량이 증가하고 있으며, 최근 5G 통신환경이 대중화되면서 5G를지원하는 스마트폰의 수량도 급증하고 있음. 스마트폰 수요 증가로 기기 당 탑재되는 고 성능 필터의 개수는 폭발적 증가세를 나타내고 있음. 

 


다보링크 340360

다보링크-일봉차트

 

다보링크 네이버 증권보기 다보링크 FN GUIDE 종목분석 보기

Wi-Fi 장비 및 솔루션 개발 업체. 주요 공급장비는 AP(유무선공유기), 다수의 AP들을 제어하는 AP컨트롤러, Home Gateway, VoIP Gateway 등이 있고, 주력 제품인 AP는 3대 통신사업자(KT, SK브로드밴드, LG유플러스)에 모두 공급. 신규 사업으로 모바일 액세스 장비인 5G CPE 솔루션과 Wi-Fi 기반의 클라우드 서비스, 지능형융합 서비스 솔루션 사업 등을 추진 중.

 

동사는 2000년 6월 설립되었으며, 유안타제6호스팩과 합병하여 2021년 8월 13일 코스닥 시장에 상장함. 국내에서 유일하게 Wi-Fi 제품과 솔루션을 통신사업자 시장과 기업/공공 시장에서 모두 공급하는 회사임.  주요 공급장비는 AP(Access Point, 유무선공유기), 다수의 AP들을 제어하는 AP컨트롤러, Home Gateway, VoIP Gateway 등이 있으며, 주력 제품인 AP는 3대 통신사업자에 공급함.

 

2021년 9월 전년동기 대비 별도기준 매출액은 44.8% 증가, 영업이익은 46.9% 감소, 당기순이익 적자전환. 매출증가에도 불구하고 지급수수료, 연구개발비 등의 증가로 인해 영업이익 감소하였으며, 당분기에 합병비용 130억이 인식되며 순이익 적자전환됨. 동사는 신규 사업으로 모바일 액세스 장비인 5G CPE 솔루션과 Wi-Fi 기반의 클라우드 서비스, 지능형융합 서비스 솔루션 등을 추진하고 있음.

 


삼지전자 037460

삼지전자-일봉차트

 

삼지전자 네이버 증권보기 삼지전자 FN GUIDE 종목분석 보기

통신 및 네트워크 장비 전문업체. 5G(3.5GHz) 통신을 지원하기 위해 LG유플러스와 협업하여 제품개발을 완료.

 

무선통신용 중계장치, 운영정보표시장치를 제조, 판매하는 통신사업과 전자부품 유통사업, 중계기 설치 및 정보통신공사, 전기공사, 2차전지용 충방전시스템 등 사업을 영위함. 통신사업은 차세대 5G 이동 통신에 대응하기 위해 ㈜LG유플러스와 협업하여 2019년 4분기부터 납품을 시작했고 2021년부터 본격적으로 매출 확대 예정임. 당기말 현재 에스에이엠티 등 11개의 연결대상종속회사를 보유함.

 

2021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54% 증가, 영업이익은 66.5% 증가, 당기순이익은 3.2% 감소. 전자부품 유통사업 등 주력 사업 호조가 지속되어 외형이 크게 성장했음. 판관비 등은 증가했으나 워낙 외형 성장의 폭이 커서 이익 규모가 큰 폭으로 성장함. 각 사업부문별 축적된 기술력과 효율적인 원가관리 능력에 의한 제품 안정성 및 가격 경쟁력으로 신규 매출 및 해외 수출 증대를 도모하고 있음.

 


서진시스템 178320

서진시스템-일봉차트

 

서진시스템 네이버 증권보기 서진시스템 FN GUIDE 종목분석 보기

통신장비, 휴대폰, 반도체 장비의 함체, 구조물, 전기구동장치 등을 제조, 판매하는 업체. 5G 개화시 통신 기지국장비 케이스 수요 증가 기대.

 

2007년 10월 30일 주식회사 서진시스템으로 설립됨. 영문으로는 'SEOJIN SYSTEM CO.,LTD' 이라고 표기함. 종속회사를 생산거점으로하여 베트남 공장 및 설비 투자를 통해 자동차부품 및 전기자동차 부품을 일부 양산하고 있으며, 추가적으로 개발 및 양산 준비중에 있음. 가전, 중공업 등의 신규 거래처 발굴 및 제품다각화를 통한 신규사업 진출을 확대할 계획임. 

 

2021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86.8% 증가, 영업이익은 28380.4% 증가, 당기순이익 흑자전환. ㈜텍슨은 국내의 유일한 DU 설계, 제조업체로써 삼성전자 등에 독점 공급하고 있음. 또한 동사는 글로벌 스마트폰 점유율 1위업체인 삼성전자에게 핸드폰 메탈케이스 임가공 용역을 제공하고 있음. 당사는 고객사의 생산계획에 의한 주문 생산방식이며, 통상 2주에서 2개월 전에 생산제품 주문을 접수하는 단기발주 형식임.

 


LG유플러스 032640

LG유플러스-일봉차트

 

LG유플러스 네이버 증권보기 LG유플러스 FN GUIDE 종목분석 보기

LG그룹 계열의 이동통신업체로 5G 기술 개발 및 서비스 상용화를 위해 '5G 기술시험센터'를 구축.

 

동사는 LG그룹 계열사로 무선, 스마트홈, 기업서비스 시장의 통신 사업을 영위함. 엘지헬리보진, 아인텔레서비스, 미디어로그 등을 연결대상 종속회사로 보유함. 2021년 2분기 별도 기준 서비스수익 중 무선서비스 비중은 57.7%, 스마트홈 22.0%, 기업인프라 15.9%, 전화 서비스 수익은 4.4%임. 2021년 2분기 말 기준 시장 점유율은 무선서비스 24%, 초고속인터넷 20.5%, IPTV 25.7% 등임.

 

2021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3.4% 증가, 영업이익은 15.5% 증가, 당기순이익은 10.8% 감소. 매출 증가가 판매비와 관리비, 인건비 및 복리후생비 등 주요 비용 증가를 상쇄하며 수익이 증가함. 자사주 1000억원어치 매입 계획을 발표하고 중간배당을 도입하는 등 주주 환원 정책도 이어가고 있음. 콘텐츠 사업 투자를 늘리는 등 비통신 매출 비중을 2025년 30%로 끌어올리기 위해 노력 중임.

 


와이어블 065530

와이어블-일봉차트

 

와이어블 네이버 증권보기 와이어블 FN GUIDE 종목분석 보기

공용무선기지국(중계망) 전문업체. LGU+ 수도권 지하철(1-8호선) 5G공사 수주. 케이티와 지하철 5G 무선망 공사 계약을 체결.

 

공용 무선기지국(중계망) 전문 업체로서 지상, 지하철 및 각종 터널 구간의 공용 무선기지국(중계망)을 시공, 판매, 운용 및 유지 보수 사업을 영위함. 차별화된 기술력을 바탕으로 기지국(중계망) 공용화를 위한 기지국(중계망) 시설을 구축하고 각 사업자가 공용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운용 유지보수하고 있음. 2021년 3월 주주총회 의결로 기업이미지 제고 및 사업다각화를 위해 사명을 (주)와이어블로 변경함.

 

2021년 9월 전년동기 대비 별도기준 매출액은 8.7% 감소, 영업이익은 29.1% 감소, 당기순이익은 44.4% 감소. 외형 축소에도 판관비 등 비용은 지속적으로 상승해 영업손익 및 순손익이 악화됨. 동사는 지하철ㆍ도로ㆍ터널 등이 신설 될 경우, 이에 대한 설계를 먼저 시행하여 사업자에 제시하거나 신도시가 건설될 때 기지국(중계망) 공용화를 먼저 추진하는 등 적극적인 영업을 추진중임.

 


나무기술 242040

나무기술-일봉차트

 

나무기술 네이버 증권보기 나무기술 FN GUIDE 종목분석 보기

19년4월 5G 관련 이동통신망 인프라 공급 진행. 19년5월 5G 관련 인프라 공급계약을 체결한 바 있음. 5G EMS 가상화 솔루션 및 5G NFV(Network Functions Virtualization) 개발.

 

동사는 2001년에 설립하여 사업 초기 가상화 분야에서 글로벌 선두업체인 Citrix사와의 파트너 체결을 통해 데스크톱 가상화 시장에 본격적으로 진출하였음. 나무기술 주식회사는 교보비엔케이기업인수목적 주식회사와 2018년 7월 2일 합병계약을 체결하였음. 시장의 변화에 맞추어 사업초기에는 인프라 사업을 시작으로 가상화의 전문적인 기술과 전략을 보유하고 공급하였으며, 클라우드 사업으로의 확장과 자체 제품의 개발과 공급을 준비함.

 

2021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5.3% 감소, 영업이익 흑자전환, 당기순이익 흑자전환. 매출액 감소에도 불구하고  원가율 감소로 영업이익 흑자전환에 성공. 동사는 PLM부문 글로벌 1위 기업인 다쏘시스템의 다양한 솔루션을 공급하며 공식 총판 중 최고 등급 자격을 유지하고 있음. 솔루션 공급과 더불어 컨설팅 및 기술지원으로 고객 맞춤형 PLM 구축에 성공함.

 


오이솔루션 138080

오이솔루션-일봉차트

 

오이솔루션 네이버 증권보기 오이솔루션 FN GUIDE 종목분석 보기

광송수신 모듈 전문 생산업체. 초고속 광통신망에 쓰이는 핵심 부품인 광트랜시버를 생산, 판매. 통신시스템을 통해 구현되는 기능을 트랜시버에 탑재하여 저비용, 고효율 네트워크 구축을 가능하게 하는 제품인 Smart 트랜시버를 세계 최초로 개발해 2017년부터 본격 판매.

 

2003년 8월 7일에 설립되어 전자, 전기, 정보통신 관련 제품의 연구개발, 제조 및 판매업을 영위하고 있으며 2014년 2월 27일 코스닥시장에 상장함. 주력 제품은 광트랜시버로 대용량 라우터 및 스위치 등의 광통신 장치에서 전기신호와 광신호를 변환시켜 광통신이 가능하게 하는 핵심부품임. 광통신은 유무선 데이터 트래픽의 증가와 함께 성장하고 있으며, 광트랜시버의 시장도 응용분야별 연평균 2~21%의 성장을 지속 중임.

 

2021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0.2% 증가, 영업이익은 40% 감소, 당기순이익은 31.3% 증가. 광통신모듈 내수는 호조를 보였으나 수출물량 감소로 외형 성장은 정체되었고, 비용은 소폭 증가하여 영업손익이 다소 악화됨. 다만 법인세효과로 순손익은 대폭 개선됨. 동사는 당기 결산일이후 영업실적 전망공시를 통해 5G 투자 지연에 따른 광트랜시버 수요 감소에 따라 4분기 예상 매출액으로 214억원을 제시함.

 


코위버 056360

코위버-일봉차트

 

코위버 네이버 증권보기 코위버 FN GUIDE 종목분석 보기

5G 투자 확대에 따른 POTN 장비 및 WDM 장비 등 매출 증가로 수혜 전망. 통신사업자에 5G-PON, 5G-MUX장비 및 관리시스템장비를 공급하여 5G이동통신망 구축에 적극적으로 참여중.

 

유선 광전송장비 등의 제조, 판매를 주요 사업으로 하는 기업으로, 주로 KT, LG유플러스, SK브로드밴드 등 국내 주요 통신사업자에게 광전송장비를 공급하고 있음. 전송시장의 주류를 이루고 있는 ROADM/POTN(기간망), PTS/OTN(메트로망), 5G-PON/광단말장치(엑세스망) 장비의 핵심적인 원천 기술을 보유하고 있음. POTN&ROADM장치는 차세대 백본(Back-Bone)전송망의 핵심장비로 부상하고 있음.

 

2021년 6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25.7% 감소, 영업이익 적자전환, 당기순이익은 48.9% 감소. 전방산업 투자 부진으로 주력 상품의 매출이 전반적으로 축소되는 가운데 고정비 부담 증가에 따라 영업손익은 적자전환함. 다만, 기타수익 발생으로 순손익은 흑자 기조를 유지함. 향후 양자암호 기술이 도입된 ROADM, PTN, POTN 장비는 기존 장비 대비 높은 단가로 수익성에도 긍정적일 것으로 기대됨.

 


웨이브일렉트로 095270

웨이브일렉트로-일봉차트

 

웨이브일렉트로 네이버 증권보기 웨이브일렉트로 FN GUIDE 종목분석 보기

이동통신 기지국 및 중계기용 전력증폭기와 RRH, 무선 통신 시스템의 RF 송신부의 핵심모듈을 공급하는 전문업체.

 

이동통신 기지국 및 중계기용 전력증폭기와 RRH, 무선 통신 시스템의 RF 송신부의 핵심모듈을 공급하는 전문업체. 전방산업은 신규 통신서비스에 따른 수요 외에 기존 시스템에 대한 유지보수 수요가 존재하고 있어 상대적으로 안정적이고 연속적인 수요가 형성되는 강점을 지님. 방산사업부문은 정말타격용 유도무기(PGM; Precision-Guided Munition) 핵심부품인 탐색기, 유도조정장치와 점검장비를 공급하고 있음.

 

2021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13.8% 감소, 영업손실은 65.9% 증가, 당기순이익 흑자전환. 통신장비 및 방산사업 모두 실적 부진이 지속되고 있어 판관비 등 비용 통제에도 불구하고 영업손실이 확대됨. 2021년 5월 1일을 분할기일로 OLED사업부문을 물적분할하여 분할신설법인((주) 더블유오에스)을 설립한 후, 2021년 8월 20일에 보유 주식전량을  매각하여 대규모 중단영업이익이 발생함.

 


텔레필드 091440

텔레필드-일봉차트

 

텔레필드 네이버 증권보기 텔레필드 FN GUIDE 종목분석 보기

광전송 장비 등을 개발, 판매하는 통신기기/장비 전문 업체. 5G 투자 확대에 따른 KT 기간망에 대한 고용량 PTN 장비 공급 등으로 수혜 전망. 또한, 5G 투자의 필수 장비인 POTN 장비 개발에 따른 공급 전망.

 

광전송장비를 연구개발 및 제조, 판매하고 있으며, 그 중에서 다양한 신호와 접속을 해야 하는 접속망과 기술의 연계성이 높고 상대적 고수익 사업인 백본망 시장에 집중하고 있음. LTE 서비스를 위한 RRH 광선로에 대한 운용비용 절감을 위해 16WL기술을 확보하여 SKT와 공동으로 개발하여 안정적으로 납품 중임. 당기말 현재 썬웨이브텍과 에프아이시스를 연결대상 종속회사로 보유하고 있음.

 

2021년 6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17.7% 감소, 영업손실은 3.3% 감소, 당기순손실은 21.3% 증가. 통신 사업자의 투자 지연이 지속되고 있어 주력 매출 품목인 통신장비 부문의 실적 부진이 지속되고 있으며 원가율 개선에도 불구하고 영업손실과 순손실을 시현함. 기술경쟁력을 통한 기술 마케팅,  영업채널망 다양화 및 KT 등 NI/SI 업체들과의 전략적 제휴를 통하여 조달사업에서 우위를 점하고 있음.

 


텔코웨어 078000

텔코웨어-일봉차트

 

텔코웨어 네이버 증권보기 텔코웨어 FN GUIDE 종목분석 보기

이동통신 솔루션 전문업체. 이동통신망의 주 시스템인 음성핵심망 솔루션과 무선데이터 솔루션 등을 공급하고 있으며, 최대 고객사 SK텔레콤 LTE 코어 네트워크망 SDN(소프트웨어 정의 네트워크)과 NFV(네트워크 기능 가상화) 구현에 참여.

 

동사는 2000년 1월 11일에 설립되었으며, 2004년 7월 20일 유가증권시장에 발행주식을 상장하였고, 2개의 계열회사를 가지고 있음. 동사는 정보통신 소프트웨어 개발 및 장비, 기기의 유지보수를 주요 사업으로 하고 있으며, 주요 제품은 무선데이터, 음성핵심망 솔루션이 있음. 서비스 플랫폼과 데이터 핵심망 분야에 강점을 가지고, IP기반의 IMS(IP Multimedia subsystem)솔루션을 SK텔레콤 등에 공급함.

 

2021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13.3% 감소, 영업손실은 207.9% 증가, 당기순이익 적자전환. 매출 감소와 고정비 및 각종 비용 증가의 영향으로 영업손실과 당기순손실은 증가함. 동사는 핵심망 솔루션, 무선데이터 솔루션에 필요한 모든 요소기술을 100% 자체 개발하여 사용하고 있으며, SS7 프로토콜과 메인 메모리 데이터베이스인 텔코베이스를 그 자체로 독립상품화하여 판매하기도 함.

 


라이트론 069540

라이트론-일봉차트

 

라이트론 네이버 증권보기 라이트론 FN GUIDE 종목분석 보기

광통신용 모듈 사업영위 업체. FTTH(광송수신 모듈), ODL(Network용 광부품(SFP, SFP, GBIC 등)), RF용 부품(LP, LD 등) 등을 생산/판매.

 

반도체 레이저, 포토 다이오드 및 양방향 송수신 모듈 등 광통신용 장치 및 광계측기 등의 제조판매를 목적으로 1998년 10월에 설립되어 2004년 2월에 코스닥 시장에 상장함. 10G Cooled  광모듈 제품군 확대, 40G FTTH 광모듈 제품군 확대 등의 신규 사업을 추진 중임. 당기말 현재 세영기술 및 중국 현지 생산법인 등 총 2개의 연결대상 종속회사를 보유함.

 

2021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139.2% 증가, 영업이익 흑자전환, 당기순이익 흑자전환. 이동통신용 광모듈 사업(SFP,SFP+,GBIC  제품 등) 호조로 외형이 크게 성장했으며 원가율 개선과 판관비 축소 등으로 영업손익과 순손익 모두 흑자전환에 성공함. 동사는 당기 결산일 이후 주식회사 에바누스에쿼티파트너스가 주주총회결의 취소청구 소송을 전부 취하함을 공시함.

 


우리넷 115440

우리넷-일봉차트

 

우리넷 네이버 증권보기 우리넷 FN GUIDE 종목분석 보기

5G시대에 트래픽 증가할 경우 전송장비나 패킷전송네트워크(PTN)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필요한 POTN 장비 개발. 5G용 Fronthaul, Midhaul, Backhaul장비 개발. 21년10월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삼성전자 및 국내 중기 협력업체들이 개발에 참여한 국산 B2B 5G 모듈 개발 성공.

 

2000년 삼성전자 네트워크부문 출신 연구원들이 주축이 되어 설립됨. 주요 매출처는 KT, SK브로드밴드 등 기간통신사업자이며 광통신장비인 MSPP, 음성서비스 기반의 AGW장비 등을 판매하고 있음. 기존 MSPP 장비에 WDM 기능 추가로 개발 및 사업화 추진 중으로 Metro DWDM 시장에 적용 중이며 2011년 이후 Carrier Ethernet 장비가 신규로 등장하여 시장이 확대됨.

 

2021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29.9% 증가, 영업손실은 70.7% 감소, 당기순손실은 59.3% 감소. 통신장비 등 주력 사업 호조로 매출액 성장률은 높은 수준을 보였으나 높은 원가율로 영업손실과 순손실을 보이며 적자구조가 지속됨. 차세대 POTN 및 PTN장비(Carrier Ethernet 장비) B2B시장참여, 5G용 Fronthaul, Midhaul, Backhaul장비 개발 등을 신규 주력사업으로 함.

 


피피아이 062970

피피아이-일봉차트

 

피피아이 네이버 증권보기 피피아이 FN GUIDE 종목분석 보기

데이터 센터용 AWG, 통신용 AWG, 스플리터(광파워분배기), 계측기 제품 및 광통신 관련 상품(5G MUX) 판매를 주력사업으로 영위. SKT의 5G망용 AWG의 초도품을 공급했으며, KT에도 5G용 MUX를 상품으로 공급.

 

동사는 광통신 가입자 망의 핵심부품인 PLC 광 파워 분배기와 PLC 광 파장 분할기를 미국, 유럽, 일본, 중국, 인도 시장과 국내 통신 3사 및 유수의 통신 시스템 공급 업체에 공급하고 있음. 또한 사물인터넷, 클라우드 서비스 등을 위한 인프라의 근간인 데이터 센터 내부 트랜시버에 장착되는 AWG 제품의 라인업 확대. PLC 칩을 사용하여 일반 및 특수사양의 단위 부품, 광전변환기술의 융합을 통한 휴대용 광 계측기 라인업 확대

 

2021년 9월 전년동기 대비 별도기준 매출액은 42.4% 감소, 영업손실은 115.1% 증가, 당기순손실은 153.5% 증가.  부품 공급 업체들과 비교해 우위에 있는 동사의 AWG 성능과 양산화 기술을 바탕으로 국내 시스템사와 유럽, 중국, 일본, 미국 등 해외 고객사에 대한 납품이 지속적 증가세에 있음. 2021년 3분기 보고서 기준 동사의 5G MUX가 KT의 5G 망용 하드웨어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약 10% 정도임.

 


대덕 008060

대덕-일봉차트

 

대덕 네이버 증권보기 대덕 FN GUIDE 종목분석 보기

인쇄회로기판(PCB)의 제조 및 판매를 주요사업으로 영위하는 업체. 삼성전자에 통신장비용 PCB(MLB)를 공급하고 있는 점이 시장에서 부각.

 

PCB의 제조 및 판매를 주사업목적으로 1972년 8월 11일에 설립되었으며, 1989년 유가증권시장에 상장함. 2020년 5월  PCB의 제조 및 판매 사업부문인 대덕전자 주식회사와 인적분할 후, 자회사 및 피투자회사의 지분 관리 및 투자를 목적으로 하는 사업을 영위하고 있음.  PCB 제조 및 판매 사업과 SAW Filter, RF module 등의 제조 및 판매 등을 목적으로 10여개 기업을 연결대상 종속회사로 보유함.

 

2021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40450.9% 증가, 영업이익 흑자전환, 당기순이익은 88.8% 감소. 자회사 대덕전자는 비메모리 반도체 기판을 비롯한 많은 부문에 수백억 원 단위의 투자를 집행하고 있음. PCB사업과 RF사업의 비중이 실적의 대부분을 설명하며, 자회사들은 IT산업의 발달에 맞춰 연구개발을 진행, 실적 개선의 주된 역할을 함.

 


이노와이어리스 073490

이노와이어리스-일봉차트

 

이노와이어리스 네이버 증권보기 이노와이어리스 FN GUIDE 종목분석 보기

이동통신용 시험장비와 계측장비의 개발, 제조 및 판매를 주요 사업으로 영위중이며, 5G 시험장비 공급 본격화에 따른 수혜 예상. 17년6월 Small Cell 솔루션사업을 분할하여 큐셀네트웍스를 설립하였으며, 5G 인프라 구축 이후 대용량 데이터를 끊김 없이 빠르게 주고받기 위해 필요한 초소형 기지국 SmallCell 수혜 예상.

 

유무선 자동측정 및 제어 시스템 개발 및 제조 등을 영위할 목적으로 2000년에 설립되어 2005년 2월에 코스닥시장에 상장함. 지배회사와 연결실체는 통신용 시험/계측기 및 SmallCell 등의 개발,제조,판매 및 서비스를 주요 사업으로 영위하고 있음. 당기말 현재 큐셀네트웍스 등 8개의 연결대상 종속회사를 보유하고 있으며 모두 비상장으로 국내를 비롯 일본, 영국, 미국 등에 분포되어 있음.

 

2021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13.6% 감소, 영업이익은 66.7% 감소, 당기순이익은 58.8% 감소. 무선망 최적화, 통신 T&M 등 주력 사업 부진이 지속되어 외형이 축소되었고, 고정비 부담 증가에 따라 영업손익 및 순손익 모두 악화됨. 기술경쟁력을 통한 기술 마케팅, 해외 영업력 강화, 전략적 제휴 확대 등의 성장 전략을 실행하고 있음.

 


엔텔스 069410

엔텔스-일봉차트

 

엔텔스 네이버 증권보기 엔텔스 FN GUIDE 종목분석 보기

LTE 및 5G의 이동통신 관련 스마트 네트워크 사업을 영위중이며, LTE 환경에서 확보한 기술력과 국내 이동통신사, 글로벌 통신장비 제조사들과의 협업을 통해 5G 네트워크 솔루션을 공급중.

 

동사는 2000년 7월 19일에 설립되어 유/무선 통신 서비스 사업자를 위한 운용지원시스템 개발 및 공급을 주요사업으로 하고 있음. 이동통신 3사의 통합운영지원솔루션 분야에 동사의 제품을 공급하고 있으며, 국내 최대 이동통신사에 통합운영지원솔루션을 공급 및 운영 중임. 동사의 영위 산업은 경기 변동보다 통신 산업의 새로운 성장 동력의 모색 혹은 정부의 전략 추진에 따른 사업자들의 대규모 신규 투자 계획 등에 영향을 받을 수 있음.

 

2021년 6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11.4% 감소, 영업이익 적자전환, 당기순이익 적자전환. 5G 네트워크에서는 자율주행, 자율비행, 홈 네트워크, AI(Artificial Intelligence) 등의 발전으로 LTE와는 비교할 수 없는 Data Traffic의 증가가 예상되는 상황임. 사물인터넷 공통 플랫폼 및 사물인터넷분야의 유망 응용서비스 시스템을 해외 유ㆍ무선 컨버전스 사업자에게 패키지로 공급하고 있음.

 


에치에프알 230240

에치에프알-일봉차트

 

에치에프알 네이버 증권보기 에치에프알 FN GUIDE 종목분석 보기

유/무선통신용 부품/제품/장비 업체. Mobile Access(무선)부문과 Broadband Access(유선)부문의 기존 사업역량을 기반으로 Private 5G (5G 특화망)에 대한 사업을 강화/확장중. Private 5G 부문에서 5G CPE, 5G vRAN, 5G vCore, Biz platform, 서비스 Platform을 포함하는 Whole Private 5G Networking Solution을 제공중.

 

동사는 특화망 도입을 희망하는 법인고객을 대상으로 영업을 강화하고 있음. 기존 Mobile Access부문과 Broadband Access부문의 축적된 사업 및 개발역량을 기반으로 5G 특화망에 대한 사업을 강화/확장해 가고 있음. LTE와 5G 트래픽을 광선로로 다중화해 전달하는 통합형 전송 장비 및 Fronthaul 관련 장비, 인빌딩광분산장치(DAS)를 한국, 미국, 일본, 말레이시아 등의 통신사업자에 납품하고 있음.

 

2021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120.8% 증가, 영업이익 흑자전환, 당기순이익 흑자전환. 매출액 증가에도 불구하고 매출증가로 영업이익 흑자전환에 성공함.  주요 제품은 FTTH 서비스 관련 제품, LAN 서비스에 주로 쓰이는 스위치, xDSL 관련 제품, WiFi AP 등. 국내 브로드밴드 인프라의 10기가 인터넷투자 증가에 따른 동사의 장비 매출 확대가 예상.

 


아이크래프트 052460

아이크래프트-일봉차트

 

아이크래프트 네이버 증권보기 아이크래프트 FN GUIDE 종목분석 보기

인터넷 백몬망을 구성하는 대용량 라우터 및 스위치 유통 및 구축 사업을 영위. 글로벌 통신장비 전문회사 주니퍼社의 대용량 라우터를 수입해 KT, SK브로드밴드 등에 백본망 구축 솔루션과 유지보수 서비스를 제공.

 

2000년 1월 설립되었으며, 인터넷 네트워크 구축 및 시스템 구축을 주요 사업으로 영위하고 있음. 기간통신사업자의 네트워크 핵심망 공급 레퍼런스를 구축하였고, 이를 기반으로 하여 일반 기업 및 공공부분의 BcN, 전송망, 보안솔루션 등의 토탈 네트워크 구축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음. 빅데이터와 클라우드 기반 인프라와 연동한 IoT 플랫폼 확장 서비스 등 추가적으로 진행되는 IoT 관련 사업부분까지 진출할 계획임.

 

2021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32.9% 증가, 영업손실은 79.4% 감소, 당기순손실은 74.6% 감소. 상품매출 증가로 외형이 크게 성장했으며 원가율도 개선되어 소폭의 영업손실 및 순손실을 시현하여 적자 규모가 축소됨. 인터넷통신사업자를 대상으로 핵심망과 Application을 수주하고 있으며 집중화 전략 및 솔루션별 다각화 전략을 계획하여 운영하고 있음.

 


알에프텍 061040

알에프텍-일봉차트

 

알에프텍 네이버 증권보기 알에프텍 FN GUIDE 종목분석 보기

무선통신 응용장치의 부가제품인 충전기, 데이터링크케이블, 안테나, 액세서리, 5G기지국 안테나 모듈을 연구개발, 생산 및 판매하는 사업을 영위. 5G기지국 안테나 모듈 개발을 완료하고 19년1분기부터 글로벌 주요 네트워크 장비업체에 관련 제품을 공급중.

 

1995년 설립되어 현재 IT사업(모바일 기기의 부가장치 제조 및 판매)과 LED사업(LED 조명기기 제조 및 판매)을 영위하고 있음. IT사업은 모바일 기기 부가제품을 연구개발, 생산, 판매하는 기업으로 동사의 기술적 우위 및 해외 현지화 전략을 통해 모바일기기 부가제품을 삼성전자에 ODM 방식으로 공급. 신성장동력으로 히알루론산 필러와 보툴리눔 독소를 활용한 바이오 의약품 등을 연구개발, 제조하고 있음.

 

2021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19.2% 증가, 영업이익은 0.2% 감소, 당기순이익 흑자전환. 휴대폰 충전기 TA,  데이타 연결 케이블 DLC, 휴대전화의 이동 방송 수신을 위한 안테나 등 주력 제품 호조로 외형 성장, 원가율 상승으로 영업손익은 개선되지 못함. 고부가제품의 개발, 해외 시장 공략 및 원가 경쟁력 증대 등으로 기존 사업을 성장시키고 의약품, 의료기기, 화장품 사업 등 신규 사업을 추진함.

 


기산텔레콤 035460

기산텔레콤-일봉차트

 

기산텔레콤 네이버 증권보기 기산텔레콤 FN GUIDE 종목분석 보기

KT의 협력업체로 평창 5G 통신 시범사업에서 와이파이AP 관련 일부 부품을 납품한 바 있음.

 

통신장비 제조업, 위성통신기기 제조업, 통신장비 및 부품수출입업, 전기전자 및 통신관련 엔지니어링업, 통신서비스업을 영위하고 있음. 주력제품은 이동통신중계기와 와이파이 AP이며, 실적은 통신사업자의 투자 규모와 새로운 기술의 등장에 직접적인 연관이 있음. 당기말 현재 자회사인 현대제이콤과 모피언스를 통해 각각 방위사업부문과 항공산업부문의 사업을 영위하고 있음.

 

2021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2.3% 감소, 영업손실은 298.8% 증가, 당기순손실은 462.6% 증가. 외형은 소폭 축소되었고 원가율은 오히려 상승해 영업손실 및 순손실 폭이 확대되며 적자를 지속함. 국내수요의 한계극복을 위한 수출 전략 수립 및 신규제품 개발, 기존제품 현지화 노력 등 성장전략을 보유하고 있으며 해외 SI사업 진출을 위해 통신 개도국 진출을 타진하고 있음.

 


대한광통신 010170

대한광통신-일봉차트

 

대한광통신 네이버 증권보기 대한광통신 FN GUIDE 종목분석 보기

광섬유, 광케이블 제조업체. 광통신산업의 핵심 제품인 광섬유를 코어 모재 단계부터 자체 생산 할 수 있는 국내 유일의 기업. 5G(5세대 이동통신) 네트워크 구축 수혜 전망.

 

동사는 1974년 9월 2일에 설립되었으며 1994년 11월 7일 기업공개를 실시함. 광섬유전문생산 회사였으나 2011년 광케이블 사업부를 양수하여 광섬유 및 광케이블 제조업을 주요 사업으로 영위하고 있음. 광통신산업의 핵심 제품인 광섬유를 코어 모재 단계부터 자체 생산 할 수 있는 국내 유일의 기업으로, 타기업 대비 원가 및 기술적 측면에서 우월한 위치를 확보함.

 

2021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4.2% 증가, 영업손실은 24.2% 감소, 당기순손실은 52.4% 감소. 매출액 증가 대비 매출원가 및 판매비와관리비 부담이 조금 덜어지며 수익성이 일부 개선, 영업적자 폭은 줄어들었음. 해외 시장의 경우 5G 인프라에 과감한 투자를 진행하고 있으며, 향후에도 전세계적으로 광통신 케이블 및 광섬유 수요가 크게 증가할 것으로 예상됨.

 


이노인스트루먼트 215790

이노인스트루먼트-일봉차트

 

이노인스트루먼트 네이버 증권보기 이노인스트루먼트 FN GUIDE 종목분석 보기

광케이블 구축에 필수적인 장비인 광섬유 융착접속기를 제조. 유선 백본망업체로 5G 네트워크 구축 수혜 예상.

 

동사는 엔에이치기업인수목적5호와 2017년 4월 25일(합병등기일) 합병을 완료했으며, 합병신주를 2017년 5월 8일 한국거래소 코스닥시장에 상장함. 중국, 북미, 유럽, 중동, 북아프리카, 아시아 등 전 세계 시장에 광섬유 융착접속기, 광섬유 절단기 등의 다양한 제품을 공급하고 있음. 주요 제품인 광섬유 융착접속기(Fusion Splicer)는 광학, 전자기술과 고도정밀 기기를 결합하는 하이테크 장비임.

 

2021년 6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27.3% 증가, 영업이익 흑자전환, 당기순이익은 441.8% 증가. 광섬유 공정 공사, 유지보수, 광섬유 부품테스트, 광섬유 연구개발 등에 활용되고 있음. 광섬유 접속시장은 광통신의 시작과 더불어 개시되어 약 40년 정도 된 사업이며 초기에는 주로 군용으로 사용되다가, 광통신이 일반화 되면서 현재는 수요가 넓게 확대 됨.

 


에프알텍 073540

에프알텍-일봉차트

 

에프알텍 네이버 증권보기 에프알텍 FN GUIDE 종목분석 보기

5G 인빌딩 솔루션 개발 완료 및 수출용 5G DAS 중계기 개발 중. KT와 함께 17년2월 모바일월드콩그레스(MWC)에 참석해 5세대 이동통신(5G) 서비스 장비 공개. 일본의 현지 법인을 통하여 일본 이동 통신 사업자를 대상으로 5G용 IN-BUILDING DAS 시스템을 공급하기 위해 사업을 적극적으로 추진 중.

 

2000년 10월에 설립된 이동전화중계기와 휴대인터넷중계기, 광전송장비 및 조명장치 관련제품의 제조, 판매 전문기업으로 2007년 5월 코스닥시장에 상장함. 통신장비 사업부문, 에너지사업부문을 중심으로 구성되며 통신장비 부문은 광중계기, 인빌딩 중계기 등을 판매하고 에너지사업 부문은 LED조명을 주요 사업으로 함. 당기말 현재 미국과 일본 현지법인 등 총 2개의 연결대상 종속회사를 보유함.

 

2021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5.5% 감소, 영업손실은 0.2% 증가, 당기순손실은 79.3% 감소. 주력 사업인 이동통신 중계기 관련 매출 부진이 지속되며 외형이 축소되었고, 비용 절감에도 불구하고 영업손실과 순손실 상태가 이어짐. 보고기간말 현재 통신사업부문에서 75억원, 에너지 사업부문에서 9억원 등 총 84억원의 수주잔고를 보유하고  있음. 

 


인포마크 175140

인포마크-일봉차트

 

인포마크 네이버 증권보기 인포마크 FN GUIDE 종목분석 보기

5G 상용화에 맞춰 정부 및 통신사, 글로벌 대기업과 협력하여 5G 통신 단말 사업을 추진 중. 퀄컴 테크놀러지 Inc.와 5G 라이선스 계약을 체결하여 다양한 5G 단말 개발 본격화. KT와 컨소시엄으로 5G 기반 '지능형 초연결망 선도 확산 사업'을 수주하여 5G 단말 개발 및 공급 예정.

 

동사는 2015년 09월 23일 코스닥 시장에 주권을 상장함. 풍부한 ICT 디바이스 개발 및 제조 경험과 뛰어난 제품 디자인 능력을 바탕으로 네이버를 통해 AI 스피커를 출시하면서 본격적으로 시장에 뛰어듬.  신사업으로 AI를 활용한 시니어 헬스케어 및 어린이 영어 교육 서비스를 개발하고 있음. 동사는 현재 5G 상용화에 맞춰 정부 및 통신사, 글로벌 대기업과 협력하여 5G 통신 단말 사업을 추진 중에 있음.

 

2021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26.5% 증가, 영업이익 흑자전환, 당기순이익 흑자전환. 2017년 국내 최대 포털사를 통해 AI 스피커를 출시한 이후 통신사, 교육회사 등으로 공급처 다변화에 성공하며, 현재 국내에서 가장 많은 인공지능 스피커 모델을 보유하고 있음. 동사는 퀄컴 및 주요 국내 통신사와 협력하여5G 모바일 라우터를 개발하고 있음.

 

  • 네이버 블로그 공유
  • 네이버 밴드 공유
  • 페이스북 공유
  • 카카오스토리 공유